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관련 심리장애(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전환장애, 해리장애, 심인성둔주, 중다성격, 이인증장애, 현실이탈증, 스트레스성 신체장애, 편두통, 궤양, 신경성 식용상실증, 생식비뇨기장애, 관상동맥성 심장병,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트레스 관련 심리장애(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전환장애, 해리장애, 심인성둔주, 중다성격, 이인증장애, 현실이탈증, 스트레스성 신체장애, 편두통, 궤양, 신경성 식용상실증, 생식비뇨기장애, 관상동맥성 심장병,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스트레스 관련 심리장애

1.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2. 전환장애

3. 해리장애

4. 심인성 둔주

5. 중다성격

6. 이인증 장애

7. 현실이탈증

8. 스트레스성 신체장애

9. 편두통

10. 궤양

11. 신경성 식욕상실증

12. 생식비뇨기장애

13. 관상동맥성 심장병

14. 천식

15. 암

본문내용

한 공포, 바람직하지 못한 환경 등이다.
여성의 불감증은 성생활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다든지 절정감을 경험하지 못한다든지 혹은 성에 대한 혐오 등으로 나타난다. 여성의 불감증에서 불안, 죄의식 및 적개심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다.
13) 관상동맥성 심장병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혹은 심장 발작의 두 가지가 있다. 협심증의 증후는 주기적으로 가슴에 통증이 오는 것인데 이는 흉골에서 왼쪽 어깨와 팔에서 빈번하게 느낀다. 통증의 원인은 심장에의 산소 공급이 불충분한 데 있다. 관상동맥경화증은 지방 물질의 축적으로 인해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진 상태를 말한다. 미국 심장학회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관상 동맥성 심장병은 나이, 성별, 흡연, 혈압, 혈청 콜레스테롤 축적, 적개심 증대, 비만증의 일곱 가지의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고 한다.
관상동맥성 심장병의 원인
스트레스나 성격특징에서 찾으려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과중한 업무, 만성 갈등 및 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한다.
관상동맥성 심장병은 심리적 요인과 깊은 관계가 있다는 사실은 후속 연구에 의해서 확증되었다. 관상동맥성 심장병의 위험이 있는 A형 성격은 경쟁과 쟁취의 욕구가 강하며 시간이 지나가는 것을 긴박하게 느끼며, 공격심과 적개심이 강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14) 천식
천식은 기관과 세기관지가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하여 예민하게 반응하므로 기도가 좁아져서 환기가 어렵게 된 상태이다. 특히 호기가 어렵게 되며 쌕쌕거리게 된다. 천식 발작은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본인은 가슴이 꽉 조이는 것같이 답답하게 느껴지고 숨이 책책거리는 것 같고 기침이 나을 것 같기도 하며 침을 뱉고 싶은 생각이 든다. 그래서 본인은 공포에 싸이게 되고 안절부절 못하며 심한 피로감을 느낀다.
천식장애의 심리적 요인
정서나 성의 관련여부가 원인. 욕구좌절, 분노, 우울증 및 기대되는 흥분 때문에 호흡기 계통의 기능이 장애를 받아 결국에 가서는 천식으로 발전하기 쉽다.
천식은 성격특징과 깊은 관계가 있다. 의존심이 강하고 부적응 상태에 있는 신경증의 특징이 천식을 유발시키는 직접적 원인이 될 수 있고(Herbert, 1965)성격이 유화하고, 예민하고, 불안하고, 세심하고, 완벽성이 있고, 강박성이 있는 사람 가운데 천식 환자가 많다(Rees, 1964). 이와 같은 사실을 보면 천식 환자는 신경증적 경향성이 높은 것이 보통인데, 이는 자신의 만성 질병에 대한 반응으로 생각할 수 있다.
15) 암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이며 그것(조직의 과잉성장)은 개체의 아무런 유용한 목적에도 기여하지 못하고 대개는 정상적인 조직에 대해서 파괴적인 것이다.
(1) 발병원인
스트레스, 성격특성, 우울증상과 관련(Cooper, 1988). 심한 불안이나 희망의 상실 또는 실망이 암 조직에 영향을 준다(Paget, 1870).
근래에는 암이 심리 사회적 스트레스나 성격특성과 밀접히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연구의 뒷받침을 받고 있다. 임상적인 연구에 의하면 도저히 회복할 수 없는 절망감에 빠지거나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인 사람에게서 암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난다(Schmale & Iker, 1966).또 다른 연구에서 폐암 환자에 대한 연구에서 생의 의미의 상실, 직장의 불안정이나 미래의 불확실성이 담배 흡연량보다는 더 암과 관련이 높았다(Horne & Picard, 1979). 이밖에도 감정을 잘 처리하지 못하는 사람에게서 암 발생률이 더 높다는 연구도 있다.
(2) 암 환자의 성격특성(Eysenck, 1987)
- 정서적 흥분을 부정하거나 억압
- 경직성과 인습성 성향을 보임.
- 분노의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함.
- 무망감의 경향과 우울성 향을 보임.
(3) 스트레스, 성격특성과 그리고 암발생 관계
Seligman(1989)은 주요한 상실이 어떻게 암 발생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가설적인 모형을 제의하고 있다. 즉 주요한 타인으로의 남편이 죽으면 부인은 무력감을 경험하게 되고 부인이 만일 비관적인 성격 특성을 지였다면 이런 경험 때문에 우울해질 것이라고 본다.
이렇게 우울해지면 캐타콜라민의 생산이 억제되고 엔돌핀의 분비가 증가할 것이다. 이런 내분비선의 변화가 면역적치를 낮추고 그렇게 되면 T세포와 자연살상세포의 기능이 떨어져서 암세포를 확인하여 용해하는 기능을 못하게 된다. 따라서 암세포가 저항 없이 증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4) 암에 대한 심리 사회적 치료개입
암에 대한 투병의욕이나 긍정적 마음가짐이 암의 치료에 유효하다는 연구가 있다. 유방암 환자를 10년간 추적한 연구에 의하면 투병의욕이 강한 환자가 암을 받아들이는 환자보다 생존율이 훨씬 높았다고 한다(Pettingale et al., 1985).
(5) 스트레스의 조절
- 스트레스 반응의 개인적인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 약물요법이 도움이 된다.
- 정신치료가 효과적이다.
- 최근 새로운 접근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6) 이완훈련
- 점진적 이완(Progressive relaxation)
- 명상(meditation)
- 최면(hypnosis)
-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7) 대처방법(coping style)교육
- 내적수단(internal resource) : 부정(denial), 전위(displacement), 대 체 형성(substitution)
- 외적수단(external resource) : 경제적 도움, 사회적 지지
(8) 스트레스 해결을 위한 8가지 기본적인 대처방법
- 정보획득(intellectualization)
- 느끼는 것과 반대로 행동(reaction formation)
- 스트레스의 중요성을 최소화(denial)
- 스트레스를 기피(repression)
- 도움을 청 함(regression)
- 불충분한 점을 극복(compensation)
- 다른 사람을 비난(Projection)
- 관계없는 즐거운 일을 함(displacement)
(9) 스트레스 inoculation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tolerance)이 생기도록 도와준다. Phobia, 만성통증, 시험불안, 알코올 중독에 효과가 있음.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5.10.26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2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