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발달과 성격장애] 성격의 발달과정(성격발달단계), 성격발달의 영향요인, 성격의 구조, 성격장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격발달과 성격장애] 성격의 발달과정(성격발달단계), 성격발달의 영향요인, 성격의 구조, 성격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성격발달과 성격장애

I. 성격장애

II. 성격의 구조
1. 이드(id)
2. 자아(ego)
3. 초자아(superego)

III. 성격의 발달
1. 유아기
1) 구강기
2) 항문기
2. 유년기(3-7세)
1) 생식기
2)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3) 잠복기
3. 사춘기
4. 성년기

IV. 성격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

V. 방어기제

본문내용

지의 내재화 등 초자아가 이루어진다. 성격의 성숙과 자아, 그리고 초자아의 성장에는 어린이의 부모와의 동일화가 필요하다. 어머니의 가르침이 갈팡질팡할 때, 그 어린이는 사람과 미움의 뒤범벅이 된 부조화된 감정을 느낄 것이며, 커서 대인관계에까지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분함과 적의에 찬 성격이 어린 시절의 경험에서 이루어졌다면 그 신경증적으로 반복적인 언동은 사회에 나가서도 되풀이될 것이다.
아버지와의 관계가 불행했던 어린이는 커서 아버지를 닮았거나 상징하는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나 권력을 가진 사람에게 적대하는 일은 흔히 있는 일이기 때문에 원만한 어머니와의 관계가 필요하다.
(2)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이성부모에게 마음이 끌리게 되고 동성부모에게는 경쟁과 질투를 느끼며 적대시하는 경향이 생기고 사람과 미움의 감정이 느껴지기 시작한다. 커가는 자아로 현실 판단이 생기고 거기에다가 아버지의 거세의 위협에 대한 두려움으로 해서 사내아이는 아버지와 동일화하여 남성적인 면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자기의 목표로 삼는다. 계집 아이 역시 마찬가지로 어머니와 동일화하여 여성으로서의 만족을 느끼고 여자가 됨으로써 안정감을 갖게 된다.
(3) 잠복기
성적흥미가 제한되어 있고 성적 특징이 생리적으로 노골화되지 않아서 잠복기라고 하는데 자기 성의 확립, 동성과의 동일화는 한층 강해진다. 한 개인의 사회화가 이루어지며 사회의 습관과 놀이를 통해서 어린이는 일을 해낼 때 얻는 쾌감과 자신과 위신을 경험하게 된다. 상과 벌의 고착 이후에 변태성으로 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자아이상은 더 굳건하게 수립되며, 가장 강력한 억압이 작용하게 된다. 잠복기의 후기는 공격적 충동의 조절, 사회적 지위에 대한 관심과 추구가 크게 문제되는 시기이며 사회의 압력을 느끼며, 그 안에서의 자신의 기회와 자기의 능력의 표시도 문제가 되는 시기이다.
3) 사춘기
자신의 의의를 찾으려 하며, 집안이나 부모에게 계속 의지하면서도 자기를 발견하고 자주를 찾아 독립을 원하는 중간 길에 놓여있는 시기이다. 성장에 따른 진통이 심하며 지나치게 이상화된 선배나 어론과의 동일화로 그릇된 주의나 신앙이나 지도자에게 오도되기 쉽다. 집에서의 속박과 권위에 대항하여 반사회적으로 나오거나 회의적, 냉소적, 공격적 또는 노출적인 언동을 할 수 있다. 이성에 관심을 갖고 눈을 뜨게 된 반면에 사회적으로 이를 누르고 억압하는 힘이 강하여 자연적으로 공상을 많이 하게 된다.
4) 성년기
