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지발달이론
I.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1. 인지발달 기제
가) 기능적인 면
나) 구조적인 면
2. 주요 개념
가) 도식
나) 동화
다) 조절
라) 평형화
II. 브루너(Bruner)의 인지발달이론
1. 행동적 표현단계
2. 영상적 표현단계
3. 상징적 표현단계
III. 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
1. 이론의 기초
2. ZPD이론
3. 내면화 이론
4. 개념적 사고의 발달단계
I.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1. 인지발달 기제
가) 기능적인 면
나) 구조적인 면
2. 주요 개념
가) 도식
나) 동화
다) 조절
라) 평형화
II. 브루너(Bruner)의 인지발달이론
1. 행동적 표현단계
2. 영상적 표현단계
3. 상징적 표현단계
III. 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
1. 이론의 기초
2. ZPD이론
3. 내면화 이론
4. 개념적 사고의 발달단계
본문내용
)를 통
하여 평가하면, 이러한 측정은 항상 아동의 현실적 발달수준을 반영한다.
ZPD는 아동이 혼자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으면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폭이다. 그것의 아래쪽 경계선은 이미 성취된 발달과정의 열매이고, 위쪽 경계선
은 지지적 정황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새로이 나타나는 능력이다. 학습이 이미 성
취된 발달수준을 향하여 행해진다면 그것은 아동의 전체적인 발달의 관점에서 비
효율적이다. 그러한 학습은 발달과정의 새로운 단계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발달과정을 뒤따라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Vygotsky는 현실적 발달수준 외에 ZPD
라는 개념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한다.
3/ 내면화 이론
Vygotsky의 발달이론은 논리적 문제 해결이나 의도적 기억활동과 같은 고등정신기능은 먼저 개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일어나고 그 후에 내면화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어떠한 내적인 고등정신기능도 외적인 발달단계를 거쳐야 한다. 왜냐하면 고등정신기능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기능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내적 행동과 외적 행동에 관한 문제의 중심과제이다‥‥‥‥ 우리가 "외적(extemal)"과정이라고 할 때 이는 "사회적(social)"이라는 것을 뜻한다. 어떠한 고등정신기능도 외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그러한 정신기능은 내적인 것, 즉 진정한 정신기능이 되기 전에는 사회적인 것이기 때문이다(Vygotsky, 1981: 162).
Vygotsky에 의하면, 고등정신의 내용에 관계된 상호작용의 내용뿐만 아니라 상
호작용의 구조와 의미도 고등정신의 구조와 의미에 반영된다는 것이다. Vygotsky
는 발달과정에 있어서 사회적 언어와 사회적 의미가 내면화되어 개인의 상징적
사회적 사고의 구조와 기본단위가 된다고 한다. 그 사회화된 사고 또는 "개인적
언어(Private speech)"는 개인이 자신의 내적 외적 심리활동(inter and intra
psychological activities)을 구조화하고 조절하는 도구로 작용한다.
4/ 개념적 사고의 발달단계
Vygotsky가 아동의 개념 형성 과정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매우 독특
한 것이었다. 그는 개념적 사고의 발달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서 'Vygotsky's
Block'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검사 도구를 창안해 냈다. 개념적 사고라고 하는 것
은, 2개 이상의 현상에 의해 공유되는 특성을 추상화하거나 명명하거나 해서 자기
의 환경을 조직해 가는 것을 말한다.
Vygotsky는 우선 한 개인이 하나의 개념을 형성해야 할 필요를 느낄 때 수반되
어 일어나는 과정을 살피기 위해 어린이와 청소년, 그리고 성인에 아르기까지 이
검사를 실시하였다. Vygotsky는 수백 명의 서로 다른 연령에 속해 있는 아동들에
게 'Block Test'를 실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아동이 개념적
사고를 할 수 있게 되는 시기는 취학 전기에서 청소년 중기에 속하는 연령에서이
며, 개념적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의 단계를 거쳐야 하고 각각의 단계는 일
런의 하위 단계를 거치게 된다는 것이다.
가) 1단계-혼합적 심상 사고(Phase of syncretic images): 이 단계의 아동
은 어떤 사물을 단순히 자기 자신의 감각에 의해 우연적으로 조합한다.
