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생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자의 생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공자의 생애

1.출생
2. 어린시절
3. 20대
4. 30대 - 사회에 나섰다(三十而立)
5. 50대
7. 인재양성에 힘씀
8. 죽음
Ⅱ. 생애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시종을 위나라 영무자의 신하로 삼게 한 뒤 겨우 포위에서 풀려날 수 있었다.
④재진절량(在陳絶粮)
▶초나라 소왕이 공자를 초빙하자 진과 채 두 나라의 대부들은 공자가 초나라에 등용되면 자기 나라가 위태로워질 것을 걱정하여 군대를 동원해서 그 일행을 포위하였다.공자 일행은 식량이 떨어져 7일간을 굶고 제자들은 병 들었다. 이에 공자는 자공을 초나라에 보내어 곤욕을 모면할 수 있었다.
⑤공자귀노(孔子歸魯)
▶공자가 노나라로 돌아오기 한해 전인 67세 때 부인 올관씨가 죽고, 68세 봄에 제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였다.
그 후 노나라의 계강자가 폐백을 보내 공자를 초빙하니 공자는 14년간의 긴 유랑을 마치고 모국인 노나라로 귀향하여 제자들을 교육하고 고전을 정리하는데 전념하였다.
7. 인재양성에 힘씀
현실참여와 정치개혁에 실패한 공자였으나 교육과 학문에는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수천 명의 제자들이 운집했고 학문과 덕행에 뛰어난 인재들이 속출했다. 공자는 참다운 인식(知)과 인류애(仁)와 불굴의 실천(勇)을 군자의 삼달덕(三達德)으로 가르쳤다. 특히 그는 하(夏), 은(殷), 주(周)의 문화전통의 집대성이라 할 시(詩), 서(書), 예(禮), 악(樂)및 역(易)을 재정리 재평가하여 정식 커리큘럼으로 채택하고 발전시킴으로써 전통문화의 계승과 신문화의 창조를 이룩했던 것이다.
8. 죽음
공자는 노 애공(哀公) 16년(B. C 479) 74세로 서거했다.
①몽전양영(夢奠兩楹)- 꿈에 두기둥 사이에서 전을 올리다.
▶공자가 병들어 자공이 찾아왔다. 공자는 지팡이를 짚고 문간에 서성거리면서 노래하길 "태산(泰山)이 무너지려는가? 대들보가 부러지려는가? 착한 사람이 쇠약해 지려는가?" 라고 했다.
그 말을 들은 자공은 "태산이 무너지면 저는 장차 무엇을 우러러 본단 말입니까? 대들보가 부러지면 저는 장차 무엇을 공경한단 말입니까?
착한 사람이 쇠약해지면 저는 장차 누구를 본 받는단 말입니까?" 라고 하고는 뛰어 들어 갔다.
이에 공자는 "사(賜)야, 너는 어찌 그다지도 늦게 오는가? 하후(夏后)씨는 동쪽 뜰에다 빈소를 마련했고 은(殷)나라 사람은 두기둥 사이에 빈소를 마련 하였느니라. 나는 은나라 사람이다. 어젯밤 꿈을 꾸니 내가 두기둥 사이에 앉아 전(奠)을 올리고 있었다. 지금 천하에는 밝은 임금이 없으니 누가 나를 우러러 받들겠느냐? 나는 아마도 멀지 않아 죽을 것이다."라고 했다. 그런지 7일 만에 공자는 세상을 떠났다.
Ⅱ. 생애에 대한 평가
공자, 그가 학문과 교육에 전적으로 몰두한 시기는 길지 못했다. 그러나 평생을 학문적 이상의 구현을 실천적으로 추구해 온 공자는 중국은 물론 세계적으로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는 학문의 개조(開祖)이고 도덕 윤리의 계발자이고 덕치, 교화의 선각자이고 또 학교 교육의 창시자이며 문화전통의 계승과 신문화 창조의 표본이기도 했다. 더욱이 [ 70에 마음내키는 대로 행동해도 규범을 넘어서지 않았다.(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 ] 고 했듯이 심술(心術)에 의한 내외일치(內外一致)를 달성한 성인이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10.20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46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