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헌고찰
2.당뇨환자간호
3.참고자료
2.당뇨환자간호
3.참고자료
본문내용
당뇨환자 간호
목 차
1.문헌고찰
2.당뇨환자간호
3.참고자료
1.문헌고찰
1)정의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된다.
2)종류
①1형 당뇨병
②2형 당뇨병
유전적인 소인을 가진 사람이 환경적인 요인에 노출될 때 췌장의 기능이 저하되고 인체의 포도당의 활용능력이 떨어지므로 당뇨병의 발병한다.
③임신성 당뇨병
④기타 당뇨병
췌장염, 췌장 수술 등에 의한 췌장조직의 손상, 인슐린을 방해하는 호르몬의 분비장애질환(쿠싱증후군, 다낭성난소증후군 등)
3)진단
① 혈액검사
8시간 금식한 상태에서 측정한 공복혈당 검사결과 126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을 진단.
무작위로 측정한 혈당검사결과 200mg/dl 이상이면서 뚜렷헌 3다증상(다뇨,다갈,다식)이 있으면 진단.
②경구당부하검사
8시간 이상 금식한 상태에서 ‘글루오렌지’를 먹고, 1시간 뒤,2시간 뒤 채혈.
정상(단위 mg/dl)
DM(단위 mg/dl )
공복혈당
99 이하
126 이상
식사2시간 후
139 이하
200 이상
③당화혈색소 검사
: 혈액내에 있는 Hb과 혈당이 결합된 정도를 보여주는 수치. 검사일로부터 3개월 이내의 평균혈당을 알 수 있음
-당화혈색소가 6.5% 이상 시 당뇨병으로 진단
2.당뇨병 환자 간호
수술에 따른 스트레스는 혈당을 올리고, 감염이 쉽게 되며, 외과적 절개부위 자체가 감염의 입구가 될 수 있다.
더욱이 당뇨병 환자는 혈관 장애 때문에 수술 후 상처 치유가 느리다. 대부분의 수술 전 후 혈당치는 100~200mg/dl 을 유지해야한다.
1) DM PO medication
2)MSII(Multiple subcutaneous insulin injection)
인슐린 분비가 잘 되지 않거나 인슐린이 일을 잘 못하는 경우 사용
기저인슐린으로 지속형 인슐린을 하루 1회 주사하고, 초속효성인슐린을 식사 인슐린으로 매 식전에 주사하는 방법
[초속효성]
Humalog Apidra
[지속형]
Lantus Levemir
1-1) 인슐린 보관
새 인슐린은 반드시 냉장보관
개봉한 인슐린은 개봉날짜, 유효기간 기입하여 환자라벨 붙여서 냉장 보관
보관온도
종류
유효기간
실온보관(15~25℃)
냉장보관(2~8℃)
병형,펜형 인슐린
개봉 후 28일
1-2)펜형 인슐린 주사 시 주의사항
공기방울 제거
정확한 용량투여
주사바늘의 개방성 확인
상온의 인슐린 주사
통증 최소
주입버튼 누른 다음 10초 후 바늘 제거
혈액의 역류 예방 위해 주입버튼 누른 상태에서 기다림
주사량이 많거나 바늘이 가는 경우 더 천천히 제거
바로 뽑을 시 인슐린이 용기 밖으로 샘
잔량 확인
남아 있는 용량에서 용량 설정 다이얼이 돌아가지 않음
3.참고자료
KADNE 대한당뇨병교육간호사회 www.kadne.or.kr
킴스 온라인 www.kimsonline.co.kr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nursing skill 평가자료
현문사 성인간호학
목 차
1.문헌고찰
2.당뇨환자간호
3.참고자료
1.문헌고찰
1)정의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된다.
2)종류
①1형 당뇨병
②2형 당뇨병
유전적인 소인을 가진 사람이 환경적인 요인에 노출될 때 췌장의 기능이 저하되고 인체의 포도당의 활용능력이 떨어지므로 당뇨병의 발병한다.
