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학습장애의 원인
1. 기질적/생물학적 요인
2. 유전적 요인
3. 환경적 요인
II. 학습장애아의 치료
1. 중재의 방법
2. 부모의 역할
1. 기질적/생물학적 요인
2. 유전적 요인
3. 환경적 요인
II. 학습장애아의 치료
1. 중재의 방법
2. 부모의 역할
본문내용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자녀가 다른 사람들이 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배울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래야만 이들의 고통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장애에 대해 부모가 많이 알게 되면, 치료과정에서 부모가 인내하고 지속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득이 되며, 또한 아동을 정서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효과가 많이 있다.
(6) 겸손한 탐정이 되어라.
아이가 무엇을 배우는 게 어려운지 찾아보아라. 또한, 자녀의 흥미, 재능 그리고 기술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아라. 아이가 어려워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찾아내는 것은 아이를 치료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특히 어린 시기에 이런 어려움을 찾아내게 되면 많은 이익이 있다.
또한 자녀의 흥미나 재능 그리고 갖고 있는 기술이 무엇인지에 대해 아는 것은 자녀에게 배우고자 하는 마음을 갖게 하는 데 커다란 도움을 준다. 뿐만 아니라 아동이 어려워하는 부분에 대한 접근 가능한 방법을 알려주는 정보자가 된다. 따라서 치료의 효과가 좋게 나타난다.
(7) 자녀의 강점인 부분을 가르쳐라.
예를 들어, 자녀가 듣고 이해하는 것은 잘하는데 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것을 어려워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런 경우에 자녀를 가르치기 위해서 읽기에 초점을 맞추어 "실패"를 경험하게 하는 것은 자녀의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없다. 따라서 자녀의 장점인 부분인 듣기에 초점 촐-맞추어 책 내용이 담긴 테이프나 비디오 등을 통하여 새로운 정보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좋다.
(8) 자녀의 머리가 나쁘지 않다는 것을 믿어라.
자녀가 읽거나 쓰지 못한다고 해서 다른 방법으로도 배울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학습 장애를 가진 아동은 지능이 평균이거나 그 이상이다. 즉, 이 말의 뜻은 다양한 접근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면 얼마든지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9) 실수는 실패와 똑같지 않다는 것을 기억해라.
학습 장애를 가진 아이나 부모는 아이의 실수를 커다란 실패로 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아동은 자신을 매일 실패만 하는 사람으로 보거나 실패에 따른 심한 좌절감을 느낄 것이다. 실수가 계속되면 아이는 아무 것도 시도하려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아이에게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줄일 수 있도록 아동이 자신의 실수를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이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10) 창조적으로 TV나 컴퓨터를 활용해라.
화면이 빠르게 변화하고 소리와 그림이 동시에 나오는 TV, 컴퓨터 혹은 비디오는 아이의 주의를 잡아끌어 당기므로 학습을 위한 좋은 매체가 된다.
교육용 비디오테이프나 교육 방송 혹은 교육용 CD-Rom을 잘 활용하면, 주의를 오래 유지하지 못하는 아이들도 TV 화면에 주의를 집중하고, 장시간 주의를 유지하며, 주의 깊게 듣기를 배울 수 있고, 또한 어휘도 증가될 수 있다.
(11) 자녀의 독서 수준에 적합한 책을 골라 주어라.
정상적인 아이들은 학년이 올라가면 그 전 학년에서 얻어야 할 능력을 다 얻고 올라간다. 그러나 학습 장애 아동은 학년이 올라가도 실제 능력이 저학년 수준에 멈춰있다. 이 점을 학습 장애 아동을 둔 부모는 인정해야 한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에게 독서를 권할 때 자녀의 읽기 수준에 맞는 책을 선정하여 읽게 할 필요가 있다. 어려운 책을 권해서 아이가 읽기를 어렵다고 느끼게 하지 말고 자녀의 수준에 맞는 책을 골라 주어 자녀가 성공적으로 읽을 수 있는 경험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자녀의 특별한 재능을 발달시키도록 격려해라.
당신 자녀의 장점은 무엇인가? 자녀가 특별히 좋아하는 것은 무엇
인가? 이런 점을 늘 염두에 두고 이를 발견하면 자녀의 장점을 십분
활용하여 아이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13) 아이의 능력에 맞는 방법을 생각해라.
아이의 문제를 생각해보고 도움을 주는 방법을 생각해라.