- 시행착오 단계(trial and error stage)
- 지각적 단계(Perceptual stage)
- 재구성 단계(reformed stage)
가) 2단계-복합적 사고(thinking in complex):이 단계에서 아동은자신의 마
음속에 떠오르는 주관적 인상뿐만 아니라 객관적 관계를 인식하고 사물을
분별한다. 이때는 자기중심적 언어와 사고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사고하
게 된다.
- 연합 단계(associate stage)
- 집합적 단계(collection stage)
- 연쇄 단계(chaining stage)
- 확산 단계(diffuse stage)
- 유사 개념 단계(Pseudo-conceptual stage)
Vygotsky에 의하면 참된 개념적 사고는 아동이 타인으로부터 배워서 알고
있는 분류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지각한 구체적인 특
징에 의해서 어떤 사물을 자발적으로 분별하는 행동이 형성되는 것을 랄한
다. 복합적 사고는 성인의 언어 속에 등장하는 단어가 갖는 의미에 따라서 발
달해 간다. 실생활에서 복합적 사고는 말에 의해 좌우되는데 이때 말이 뜻하
는 의미는 아동이 자발적으로 깨우친 것이 아니고 성인으로부터 배운 것이
다. 그러나 대체로 많은 성인들은 아동이 개념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오해
하기 쉽다. 개념은 취학 전기에 있는 아동들의 모든 복합적 사고 형태를 지배
한다.
다) 3단계-개념적 사고(thinking in concepts):사고의 발달에 있어서 가장 높
은 수준의 개념적 사고는 이미 제2단계의 복합적 사고 과정에서 그 조짐을
찾아볼 수 있다. Vygotsky에 의하면 아동은 두 개의 길을 따라 참된 개념적
사고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 그 첫 번째의 길은 일련의 복합적 사고 유형에서
찾아볼 수 있는 모으는 기능과 나누는 기능을 통해서이고, 그 두 번째는 추상
적 요소를 지각하고, 현상을 분석, 통합하는 기능을 통해서이다. 이 두 가지
기능은 서로 교차하고 분리되면서 아동 발달의 과정 속에서 새로운 차원으
로 나타난다.
-최대 유사성의 단계(린age of maximal similarities)
-잠재적 개념의 단계(stage of potential concepts)
-순수 개념의 단계(stage of genuine concepts)
Vygotsky는 개념 형성의 고등 정신 과정은 언어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하
였다. 주의 집중이나 어떤 사물의 특징을 추상화하는 것, 그리고 이러한 것들
을 통합하고 기호에 의해 상징화시키는 것들은 모두가 말을 매개체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동의 발달은 아동이 성장하고 있는 사회의 문화, 역사를 배경으로 하여 그 사
회 속에서의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욱이 진보된 형태의 개념적 사고
는 그 사회가사용하고 있는 언어를 도구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하여 평가하면, 이러한 측정은 항상 아동의 현실적 발달수준을 반영한다.
ZPD는 아동이 혼자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으면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폭이다. 그것의 아래쪽 경계선은 이미 성취된 발달과정의 열매이고, 위쪽 경계선
은 지지적 정황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새로이 나타나는 능력이다. 학습이 이미 성
취된 발달수준을 향하여 행해진다면 그것은 아동의 전체적인 발달의 관점에서 비
효율적이다. 그러한 학습은 발달과정의 새로운 단계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발달과정을 뒤따라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Vygotsky는 현실적 발달수준 외에 ZPD
라는 개념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한다.
3/ 내면화 이론
Vygotsky의 발달이론은 논리적 문제 해결이나 의도적 기억활동과 같은 고등정신기능은 먼저 개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일어나고 그 후에 내면화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어떠한 내적인 고등정신기능도 외적인 발달단계를 거쳐야 한다. 왜냐하면 고등정신기능은 본질적으로 사회적 기능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내적 행동과 외적 행동에 관한 문제의 중심과제이다‥‥‥‥ 우리가 "외적(extemal)"과정이라고 할 때 이는 "사회적(social)"이라는 것을 뜻한다. 어떠한 고등정신기능도 외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그러한 정신기능은 내적인 것, 즉 진정한 정신기능이 되기 전에는 사회적인 것이기 때문이다(Vygotsky, 1981: 162).
Vygotsky에 의하면, 고등정신의 내용에 관계된 상호작용의 내용뿐만 아니라 상
호작용의 구조와 의미도 고등정신의 구조와 의미에 반영된다는 것이다. Vygotsky
는 발달과정에 있어서 사회적 언어와 사회적 의미가 내면화되어 개인의 상징적
사회적 사고의 구조와 기본단위가 된다고 한다. 그 사회화된 사고 또는 "개인적
언어(Private speech)"는 개인이 자신의 내적 외적 심리활동(inter and intra
psychological activities)을 구조화하고 조절하는 도구로 작용한다.
