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신생아의 생리적 기능, 신생아의 반사운동, 신생아의 건강상태와 행동평가(Apgar검사-아프가점수, 브레즐튼 신생아 행동평가척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생아의 신체적 특징, 신생아의 생리적 기능, 신생아의 반사운동, 신생아의 건강상태와 행동평가(Apgar검사-아프가점수, 브레즐튼 신생아 행동평가척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신생아

I. 신체적 특징

II. 생리적 기능
1. 호흡, 맥박, 체온
2. 수면
3. 수유
4. 배설

III. 아기돌보기
1. 배꼽처리
2. 유두 짜주기
3. 목욕시키기
4. 일광욕시키기
5. 운동시키기
6. 예방접종

IV. 반사운동
1. 근원반사
2. 빨기반사
3. 모로반사
4. 바빈스키반사
5. 수영반사
6. 파악반사
7. 걸음마반사

V. 건강상태와 행동평가
1. Apgar검사
2. Brazelton 신생아 행동평가 척도

본문내용

이 외부의 자극에 대한 무의식적이고도 자동적인 반응을 말한다. 신생아는 외부의 자극에 대해 여러 가지 반사행동을 보이는데, 반사행동에는 생존반사와 원시반사의 두 종류가 있다. 생존반사는 신생아의 생존에 필요한 것으로 호흡반사, 눈 깜빡거리기 반사(eye-blink reflex), 빨기 반사(sucking reflex) 삼키기 반사(swallowing reflex), 근원 반사 원시반사는 신생아의 생존과는 관계가 없는 반사로 인류의 진화과정의 흔적으로 보인다. 모로 반사(Moro reflex), 바빈스키 반사(Babinski reflex) 수영 반사(swimming reflex), 파악 반사(grasping reflex), 걸음마 반사 등이 원시반사의 예이다. 원시반사는 대부분 수개월 이내에 사라지는데, 이는 대뇌피질이 발달함에 따라신생아의 반사운동이 점차적으로 의식적 이고 자발적인 행동으로 대체되기 때문이다. 원시반사가 기능적인 가치는 별로 없다하더라도 발달상태를 평가하는 데에는 매우 유용하다. 만약 이러한 반사행동이 출생 시 나타나지 않거나 수개월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으면 신경계통에 어떤 문제가 없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신생아가 보이는 대표적인 반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근원 반사
신생아는 입 주위에 자극을 주면 그 자극을 향해 고개를 돌리고, 입을 벌려 이
것을 빨려고 한다. 입에서 먼 합에 자극물을 갖다 대어도 필사적으로 먹이라는 자
극물을 찾아간다.
(2) 빨기 반사
신생아는 구강자극에 민감하여 입에 당는 것은 무엇이든지 빨려고 하는데 이것
이 빨기 반사이다. 빨기 반사는 근원 반사와 마찬가지로 생존을 위해 타고난 반사
행동이다.
(3) 모로 반사
Moro가 발견한 반사정동이다. 갑자기 큰 소리를 내거나, 신생아를 안고 있다가 갑
자기 내려놓으면 팔이 활모양으로 휜다. 또한 신생아를 똑바로 눕힌 채 누운 자리 근처를 양쪽에서 세게 두드리면 팔을 죽 벌리면서 손으로 무엇인가를 잡으려고 하는 것 같은 자세를 취한다.
(4) 바빈스키 반사
Babinski가 발견한 반사행동이다. 신생아의 발바닥을 발꿈치에서 발가락 쪽으
로 간질이면 엄지발가락을 구부리는 반면, 다른 네 발가락은 부채처럼 좌 펴는 반
응을 보인다.
(5) 수영 반사
아기를 물속에 넣으면 물 위에 뜨기 위해 적절한 팔다리 운동과 호흡을 한다.
(6) 파악 반사
신생아의 손바닥에 어떤 물건을 쥐어주면 그것을 빼내기 힘들 정도로 꼭 쥐는
반응을 보인다. 나무에 매달리는 원숭이의 파악행동을 예로 들면서 파악반사를
인류 진화과정의 잔존물로 해석하는 학자도 있다.
(7) 걸음마 반사
신생아의 겨드랑이를 잡고 살짝 들어 올려 바닥에 발을 닿게 하면, 걸어가듯이
무릎을 구부려 발을 번갈아 땅에 내려놓는데 이것을 걸음마 반사라고 한다.
IV. 건강상태와 행동평가
신생아의 초기 운동능력이나 건강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 Apgar 검사와
Brazelton 신생아 행동평가 척도가 사용된다.
(1) Apgar검사
Virginia Apgar(1953)박사가 개발한 Apgar검사는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평가하
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의학적 검사이다. Apear검사는 비전문가도 평가
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하다. Apgar검사는 출생 1분 후, 그리고 다시 5분 후에 두
번에 걸쳐 실시된다. Apgar검사로 아기의 상태를 자세하게 알 수는 없지만, 어떤
아기가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한 상태에 있는지는 알 수 있다.
Apgar 검사의 영역과 채점기준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Apgar검사는 맥박, 호흡, 근육상태, 반사능력, 피부색 등의 다섯 가지 영역에서 각 영역별로 2점씩 총 10점 만점으로 평가된다.
Apgar점수가 7점 이상이면 건강상태가 양호한 것인데, 대부분의 신생아들은 7점 이상을 받게 된다. Apgar 점수가 4점 이하이면 위험한 상태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영아돌연사 증후군으로 사망하는 영아는 Apgar 점수가 낮은 경향이 있다.
우리나라 신생아 13,320명을 대상으로 Apgar검사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신생아들(97.7%)이 7점 이상을 받아 건강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2주 이내 출산한 조산아 중에서 체중이 2.5kg 이하인 미숙아의 경우 Apgar 점수가 현저히 낮았으며, 여아보다는 남아가 평균적으로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pgar 점수가 낮을수록 질식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았다.
낮은 Apgar 점수는 이미 태중6에서 발생한 문제(예를 들면, 산모의 우울증, 불안, 음주, 흡연 등)일 수도 있으나, 출산과정 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들면, 일시적인 산소결핍증 또는 약물 등)에 기인하기도 한다. 수초 동안의 산소결점은 별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수분간 계속되는 산소결핍증은 뇌세포를 소별시킴으로써 뇌손상을 초래하고, 혈압을 증가시킴으로써 뇌출혈을 야기 시킨다.
(2) Brazelton신생아 행동평가 척도
Terry Brazelton(1973)박사가 개발한 Brazelton 신생아 행동평가 척도는 신생아가 주위 환경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알아보는 행동검사이다. 이 검사는 출생 후 1주일경에 실시하는데, 소요시간은 30분 정도 걸린다.
이 척도는 신생아의 주의집중력, 활동수준, 근육상태,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반응, 사람 얼굴과 목소리에 대한 사회적 반응 등을 평가한다. 자극에 얼마나 빨리 반응하는가를 평가할 뿐만 아니라 얼마나 빨리 다시 평온한 상태로 돌아가는가도 평가한다.
이 척도의 한 예로 아기가 깨어 있는 상태에서 아기 머리 위에서 종을 크게 울린다. 아기는 종소리를 듣고서 깜작 놀라는 반응을 한다.
다시 종을 울리면 저번만큼 놀라지 않는다. 왜냐하면 아기는 종소리에 습관화되었기 때문이다. 아기가 더 이상 종소리에 아무 반응을 보이지 않을 때까지 종을 몇 번 울렸는가로 점수를 계산한다. 종을 여러 번 울릴수록 점수가 낮다. 여기서 낮은 점수는 정보처리와 학습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10.30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9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