(14) 아이와 이야기할 때 직접적이고 긍정적으로 이야기하여라.
비난을 피하고 대신에 지지적으로 이야기하고 지도를 해주어라.
아이가 어눌하게 말을 하더라도 잘 듣고 천천히 답하며 아이의 말을
다시 한 번 정리해주는 것도 필요하다.
(15) 아이의 방을 단순하게 하고, 집안에서 조용한 곳에 두어라.
가능한 한 아이에게 방이 편안하고 이완할 수 있으며 쉴 수 있는
곳이 되도록 도와주어라. 집중을 도와주는 방은 작고 창이 작아야
한다. 되도록 조용하고 햇빛이 직접 들지 않고 시원한 곳이 아이의
방이 되는 것이 좋다.
(16) 세상에서 다른 사람들과 사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어라.
학습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는 학교에서나 동네에서 친구들과
어울리기가 어렵다. 너무 소심한 아이가 되거나 아니면 공격적인 아
이가 되기 때문이다. 사회에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우리는 알고 있다. 따라서 만일 아이가 다른 아이
들과 잘 지내지 못한다면, 부모는 아이의 사회적 경험을 만들어 주
고 이끌어 주어야 한다.
(17) 아이는 자신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워야 한다.
아이를 하나의 인격체로 대해야 한다. 또한 아이가 자기 스스로의
일을 할 수 있도록 허락해야 한다. 아이는 스스로 책임을 져야하고,
자신이 가족의 일원으로써 가족에 공헌한다는 것을 느끼고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학교에서 교과목을 배우는 것보다 아동에게 더
중요한 것이다.
(18) 부모 자신의 삶을 영위해야 한다.
정기적으로 부모는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보내야 한다. 왜냐하면
학습 장애를 가진 자녀를 돌보는 일은 정신적으로 또 육체적으로 많
이 힘들기 때문이다. 아이를 돌보는 일을 쉬지 않게 되면 부모가 아
이보다 먼저 지치게 된다. 그럴 경우 부모는 인내심이 줄어들어 아
이에게 자주 화를 내고 아이의 입장을 이해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는
아이의 상태를 개선하는 데 방해가 되거나 오히려 악화시킬 수도 있
다. 학습 장애 아동의 경우 조기 발견하여 치료하지 않는 경우에 그
치료 기간이 상당히 길어지므로 부모의 의욕이 줄어들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부모가 정기적으로 쉬어서 재충전의 기회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는 쉬면서 자신의 관심 있는 일을 하고 문화 생
활을 즐기고 사기를 회복하도록 하여라.
(6) 겸손한 탐정이 되어라.
아이가 무엇을 배우는 게 어려운지 찾아보아라. 또한, 자녀의 흥미, 재능 그리고 기술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아라. 아이가 어려워하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찾아내는 것은 아이를 치료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특히 어린 시기에 이런 어려움을 찾아내게 되면 많은 이익이 있다.
또한 자녀의 흥미나 재능 그리고 갖고 있는 기술이 무엇인지에 대해 아는 것은 자녀에게 배우고자 하는 마음을 갖게 하는 데 커다란 도움을 준다. 뿐만 아니라 아동이 어려워하는 부분에 대한 접근 가능한 방법을 알려주는 정보자가 된다. 따라서 치료의 효과가 좋게 나타난다.
(7) 자녀의 강점인 부분을 가르쳐라.
예를 들어, 자녀가 듣고 이해하는 것은 잘하는데 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것을 어려워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런 경우에 자녀를 가르치기 위해서 읽기에 초점을 맞추어 "실패"를 경험하게 하는 것은 자녀의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없다. 따라서 자녀의 장점인 부분인 듣기에 초점 촐-맞추어 책 내용이 담긴 테이프나 비디오 등을 통하여 새로운 정보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좋다.
(8) 자녀의 머리가 나쁘지 않다는 것을 믿어라.
자녀가 읽거나 쓰지 못한다고 해서 다른 방법으로도 배울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학습 장애를 가진 아동은 지능이 평균이거나 그 이상이다. 즉, 이 말의 뜻은 다양한 접근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면 얼마든지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9) 실수는 실패와 똑같지 않다는 것을 기억해라.
학습 장애를 가진 아이나 부모는 아이의 실수를 커다란 실패로 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아동은 자신을 매일 실패만 하는 사람으로 보거나 실패에 따른 심한 좌절감을 느낄 것이다. 실수가 계속되면 아이는 아무 것도 시도하려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아이에게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줄일 수 있도록 아동이 자신의 실수를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이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10) 창조적으로 TV나 컴퓨터를 활용해라.