4/ 개념적 사고의 발달단계
Vygotsky가 아동의 개념 형성 과정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매우 독특
한 것이었다. 그는 개념적 사고의 발달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서 'Vygotsky's
Block'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검사 도구를 창안해 냈다. 개념적 사고라고 하는 것
은, 2개 이상의 현상에 의해 공유되는 특성을 추상화하거나 명명하거나 해서 자기
의 환경을 조직해 가는 것을 말한다.
Vygotsky는 우선 한 개인이 하나의 개념을 형성해야 할 필요를 느낄 때 수반되
어 일어나는 과정을 살피기 위해 어린이와 청소년, 그리고 성인에 아르기까지 이
검사를 실시하였다. Vygotsky는 수백 명의 서로 다른 연령에 속해 있는 아동들에
게 'Block Test'를 실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아동이 개념적
사고를 할 수 있게 되는 시기는 취학 전기에서 청소년 중기에 속하는 연령에서이
며, 개념적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의 단계를 거쳐야 하고 각각의 단계는 일
런의 하위 단계를 거치게 된다는 것이다.
가) 1단계-혼합적 심상 사고(Phase of syncretic images): 이 단계의 아동
은 어떤 사물을 단순히 자기 자신의 감각에 의해 우연적으로 조합한다.
- 시행착오 단계(trial and error stage)
- 지각적 단계(Perceptual stage)
- 재구성 단계(reformed stage)
가) 2단계-복합적 사고(thinking in complex):이 단계에서 아동은자신의 마
음속에 떠오르는 주관적 인상뿐만 아니라 객관적 관계를 인식하고 사물을
분별한다. 이때는 자기중심적 언어와 사고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사고하
게 된다.
- 연합 단계(associate stage)
- 집합적 단계(collection stage)
- 연쇄 단계(chaining stage)
- 확산 단계(diffuse stage)
- 유사 개념 단계(Pseudo-conceptual stage)
Vygotsky에 의하면 참된 개념적 사고는 아동이 타인으로부터 배워서 알고
있는 분류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지각한 구체적인 특
징에 의해서 어떤 사물을 자발적으로 분별하는 행동이 형성되는 것을 랄한
다. 복합적 사고는 성인의 언어 속에 등장하는 단어가 갖는 의미에 따라서 발
달해 간다. 실생활에서 복합적 사고는 말에 의해 좌우되는데 이때 말이 뜻하
는 의미는 아동이 자발적으로 깨우친 것이 아니고 성인으로부터 배운 것이
다. 그러나 대체로 많은 성인들은 아동이 개념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오해
하기 쉽다. 개념은 취학 전기에 있는 아동들의 모든 복합적 사고 형태를 지배
한다.
다) 3단계-개념적 사고(thinking in concepts):사고의 발달에 있어서 가장 높
은 수준의 개념적 사고는 이미 제2단계의 복합적 사고 과정에서 그 조짐을
찾아볼 수 있다. Vygotsky에 의하면 아동은 두 개의 길을 따라 참된 개념적
사고에 이르게 된다고 한다. 그 첫 번째의 길은 일련의 복합적 사고 유형에서
찾아볼 수 있는 모으는 기능과 나누는 기능을 통해서이고, 그 두 번째는 추상
적 요소를 지각하고, 현상을 분석, 통합하는 기능을 통해서이다. 이 두 가지
기능은 서로 교차하고 분리되면서 아동 발달의 과정 속에서 새로운 차원으
로 나타난다.
-최대 유사성의 단계(린age of maximal similarities)
-잠재적 개념의 단계(stage of potential concepts)
-순수 개념의 단계(stage of genuine concepts)
Vygotsky는 개념 형성의 고등 정신 과정은 언어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하
였다. 주의 집중이나 어떤 사물의 특징을 추상화하는 것, 그리고 이러한 것들
을 통합하고 기호에 의해 상징화시키는 것들은 모두가 말을 매개체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동의 발달은 아동이 성장하고 있는 사회의 문화, 역사를 배경으로 하여 그 사
회 속에서의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욱이 진보된 형태의 개념적 사고
는 그 사회가사용하고 있는 언어를 도구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