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내과 주요 간호 처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장내과 주요 간호 처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PTCA 수술 전 간호
2. CABG 전 간호
3. EPS
4. Coronary angiogram
5. Pace maker(심박조율기)
6. Thorachotomy(개흉술)
7. Tracheostomy(기관절개술)
8. Thoracentesis(흉강천자)
9. Defibrillator(제세동기)
10. Intubation(laryngoscopy)기관내삽관
11. 흉곽과 호흡양상 사정
12. Breath sound 청진
13. Heart sound 청진

본문내용

터를 주입하는데 용이)
② 흡인과정은 구강과 비슷.
ㄷ. 기관내 흡인(endotracheal suction)
대상자가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여 흡인하면서 기관지에 카테터 삽입
① 환자에게 기침을 하게 하거나 ‘아’라고 말하게 함 (성무낵방 및 기관내 삽입 용이)
② 카테터를 기도내에 오랫동안 두었다면 삽입 중단후 일정한 간격으로 산소를 공급
③ 카테터 삽입을 3번 실패했다면 보조를 요청
④ 구토, 갑작스러운 호흡음 감소는 카테터가 인두아래에 있음을 의미하며 튜브를 조금 뺐다가 다시 넣음.
3) Suction 시 주의할 점
① 항상 suction 전후로 handwashing → 환자와 의료인 자신으로의 감염 방지와 환자와
cross infection 을 방지
② Sution glove 처리는 위생적으로 분리하여 한다
③ Sution 전에는 high O₂를 먼저 제공한다,
④ Suction 시 suction tip 삽입할때는 항상 suction 이 되지 않도록 tip을 막고 suction
하며 적절한 압력으로 부드럽게 흡인하여 hypoxia 예방.
⑤ Suction 시간은 10-15초이상을 넘지 않도록 하여 hypoxia를 예방.
⑥ Suction 시 항상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주의 깊게 한다.
19. EKG monitor
1) 정의
심장에서 발생하여 체표면으로 전달되는 약한 전류를 그래프나 그림으로 기록한 것으로 통증이 없이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심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2) 목적
- 심장 리듬을 확인하고 심박동수를 측정한다.
- 부정맥, 맥박의 난조, 심장 리듬의 이상을 진단하고, 심박동수를 측정한다.
-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심장병과 고혈압으로 심근이 비대해지는 것을 진단한다.
- 심장병의 진행이나 회복 상태를 확인하고, 심장 카테터 검사, 마취나 수술 시 심장 상태를 관찰하며, 인공 심장 박동기의 기능을 평가한다
2) 심전도의 구성
- P파: 심방의 탈분극을 나타내는 편향
- PR 간격: 방실결절에서 흥분파가 지연되는 것뿐만 아니라 심방의 탈분극에 필요한 시간 (정상 0.12~0,20)
- QRS 구간: 2개의 심실의 탈분극에 요구되는 시간 (0.04~0.10)
- QT 간격: 심실 탈분극과 재분극에 필요한 전체시간 (환자의 연령과 성에 따라 간격이 다양함)
- T 파 : 심장의 짧은 휴식기, 심박동 사이에 전기적으로 재충전(재분극, repolarize)
20. Diuretics (이뇨제)
*정의: Na+과 수분의 배설을 촉진시킴으로써 소변량을 증가시키는 약물, 즉 소변의 양을 증가시키는 약물
*기전: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의 양을 증가시켜서 콩팥의 토리를 지나는 혈액양을 증가시켜 많은 혈액을 걸러서 많은 양의 원뇨를 만드는 강심이뇨제와 삼투압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투여하여 토리에서 걸러지는 양을 늘이는 삼투성이뇨제 등이 있다.
*임상응용: 고혈압, 콩팥질환, 뇌부종, 울혈성 심장기능상실로 인한 부종, 급성 녹내장 및 안압 상승
*부작용: 신경근계 반응: 현기증, 어질어질함, 두통, 쇠약, 피로
심혈관계 반응: 기립성 저혈압, 전해질 불균형
소화기계 반응: 식욕부진, 구역, 구
21. Digitalization (디기탈리스 요법)
*정의: 약하거나 불완전한 심장의 기능을 정상으로 돌이키는 데 쓰이는 약제.
*임상응용: 심장기능상실
심방세동(심방근육의 빠른 수축과 떨림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의 부정맥)의 치료에 사용
*부작용: 중추신경계 반응: 두통, 허약, 졸림, 시력장애
순환기계 반응: 부정맥
소화기계 반응: 위장관 장애 및 식욕부진
22. Chest tube/chest bottle 관리
*chest tube관리:
-배액병을 항상 허리아래로 유지해야 한다. 중력에 의해 액체가 역류되어 늑막부위를 누르고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전체 연결관 관찰(꼬임, 눌림, 접힘, 고리형성, 흉관의 당김, 연결부위 분리 유무)한다.
-배액병이 넘어지지 않도록 배액병 걸이에 고정시킨다.
-침상에서는 상체를 올린 반좌위를 취하며, 심호흡을 한다.
-튜브삽입 부위의 근육통을 예방하기 위해 팔운동을 실시한다.
-환자를 옮길때에는 흉관튜브를 잠그고, 배액병을 침대위에 올려놓고 옮긴다. 단 기흉시에는 절대 잠그지 않는다.
-시간당 200cc 이상의 배액량은 쇼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배액병의 배액량이 700~800cc가 되면 교환한다.
-흡기 시 물기둥이 올라가고 호기 시 물기둥이 내려가는지 확인한다.
-chest tube 삽입부위는 매일 압박드레싱을 하며, 젖었을 경우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바로 드레싱한다.
*chest bottle관리:
-병이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
-늑망강내로 액체가 역류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의 가슴보다 아래에 놓이게 한다.
-밀봉병안에 파동이 있는지 확인하는데 이는 늑막강과 배액병 사이의 개방을 나타내고 늑막강 내 압력을 평가한다.
(액체파동의 정지: 폐가 재확장 되었을때, 관이 혈괴, 섬유소로 막혔거나 꼬였을때, 연결줄이 고리를 형성하였을때, 흡인기가 작동하지 않을때)
-병의 위치는 흉관삽입부에서 70~90cm 이하이고 침대난간에 걸 경우 난간의 위치에 따라 병의 위치가 바뀌므로 침대틀에 걸어야함을 교육하고 관찰한다.
23. Wound drain 관리
*목적:
-상처로부터 액체(삼출물)가 흘러나오도록 하기 위하여 관을 삽입한다.
-복부액이 괴거나 괴는 것이 예상될 때 상처에 배액관을 삽입한다.
배액관은 절개부위 근처에 넣는다.
*wound에 체액이 괴면
-박테리아 성장을 위한 배양매개체를 제공한다.
-수술 부위 압력 증가로 혈류를 방해한다.
-근접 부위에 압력을 초래한다.
-국소조직에 자극과 괴사를 초래한다.
*간호/관리
-배액관이 꼬이거나 막히지 않도록 하고, 그 이유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배액관이 흔히 사용된다는 것과 통증은 유발하지 않으나 불편감을 초래할 수 있음을 알린다.
-배액관이 삽입된 부위의 드레싱이 더러워지거나 젖는 것을 피한다.
-배액물에 혈액이 섞이거나 과도한 경우 의사에게 알려야한다.
-배액통에 배액물이 1/2~2/3 정도 채워진 경우 비워야한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10.20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46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