화면이 빠르게 변화하고 소리와 그림이 동시에 나오는 TV, 컴퓨터 혹은 비디오는 아이의 주의를 잡아끌어 당기므로 학습을 위한 좋은 매체가 된다.
교육용 비디오테이프나 교육 방송 혹은 교육용 CD-Rom을 잘 활용하면, 주의를 오래 유지하지 못하는 아이들도 TV 화면에 주의를 집중하고, 장시간 주의를 유지하며, 주의 깊게 듣기를 배울 수 있고, 또한 어휘도 증가될 수 있다.
(11) 자녀의 독서 수준에 적합한 책을 골라 주어라.
정상적인 아이들은 학년이 올라가면 그 전 학년에서 얻어야 할 능력을 다 얻고 올라간다. 그러나 학습 장애 아동은 학년이 올라가도 실제 능력이 저학년 수준에 멈춰있다. 이 점을 학습 장애 아동을 둔 부모는 인정해야 한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에게 독서를 권할 때 자녀의 읽기 수준에 맞는 책을 선정하여 읽게 할 필요가 있다. 어려운 책을 권해서 아이가 읽기를 어렵다고 느끼게 하지 말고 자녀의 수준에 맞는 책을 골라 주어 자녀가 성공적으로 읽을 수 있는 경험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자녀의 특별한 재능을 발달시키도록 격려해라.
당신 자녀의 장점은 무엇인가? 자녀가 특별히 좋아하는 것은 무엇
인가? 이런 점을 늘 염두에 두고 이를 발견하면 자녀의 장점을 십분
활용하여 아이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13) 아이의 능력에 맞는 방법을 생각해라.
아이의 문제를 생각해보고 도움을 주는 방법을 생각해라.
(14) 아이와 이야기할 때 직접적이고 긍정적으로 이야기하여라.
비난을 피하고 대신에 지지적으로 이야기하고 지도를 해주어라.
아이가 어눌하게 말을 하더라도 잘 듣고 천천히 답하며 아이의 말을
다시 한 번 정리해주는 것도 필요하다.
(15) 아이의 방을 단순하게 하고, 집안에서 조용한 곳에 두어라.
가능한 한 아이에게 방이 편안하고 이완할 수 있으며 쉴 수 있는
곳이 되도록 도와주어라. 집중을 도와주는 방은 작고 창이 작아야
한다. 되도록 조용하고 햇빛이 직접 들지 않고 시원한 곳이 아이의
방이 되는 것이 좋다.
(16) 세상에서 다른 사람들과 사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어라.
학습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는 학교에서나 동네에서 친구들과
어울리기가 어렵다. 너무 소심한 아이가 되거나 아니면 공격적인 아
이가 되기 때문이다. 사회에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우리는 알고 있다. 따라서 만일 아이가 다른 아이
들과 잘 지내지 못한다면, 부모는 아이의 사회적 경험을 만들어 주
고 이끌어 주어야 한다.
(17) 아이는 자신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워야 한다.
아이를 하나의 인격체로 대해야 한다. 또한 아이가 자기 스스로의
일을 할 수 있도록 허락해야 한다. 아이는 스스로 책임을 져야하고,
자신이 가족의 일원으로써 가족에 공헌한다는 것을 느끼고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학교에서 교과목을 배우는 것보다 아동에게 더
중요한 것이다.
(18) 부모 자신의 삶을 영위해야 한다.
정기적으로 부모는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보내야 한다. 왜냐하면
학습 장애를 가진 자녀를 돌보는 일은 정신적으로 또 육체적으로 많
이 힘들기 때문이다. 아이를 돌보는 일을 쉬지 않게 되면 부모가 아
이보다 먼저 지치게 된다. 그럴 경우 부모는 인내심이 줄어들어 아
이에게 자주 화를 내고 아이의 입장을 이해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는
아이의 상태를 개선하는 데 방해가 되거나 오히려 악화시킬 수도 있
다. 학습 장애 아동의 경우 조기 발견하여 치료하지 않는 경우에 그
치료 기간이 상당히 길어지므로 부모의 의욕이 줄어들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부모가 정기적으로 쉬어서 재충전의 기회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는 쉬면서 자신의 관심 있는 일을 하고 문화 생
활을 즐기고 사기를 회복하도록 하여라.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