③임신성 당뇨병
④기타 당뇨병
췌장염, 췌장 수술 등에 의한 췌장조직의 손상, 인슐린을 방해하는 호르몬의 분비장애질환(쿠싱증후군, 다낭성난소증후군 등)
3)진단
① 혈액검사
8시간 금식한 상태에서 측정한 공복혈당 검사결과 126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을 진단.
무작위로 측정한 혈당검사결과 200mg/dl 이상이면서 뚜렷헌 3다증상(다뇨,다갈,다식)이 있으면 진단.
②경구당부하검사
8시간 이상 금식한 상태에서 ‘글루오렌지’를 먹고, 1시간 뒤,2시간 뒤 채혈.
정상(단위 mg/dl)
DM(단위 mg/dl )
공복혈당
99 이하
126 이상
식사2시간 후
139 이하
200 이상
③당화혈색소 검사
: 혈액내에 있는 Hb과 혈당이 결합된 정도를 보여주는 수치. 검사일로부터 3개월 이내의 평균혈당을 알 수 있음
-당화혈색소가 6.5% 이상 시 당뇨병으로 진단
2.당뇨병 환자 간호
수술에 따른 스트레스는 혈당을 올리고, 감염이 쉽게 되며, 외과적 절개부위 자체가 감염의 입구가 될 수 있다.
더욱이 당뇨병 환자는 혈관 장애 때문에 수술 후 상처 치유가 느리다. 대부분의 수술 전 후 혈당치는 100~200mg/dl 을 유지해야한다.
1) DM PO medication
2)MSII(Multiple subcutaneous insulin injection)
인슐린 분비가 잘 되지 않거나 인슐린이 일을 잘 못하는 경우 사용
기저인슐린으로 지속형 인슐린을 하루 1회 주사하고, 초속효성인슐린을 식사 인슐린으로 매 식전에 주사하는 방법
[초속효성]
Humalog Apidra
[지속형]
Lantus Levemir
1-1) 인슐린 보관
새 인슐린은 반드시 냉장보관
개봉한 인슐린은 개봉날짜, 유효기간 기입하여 환자라벨 붙여서 냉장 보관
보관온도
종류
유효기간
실온보관(15~25℃)
냉장보관(2~8℃)
병형,펜형 인슐린
개봉 후 28일
1-2)펜형 인슐린 주사 시 주의사항
공기방울 제거
정확한 용량투여
주사바늘의 개방성 확인
상온의 인슐린 주사
통증 최소
주입버튼 누른 다음 10초 후 바늘 제거
혈액의 역류 예방 위해 주입버튼 누른 상태에서 기다림
주사량이 많거나 바늘이 가는 경우 더 천천히 제거
바로 뽑을 시 인슐린이 용기 밖으로 샘
잔량 확인
남아 있는 용량에서 용량 설정 다이얼이 돌아가지 않음
3.참고자료
KADNE 대한당뇨병교육간호사회 www.kadne.or.kr
킴스 온라인 www.kimsonline.co.kr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nursing skill 평가자료
현문사 성인간호학
추천자료
심장수술환자간호
심장수술환자간호
[간호학]견인환자간호
ICU실습기록지(중환자실의 설비 및 기구,Emergency Kit, CPR, 인공호흡기, Shock환자간호, 동...
[간호학]회복실에서의 환자간호
[간호학]shock 환자간호
[모성간호학-환자사례 간호과정] 자궁경부 이형성증 (moderate cervical dysplasia) 케이스
중환자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수술실 - 수술환자간호
cast, splint 환자간호 (목적,종류,간호)
성인간호학) Crohn’s disease(크론병)와 환자간호 A+
[수술환자간호] 수술환자의 영양관리 - 수술 전후 영양관리 및 영양요구량
위기환자간호 및 가족간호
[간호학] Appendicitis 환자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