성숙한 어른이란 우선 주체성이 뚜렷한 자주독립을 이룬 사람으로서 자기의 판단과 결정을 혼자서 할 수 있는 동시에 남의 의견을 존중하고 남의 좋은 결정을 따를 줄 알며, 협조와 봉사가 가능한 사람이어야 한다. 자기의 책임은 스스로가 지고 자기의 목표에 따라 전진하되 자신의 결점과 부족을 인식하고, 신축성 있고, 융통성 있게 참으며, 남과 인화를 이를 수 있어야 한다. 또 성숙한 이성과 결혼하여 자식을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건전한 사람이란 자기 분수에 맞게 일을 하며, 일에 힘을 쏟고 거기에서 만족을 느끼는 사람이다. 건강한 사람이란 병이 없다기보다 자신의 약점과 장점이 무엇인가를 인식하고 있고, 가정에서나 직장에서 주위의 사람들과 원만하고 건전한 관계를 맺고 창조의 삶을 영위하는 사람이다. 창조의 삶이란 한 차원 높은 삶을 말한다.
4. 성격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
1) 어렸을 때의 환경
(1) Spitz의 실험
고아원양육과 여자 형무소 안에서의 양육이 정서적인 성장에 미치는 요인, 원숭이의 실험.
따뜻한 어머니의 품을 모르고 자란 어린이는 자기에게 오는 자극이 없고, 사랑과 믿음이 성장할 기회가 없어서 나중에 자란 후에도 동일화가 이루어지기 힘들며, 자아나 초자아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기 쉽다(문제아, 말썽꾼, 싸움패 ‥‥ 등이 많음).- 어머니 됨이 중요 - 인공우유의 문제점, 무통분만이 성격에 미치는 영향, 누에고치의 실험 쌍둥이 - 자기의식 희박, 동심동체를 만듦, 독자의 특성 ‥‥
(2) 신체자아(身體自我)
아이는 6개월부터 자기의 입, 손 등 몸의 일부를 알기 시작하는 것으로 신체 심상은 사회가 만들어 내는 것이다. 대부분이 사지의 절단에서 환형현상을 보는데 이는 평소에 느끼지 않는 신체 심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3) 신체형
Kretschmer가 분류한 비만, 세장, 투사, 발육부전 등 네 가지다.
(4) 사상체질과 성격
태양인, 태음인, 소음인, 소양인
(5) 성격형
외향적, 내향적
5. 방어기제
(1) 억압
가장 우선적인 방어기제로 자아가 억압에 성공하면 다른 목적에 쓰이지만 자아가 견딜 수 없도록 에너지가 강하면 불안을 느끼게 된다. 억압이 성공하면 사회적이나 도덕적으로 순응하고 잘 적응된 생활을 하게 된다(억제와 구분).
(2) 동일화
동일화의 과정은 성격발달에 중요한 일을 하며 자아와 초자아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적대하는 동일화 과정결과에서 소년범죄가 나타날 수 있으며, 공격자와의 동일화(나는 도깨비다) 등이 있다. 동일화의 심리적 목적이 원망(願望)의 충족에 있다고 볼 수 있다.
(3) 전이
전에 알았던 사람을 최근에 알게 된 사람과 동일화하여 전에 알았던 사람에게 쓸던 감정을 옮기는 것을 말한다.
(4) 투사
자신의 바람직하지 못하고 용납될 수 없는 기제를 남 때문이라고 내던지는 심리기제
(5) 반동형성
겉으로 나타나는 태도나 언행이 사람의 억압된 용납될 수 없는 충동의 정반대인 경우의 무의식적인 심리기제(노모를 걱정하다 혼기를 놓친 노처녀의 무의식 속에는 어머니에 대한 적의, 질투, 심지어 죽기를 바라는 심정까지도 있을 수 있다).
(6) 대상(代償)
신체적 구조, 성격의 특성, 지적인 성취 등의 실제의 또는 상상의 결함을 메우거나 체면을 유지하려는 무의식적인 기제(키가 작은 사람이 작은 체구가 암시하지 못하는 힘과 권위를 찾기 위해 공격적인 언동을 하고 덤벼드는 성격으로 되는 경우‥.)
(7) 합리화
자존심과 체면을 유지하기 위한 자기조절적인 목적을 가진 기제(이솝우화의 신포도 이야기)
- 이동
- 상징화
- 퇴행 또는 후회
- 해리(이중성격의 증상, 몽유병)
- 부정
- 승화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10.26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