[창의력계발] 창의력 계발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역할, 창의력계발 훈련기법(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창의력계발] 창의력 계발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역할, 창의력계발 훈련기법(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창의력 계발

I. 창의력 계발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역할

II. 창의력계발을 위한 훈련기법
1. 브레인스토밍 방법
2. 체크리스트법
가) SCAMPER기법
나) MIT의 체크리스트
3. 속성열거법
4. 기타 창의력 계발방법
가) 여섯 가지 사고모자 기법
나) PMI 기법
다) 발견적 문제해결법
라) 생산적 사고 프로그램

본문내용

냉철하게 판단하는 태도를 길러 줌으로써 판단의 오류를 사전에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다. 즉 실제로는 가치 있는 아이디어인데도 잘못 판단하여 폐기되는 경
우도 많고, 또 대부분의 판단은 아이디어 자체의 가치보다는 자신의 감정이 개입되
어 결정되기 쉽기 때문에 PMI는 이러한 판단의 오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PMI 기법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P(Plus): 제시된 아이디어의 좋은 점(자신이 좋아하는 이유)
* M(Minus): 제시 된 아이디어의 나쁜 점(자신이 싫어하는 이유)
* I(Interesting)"제시된 아이디어와 관련하여 흥미롭다고 생각하는 점
De Bono는 학교에서 초등학생(10-11세) 30명을 대상으로 PMI를 실행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스스로 PMI를 통해 사고의 폭을 넓혀 자신의 처음 결정을 바꾼
것을 할견하였다. 즉, 30명 가운데 29명의 학생들이 자신이 처음 좋게 평가했던 아
이디어를 PMI를 실행한 후 나쁘다고 결정한 것이다.
De Bono는 '학교에 가면 매주 5$를 받는다.' 라는 아이디어를 실천했을 때 발생
되는 장점과 단점 그리고 흥미로운 점이나 독특한 특성에 대하여 생각해 보도록 하
였다. PMI를 실행하기 전 30명 모두 이 아이디어를 매우 좋아했고, 그 돈을 어디에
쓸 것인가를 얘기했다.30명의 학생을 5명씩 6개의 집단으로 나누고 PMI를 해 보
도록 하였다. 4분 후에 아이들의 의견을 물었을 때, 그 아이디어의 장점은 바뀌지
않았지만 처음에 없었던 단점이 나타났고, 또한 '힘센 아이가 약한 아이의 돈을 템
을 것이다. ', '학교의 점심 값이 오를 것이다. ', '아이들에게 줄 돈은 어디서 구하
나?' 선생님을 위한 돈이 줄어들 것이다. ' 등등 흥미로운 점도 있었다. 그러나
결국 PMI를 한 후에는 30명 가운데 29명의 아이들이 그 아이디어는 나쁘다고 결정
했다.
다) 발견적 문제해결법
이 기법은 여러 가지 유추로부터 아이디어나 힌트를 얻는 방법으로서 Gordon이
계발한 것이다. synectics의 어원은 '관련이 없는 요소들 간의 결합' 을 의미하는 희
랍어의 synectios로부터 유래한다.
Gordon은 발명가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 이들은 발명 과정
에서 대부분 유추(analogy)사고를 한다는 공통적인 현상을 발견했다. 유추사고란
어떤 사물과 현상을 관찰하여 다른 사상을 추측하거나 연상하는 심리현상이다.
Gordon은 이러한 유추사고가 새로운 창작물을 만들어 내는 데 관여한다고 보았다.
구체적으로 이 기법은 개인이 처한 주위 상황에서 낯익은 것(친숙한 것)으로 받아
들이던 대상이나 요소를 낮선 것(이상한 것)으로 파악해 본다거나, 낮선 것으로 받
아들이던 것을 낯익은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험을 통해서 사고의 민감성을 증진시
키는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 이다.
유추를 기본으로 하는 발상법인 시넥틱스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 이 있다.
직접적 유추(direct analogy):주위에 있는 사상과 사물을 과제와 연결시켜서 유
추하는 방법이다. 벌레의 유충을 관찰하고 무한궤도(caterpillar)와 탱크를 만든
것은 그 좋은 예다.
의인적 유추(person analogy):자신이 실제로 문제에서 다루고 있는 대상이 되
었다고 생각하고 유추해 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계가 고장 났을 때 자신이
기계의 부품이 되어 가상적으로 작동해 보며 기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징적 유추(symbolic analogy): 두 대상물 간의 관계를 기술하는 과정에서 상
징을 활용하는 유추다. 예를 들어, 파랑새 증후군이라는 말은 동화 파랑새로부
터 나온 발상이다. 그 외에 피터팬 신드롬, 신데렐라 콤플렉스 등도 있다.
환상적 유추(fantastic analogy):현실적인 유추를 통해서는 문제가 해결될 수 없
을 때 활용하는 환상적이고 신화적인 유추다. 예를 들어, 해리포터 시리즈는
신화적 환상을 통하여 아이디어를 얻었다.
라) 생산적 사고 프로그램(productive thinking program)
이 방법은 초등학교 고학년생들이 불일치를 인지하고 가설을 세우는 방법을 만
화식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화한 것이다.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읽는 동안 만화에
서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고, 또한 규칙적으로 피드백을 받으면서 문제를
해결해 간다.
이 프로그램은 영재 학생에게는 심화학습 프로그램으로 사용되고, 능력이 부족
한 학생들에게는 보충 프로그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10.07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