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고대 그리스의 역사관
2.2 서양 중세의 역사관
2.3 서양 근세의 역사관
2.4 서양 현대의 역사관
3. 결론
2. 본론
2.1 고대 그리스의 역사관
2.2 서양 중세의 역사관
2.3 서양 근세의 역사관
2.4 서양 현대의 역사관
3. 결론
본문내용
서술했다. 이 책에서 후쿠야마는 역사가 인간자유의 실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갔고, 현재에 이르러서 드디어 이 목표를 달성했다고 보았다. 역사의 종말이라는 것은 역사가 끝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역사가 더 이상 발전할 수 없을 만큼 발전했다는 것이다. 그는 인간자유의 실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게 해 준 것으로 자유민주주의와 자유시장경제를 꼽았다. 인간자유의 실현이 이루어지려면, 인정받으려는 본성을 충족시켜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본성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로 자유민주주의/시장경제이기 때문이다. 후쿠야마는 근래에 ‘역사를 벗어난 지역(자유의 실현이 완벽히 달성된 지역)’ 과 ‘역사에 매달려 있는 지역(자유의 실현이 달성되지 못했으며, 여전히 민족, 종교에 매달려 있는 지역)’으로 나누어 질 것이라고 보았다. 역사를 벗어난 지역에서는 국가 간 상호작용이 활발해 지고 군비증강이 소홀해지는 반면에 경제경쟁은 활발해지고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하지만 역사에 매달려 있는 지역은 그러지 못할 것이다. 세계가 완전히 평화로워 지기 위해서는 역사에 매달려 있는 지역이 역사를 벗어난 지역으로 변모해야 할 것이다.
3. 결론
역사와 역사관을 정리하면서 내가 어떤 역사관을 가져야 할 지에 대해 확고한 생각이 들진 않았다. 오히려 모든 역사관이 나름의 논리와 정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혼란스러웠다. 각각의 역사관은 가치가 서로 충돌하는 면이 있는데 각각이 합당한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론에서 밝힌 것처럼, 이러한 많은 역사관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내가 나의 역사관을 정립하는 데 꽤나 기여했다. 역사관에서의 핵심 논쟁이 무엇인지에 대해 명확히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역사관에 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기 전까지는 핵심 논쟁이 머리 속에서 흐릿한 형태로만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역사관을 공부한 후, 내가 나의 역사관을 정립하기 위해서 기초적으로 정리해야 할 핵심 논쟁들-역사는 발전하는가 순환하는가?, 역사는 보편적인가 상대적인가?, 역사는 목적이 있는가 없는가? 등-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할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이번 보고서는 매우 뜻 깊었다. 지금부터 내가 할 일은 각각의 역사관의 구체적인 근거(구체적인 근거까지 찾아보기에는 학기 중에 해야 할 과제들이 너무 많았다.)를 찾아서 어떤 근거가 더 합당한지에 대해 세밀하게 따져보면서 나의 역사관을 정립하는 것이다.
3. 결론
역사와 역사관을 정리하면서 내가 어떤 역사관을 가져야 할 지에 대해 확고한 생각이 들진 않았다. 오히려 모든 역사관이 나름의 논리와 정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혼란스러웠다. 각각의 역사관은 가치가 서로 충돌하는 면이 있는데 각각이 합당한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론에서 밝힌 것처럼, 이러한 많은 역사관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은 내가 나의 역사관을 정립하는 데 꽤나 기여했다. 역사관에서의 핵심 논쟁이 무엇인지에 대해 명확히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역사관에 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기 전까지는 핵심 논쟁이 머리 속에서 흐릿한 형태로만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역사관을 공부한 후, 내가 나의 역사관을 정립하기 위해서 기초적으로 정리해야 할 핵심 논쟁들-역사는 발전하는가 순환하는가?, 역사는 보편적인가 상대적인가?, 역사는 목적이 있는가 없는가? 등-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할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이번 보고서는 매우 뜻 깊었다. 지금부터 내가 할 일은 각각의 역사관의 구체적인 근거(구체적인 근거까지 찾아보기에는 학기 중에 해야 할 과제들이 너무 많았다.)를 찾아서 어떤 근거가 더 합당한지에 대해 세밀하게 따져보면서 나의 역사관을 정립하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