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5
Key Problem/ND:
치료와 관련된 불안
Supporting Data:
S : “치료하면 괜찮아 지겠죠?”
“언제까지 병원신세만 지고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O : 무기력, 식욕부진, 침상안정
Reason For Health Care
(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Key Assessments:
피부감각손상, 말초순환장애, 불안, 자긍심 저하
#7
#6
Key Problem/ND:
무력감, 동기부족과 관련된 비활동적 생활양식
Supporting Data:
S : “움직이는데 힘이 들어요”
“계속 누워있고 싶어요”
O : 무력감, 피로감, 식욕 부진, 불안,
#8
Key Problem/ND:
신체 질환과 관련된 상황적 자긍심 저하 위험
Supporting Data:
S : “치료하면 괜찮아 지겠죠?”
“언제까지 병원신세만 지고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O : 침상안정, 무기력, 불안
Key Problem/ND: 불안, 동기부족, 개인의 비효율적 대응과 관련된 비효율적 건강 유지
Supporting Data:
S : "언제까지 병원신세만 지고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계속 누워있고 싶어요”
O : 침상안정, 무기력, 불안
Problem No. 1 : 높은 혈당과 관련된 조직관류장애(신장,말초)
Behavioral Outcome Objective(s): The patient will...
목적 : 4월 20일까지 조직관류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기대되는 결과 : 1. 대상자는 4월 10일까지 양발이 저리지 않음을 말한다.
2. 대상자는 4월 20일까지 단백뇨가 나타나지 않는다.
on the day of care. 2010. 3. 18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s
Patient responses (evaluation)
1. 양발의 저린감을 감소시킨다.
2. 적당한 수분이 유지되도록 한다.
3. 정상 혈당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4. 운동을 자주하시라고 권유한다.
5. 신체적으로 안위를 제공하기 위해 편안한 자세를 취할 것을 교육한다.
1. 양발이 저리지 않도록 10시, 3시, 9시에 마사지를 해준다.
2. 매일 저녁 식사 후 I&O를 체크한다.
3. 의사의 처방대로 약물을 투여한다.
4. 하루 세 번 11시, 4시, 9시에 혈당을 측정한다.
5. 세 끼 식사 외에 단것을 먹지 않도록 교육한다.
6. 식후 30분 뒤에 병실복도를 걸으시라고 하며, 운동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6. 침상에 있을 경우에 편안하게 누우실 수 있도록 침상을 정리해드린다.
1. 마사지를 해주니 저린감이 감소되는 것 같다고 말로 표현함.
2. 혈당 체크 시 마다 혈당 수치를 질문함.
3. 붓기가 많이 가라앉았다고 말로 표현하심.
4. 앞으로 운동하려고 노력해보겠다고 하심.
5. 침상이 편안하다고 하심.
6. 항상 도와줘서 고맙다고 하심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첫날에 비해서 양발의 저린 감각이 많이 완화되었다고 하셨음. 계속되는 약물요법으로 혈당치는 약간 불안하지만 정상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혈당치에 많이 관심을 가지심. 대상자와의 관계가 많이 향상되었음. 꾸준한 운동은 지속적인 권유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Problem No. 6,7 : 무력감, 동기부족과 관련된 비활동적 생활양식,
불안, 동기부족, 지식부족, 개인의 비효율적 대응과 관련된 비효율적 건강 유지
Behavioral Outcome Objective(s): The patient will...
목적 : 4월 20일까지 대상자는 스스로 일상생활을 유지하고 운동을 적절하게 할 수 있다.
기대되는 결과 : 1. 4월 10일까지 매일 30분씩 운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한다.
2. 4월 20일까지 대상자의 기력 부족에 대한 호소가 줄어든다.
on the day of care. 2010. 3. 18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s
Patient responses (evaluation)
1. 운동의 중요성에 대해서 교육한다.
2. 식욕이 좋아지도록 한다.
3. 불안감이 감소 될 수 있도록 한다.
4. 기력이 좋아지도록 한다.
5. 건강유지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6. 대상자가 질환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7. 대상자와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신뢰감을 형성한다.
1. 식후 30분 뒤에 병실복도를 걸으시라고 하며, 운동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2. 식사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고, 매 식사 때 마다 많이 드시라고 권한다.
