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맹가의 생애
2.≪맹자≫의 내용
2.≪맹자≫의 내용
본문내용
리고 삼대의 왕들, 하(夏)의 우왕(禹王), 은(殷)의 탕왕(湯王), 주(周)의 문왕(文王)과 무왕(武王) 등의 성왕(聖王)들, 또한 백대의 스승이라고 할 수 있는 백이(伯夷)와 유하혜(柳下惠) 등의 성현들의 행적과 교훈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임금이나 신하나 모두 요 임금과 순 임금을 본받으면 된다.'고 하였다. 순이 요 임금을 섬기던 극진한 태도와 도리, 그리고 순과 요의 두 임금이 백성을 위하던 정성과 태도, 그것이 바로 인간 윤리의 표준이다. 군자를 기르는 사람은 배우는 사람에게 깨우쳐 주고 밝혀 주는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이 표준에 따라서 힘있게 나아갈 수 있도록 이끌어 주기만 해야 한다. 그것은 군자교육의 궁극적 목표라고 할 수 있는 호연지기를 기르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맹자>를 읽으면서 맹자가 이야기하는 가장 이상적인 군주의 모습이 흥미로웠다.
맹자는 정치의 세요소로 주인(백성), 영토, 주권(군주)을 꼽으며 어떤 경우에도 포기할 수 없는 요소로 백성을 든다. <양혜왕> 편에서는 인민의 생계를 보장하고 직업을 제공하는 정치가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하였고 최소한의 생계보장에서 더 나아갔을 때가 비로소 양민이 충족된 상태라고 인식했다. 또한 홍수를 극복한 우임금의 업적을 높이 사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왕의 개인적인 일이나 전쟁을 위해 노동력을 동원하여 농사철을 어기지 않도록 하는 즉, 다시 말해 농민을 농민답게 본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국가운영을 요구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맹자의 정치사상은 철저히 민(民)을 바탕으로 하며 덕으로 다스려야 한다는 생각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점은 차이점도 있지만 오늘날의 민주주의 사상에 어느정도 부합하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는 현재의 정치도 완전한 민주정치를 구현하고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 그래서 이상적인 민주정치에 접근하려는 시도와 노력의 일환으로 맹가의 근본적 사상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민주주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인, 의, 예, 지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인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함께 고민해 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옛것이라고 해서 무조건 고루하다고 생각하는 태도나 무조건 옳다고 여겨서 모두 그대로 수용하려는 태도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이 진정한 온고지신의 태도라고 할 수 있다.
<맹자>를 읽으면서 맹자가 이야기하는 가장 이상적인 군주의 모습이 흥미로웠다.
맹자는 정치의 세요소로 주인(백성), 영토, 주권(군주)을 꼽으며 어떤 경우에도 포기할 수 없는 요소로 백성을 든다. <양혜왕> 편에서는 인민의 생계를 보장하고 직업을 제공하는 정치가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하였고 최소한의 생계보장에서 더 나아갔을 때가 비로소 양민이 충족된 상태라고 인식했다. 또한 홍수를 극복한 우임금의 업적을 높이 사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왕의 개인적인 일이나 전쟁을 위해 노동력을 동원하여 농사철을 어기지 않도록 하는 즉, 다시 말해 농민을 농민답게 본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국가운영을 요구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맹자의 정치사상은 철저히 민(民)을 바탕으로 하며 덕으로 다스려야 한다는 생각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점은 차이점도 있지만 오늘날의 민주주의 사상에 어느정도 부합하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는 현재의 정치도 완전한 민주정치를 구현하고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 그래서 이상적인 민주정치에 접근하려는 시도와 노력의 일환으로 맹가의 근본적 사상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민주주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인, 의, 예, 지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인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함께 고민해 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옛것이라고 해서 무조건 고루하다고 생각하는 태도나 무조건 옳다고 여겨서 모두 그대로 수용하려는 태도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이 진정한 온고지신의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역사학과 역사교육
역사학과 역사교육
[역사][역사학][국사][세계사][역사학습][역사영역][역사배움]역사의 양면성, 역사의 어원, ...
[역사][역사진행][역사학][역사 어원][진보][역사 양면성][역사 보편성][역사 특수성]역사의 ...
[중국][중국문화][중국의 문화][중국의 역사][중국의 역사 연표][분기별 중국의 역사][중국 ...
역사와 역사관
[역사]고려시대사 총정리, 고려시대 전체 역사
[역사란무엇인가] 역사란무엇인가(역사에 대한 나의 생각)
[식민지역사, 한국 식민지역사, 인도 식민지역사, 아프리카 식민지역사, 말레이시아 식민지역...
중국 일본관계-중일역사문제(역사인식, 야스쿠니신사 참배),영토분쟁(센카쿠열도),대만문제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역사산책 발표레포트,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