3. 충분한 식사를 통해 기력이 향상 될 수 있도록 한다.
4. 건강 유지의 필요성과, 그로 인해 빠른 질환의 회복이 올 수 있음을 교육한다.
5. 당뇨병의 관리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것을 드시지 않기, 운동 많이 하기, 혈당 자가 모니터, 합병증의 위험성 등)
6. 대상자에게 성경책을 읽어드리고, 편안하게 대화를 한다.
7. 당뇨병의 치료 사례를 알려주고 긍정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고 격려한다.
1. 앞으로 운동하려고 노력해보겠다고 하심.
2. 자신이 노력하면 나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씀하심.
3. 운동의 중요성에 대해서 말로 표현하심.
4. 식욕이 전보다 향상되었다고 하심.
5. 당뇨병은 흔한 질병이며 일상생활에 문제가 없다고 말로 표현하심.
6. 적극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씀하심.
7. 편안하게 해주어서 고맙다고 말씀하심.
8. 대화를 나누어서 즐겁다고 말씀하심.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대상자는 교육이 잘 되는 편으로 식욕향상과 기력회복이 보이고 있으며, 건강을 유지하는 이유를 알고 효율적으로 건강을 유지하는데 관심을 가진다. 운동의 필요성도 깨닫고 예전 보다 많이 움직이려고 하신다. 처음 입원했을 당시보다 불안감이 많이 감소되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당뇨병의 치료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신다. 무엇보다도 대상자와의 관계가 많이 향상되었으며 대상자도 신뢰감을 가진 것으로 사료된다.
Key Problem/ND:
치료와 관련된 불안
Supporting Data:
S : “치료하면 괜찮아 지겠죠?”
“언제까지 병원신세만 지고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O : 무기력, 식욕부진, 침상안정
Reason For Health Care
(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Key Assessments:
피부감각손상, 말초순환장애, 불안, 자긍심 저하
#7
#6
Key Problem/ND:
무력감, 동기부족과 관련된 비활동적 생활양식
Supporting Data:
S : “움직이는데 힘이 들어요”
“계속 누워있고 싶어요”
O : 무력감, 피로감, 식욕 부진, 불안,
#8
Key Problem/ND:
신체 질환과 관련된 상황적 자긍심 저하 위험
Supporting Data:
S : “치료하면 괜찮아 지겠죠?”
“언제까지 병원신세만 지고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O : 침상안정, 무기력, 불안
Key Problem/ND: 불안, 동기부족, 개인의 비효율적 대응과 관련된 비효율적 건강 유지
Supporting Data:
S : "언제까지 병원신세만 지고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계속 누워있고 싶어요”
O : 침상안정, 무기력, 불안
Problem No. 1 : 높은 혈당과 관련된 조직관류장애(신장,말초)
Behavioral Outcome Objective(s): The patient will...
목적 : 4월 20일까지 조직관류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기대되는 결과 : 1. 대상자는 4월 10일까지 양발이 저리지 않음을 말한다.
2. 대상자는 4월 20일까지 단백뇨가 나타나지 않는다.
on the day of care. 2010. 3. 18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s
Patient responses (evaluation)
1. 양발의 저린감을 감소시킨다.
2. 적당한 수분이 유지되도록 한다.
3. 정상 혈당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4. 운동을 자주하시라고 권유한다.
5. 신체적으로 안위를 제공하기 위해 편안한 자세를 취할 것을 교육한다.
1. 양발이 저리지 않도록 10시, 3시, 9시에 마사지를 해준다.
2. 매일 저녁 식사 후 I&O를 체크한다.
3. 의사의 처방대로 약물을 투여한다.
4. 하루 세 번 11시, 4시, 9시에 혈당을 측정한다.
5. 세 끼 식사 외에 단것을 먹지 않도록 교육한다.
6. 식후 30분 뒤에 병실복도를 걸으시라고 하며, 운동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6. 침상에 있을 경우에 편안하게 누우실 수 있도록 침상을 정리해드린다.
1. 마사지를 해주니 저린감이 감소되는 것 같다고 말로 표현함.
2. 혈당 체크 시 마다 혈당 수치를 질문함.
3. 붓기가 많이 가라앉았다고 말로 표현하심.
4. 앞으로 운동하려고 노력해보겠다고 하심.
5. 침상이 편안하다고 하심.
6. 항상 도와줘서 고맙다고 하심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첫날에 비해서 양발의 저린 감각이 많이 완화되었다고 하셨음. 계속되는 약물요법으로 혈당치는 약간 불안하지만 정상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혈당치에 많이 관심을 가지심. 대상자와의 관계가 많이 향상되었음. 꾸준한 운동은 지속적인 권유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Problem No. 6,7 : 무력감, 동기부족과 관련된 비활동적 생활양식,
불안, 동기부족, 지식부족, 개인의 비효율적 대응과 관련된 비효율적 건강 유지
Behavioral Outcome Objective(s): The patient will...
목적 : 4월 20일까지 대상자는 스스로 일상생활을 유지하고 운동을 적절하게 할 수 있다.
기대되는 결과 : 1. 4월 10일까지 매일 30분씩 운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한다.
2. 4월 20일까지 대상자의 기력 부족에 대한 호소가 줄어든다.
on the day of care. 2010. 3. 18
Nursing Plan
Nursing interventions
Patient responses (evaluation)
1. 운동의 중요성에 대해서 교육한다.
2. 식욕이 좋아지도록 한다.
3. 불안감이 감소 될 수 있도록 한다.
4. 기력이 좋아지도록 한다.
5. 건강유지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6. 대상자가 질환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7. 대상자와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신뢰감을 형성한다.
1. 식후 30분 뒤에 병실복도를 걸으시라고 하며, 운동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2. 식사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고, 매 식사 때 마다 많이 드시라고 권한다.
3. 충분한 식사를 통해 기력이 향상 될 수 있도록 한다.
4. 건강 유지의 필요성과, 그로 인해 빠른 질환의 회복이 올 수 있음을 교육한다.
5. 당뇨병의 관리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것을 드시지 않기, 운동 많이 하기, 혈당 자가 모니터, 합병증의 위험성 등)
6. 대상자에게 성경책을 읽어드리고, 편안하게 대화를 한다.
7. 당뇨병의 치료 사례를 알려주고 긍정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고 격려한다.
1. 앞으로 운동하려고 노력해보겠다고 하심.
2. 자신이 노력하면 나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씀하심.
3. 운동의 중요성에 대해서 말로 표현하심.
4. 식욕이 전보다 향상되었다고 하심.
5. 당뇨병은 흔한 질병이며 일상생활에 문제가 없다고 말로 표현하심.
6. 적극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씀하심.
7. 편안하게 해주어서 고맙다고 말씀하심.
8. 대화를 나누어서 즐겁다고 말씀하심.
Summarize impressions of patient progress toward outcomes:
대상자는 교육이 잘 되는 편으로 식욕향상과 기력회복이 보이고 있으며, 건강을 유지하는 이유를 알고 효율적으로 건강을 유지하는데 관심을 가진다. 운동의 필요성도 깨닫고 예전 보다 많이 움직이려고 하신다. 처음 입원했을 당시보다 불안감이 많이 감소되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당뇨병의 치료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신다. 무엇보다도 대상자와의 관계가 많이 향상되었으며 대상자도 신뢰감을 가진 것으로 사료된다.
추천자료
송파구 보건소 탐방 보고서
간호학 실습 리포트 - 난소암(Ovarian cancer) 대상자 실습
수술중 간호 case <<제왕절개>> C/sec
만성신부전 케이스입니다.
병원에서 실시하는 검사의 목적, 방법, 간호
[간호학] 뇌경색 투약, 임상결과
고혈합 환자의 치과치료시 주의사항
마취전 환자의 평가 방법 및 처치방법
[눈][안구]눈(안구) 수정체질환(백내장), 눈(안구) 방수 관련 질환(녹내장)의 교육적 조치, ...
내부기관장애의 유형별 특성에 대해 기술
angina pectoris
조산입원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Case Study, 만성신부전증, chronic renal failure, CRF, 인공신장실, AKR, 케이스 스터디, ...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담석증 (cholelithias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