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제1장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수퍼비젼의 배경
1.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실천과 수퍼비젼의 개요
1)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실천의 개념정의
(1)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실천의 정의
(2)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실천의 목적
2)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수퍼비젼의 개요
(1)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수퍼비젼의 개념
(2) 사회복지기관 수퍼바이저의 책임과 업무
2. 수퍼비전의 역사와 발전과정
1) 슈퍼비젼 발전의 기원
(1) 1920 전․후
(2) 자선조직협회(COS)운동
(3) 지지적, 교육적, 행정적 과업
(4) 수퍼비젼의 기능
2) 사회사업 교육의 발달과 수퍼비젼
(1) 공식적 훈련프로그램 및 주 및 연방회의 실시
(2) 효과
3. 수퍼비젼 연구 및 문헌의 발달
1)개별사회사업과 수퍼비젼
(1) 발달과정
(2) Dawson(1926)의 수퍼비젼의 세 가지 기능
2)집단 사회사업과 지역사회조직에서의 수퍼비젼
(1) 지역사회조직 내 수퍼비젼에 대한 부정적 견해
(2) 지역사회 조직 내 수퍼비젼의 필요성 견해
(3) Wayne(1988)의 미시적/거시적 수퍼비젼 차이점
제1장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수퍼비젼의 배경
1.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실천과 수퍼비젼의 개요
1)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실천의 개념정의
(1)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실천의 정의
(2)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실천의 목적
2)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수퍼비젼의 개요
(1) 사회복지 및 사회사업 수퍼비젼의 개념
(2) 사회복지기관 수퍼바이저의 책임과 업무
2. 수퍼비전의 역사와 발전과정
1) 슈퍼비젼 발전의 기원
(1) 1920 전․후
(2) 자선조직협회(COS)운동
(3) 지지적, 교육적, 행정적 과업
(4) 수퍼비젼의 기능
2) 사회사업 교육의 발달과 수퍼비젼
(1) 공식적 훈련프로그램 및 주 및 연방회의 실시
(2) 효과
3. 수퍼비젼 연구 및 문헌의 발달
1)개별사회사업과 수퍼비젼
(1) 발달과정
(2) Dawson(1926)의 수퍼비젼의 세 가지 기능
2)집단 사회사업과 지역사회조직에서의 수퍼비젼
(1) 지역사회조직 내 수퍼비젼에 대한 부정적 견해
(2) 지역사회 조직 내 수퍼비젼의 필요성 견해
(3) Wayne(1988)의 미시적/거시적 수퍼비젼 차이점
본문내용
nson의 개별사회에서의 수퍼비젼(Supervision in Social Casework), 기능적 통제하에서의 수퍼비젼의 역동(The Dynamic of Supervision under Functional Controls), 1942년 Bertha Reynold의 교수와 학습(Learning & Teaching in the Practice of Social Work)
④Charlotte Towle의 인간의 공통욕구(Common Human Needs)에서 사회사업 수퍼비젼에 관한 내용 확대해서 다루어 졌다.
⑤수퍼비젼은 수퍼바이지에게 할 일을 지시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수퍼비젼 계획에 있어서 수퍼바이지 참여 더욱 권장, 수퍼바이저-수퍼바이지 관계의 상호성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변함하게 되었다.
⑥클라이언트의 효과적 도움을 위해 정신분석적 심리학이 수퍼비젼의 오리엔테이션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⑦1975년부터 사회사업 수퍼비젼에 관련된 문헌 뚜렷이 증가 주로 임상 중심이며, 교육적인 목적을 가진, 정신의학·심리·상담과 같은 인접 전문직들이 수퍼비젼에 대한 풍부한 문헌을 발전시켰으며, 교육적 수퍼비젼에 대한 이해 돕는데 기여하게 되었다.
(2)Dawson(1926)의 수퍼비젼의 세가지 기능
①행정적: 업무의 대한 적절한 기준의 향상 및 유지, 행정의 정책을 통한 실천의 조정, 효율적이고 원활한 업무가 진행되는 직무의 보장을 위한 방법으로, 1950-60년 대규모 공공복지 프로그램의 끊임없는 발달과 다양화, 1960~70년대 민주주의의 참여, 책무성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행정적 측면 강조 극대화 되었다.
②교육적: 워커개개인에 대한 교육적 발달은 자신의 유용성에 대한 가능성을 깨닫게 하고, 이를 완전하게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수퍼비젼의 요소 중 교육적 수퍼비젼 강조하게 되는데 1920-30년도에 전성기로 정신분석적 수퍼비젼 문헌은 교육적 수퍼비젼 목표를 ‘개인성장’ 동반한 ‘치료적 능력의 개발’ 및 임상적 전문적 지식의 습득 등으로 언급하였다..
③지지적: 단체양성, 조화로운 업무 관계유지위한 기능 설명
2)집단 사회사업과 지역사회조직에서의 수퍼비젼
집단서비스 기관의 발달로 인해 수퍼비젼의 내용은 더욱 풍부해졌으나, 개별사회사업으로부터 계속해서 강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한 지역사회조직에서 수퍼비젼은 공식화되지 못했으며, 수퍼비젼 직원을 배치할 정교한 계층구조가 없다. 또한 지역사회 조직가의 업무 특성은 산만한 경향과 그 목적 또한 애매하다.
1)지역사회조직 내 수퍼비젼에 대한 부정적 견해
①사회사업 에서 전문화된 하위집단들 중에서, 지역사회조직은 워커의 자율성에 대한 요구를 가장 강하게 느끼고 있다.
②수퍼비젼은 자신들의 확고한 가치와는 반대 입장 즉 복종을 의미하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③지역사회워커들은 그들의 기본적인 충성과 헌신을 그들이 일하고 있는 지역사회와 그 지역사회 내 사람들에게 바쳐야한다고 이해하고 있으며, 그들은 기관 자체와 관료제에 동일 시 하는 것을 꺼려한다. 오히려 지역사회가 대항하여 투쟁 할 것인지 무엇인지 대변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C. B & D. Tomas, 1977)
④수퍼바이저는 안전한 거리에 두어야 한다는 결론을 이끌어 낸다.
⑤지역사회 업무를 이론화시키고 전문성 개발하는 것은 워커와 지역사회 구성원간의 사회적 거리를 증가시키기에 수퍼비젼의 행정적 요소 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요구도 거부한다.
2)지역사회 조직 내 수퍼비젼의 필요성 견해
①고도로 정치화된 영역에서 일하는 지역사회워커는 다양한 압력과 힘겨루기에 부딪히는데 지역사회사회 집단을 다룰 때 워커는 기관이 방어하거나 지지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제기할 수 있는 행동이나 정책을 책임지도록 위임하게 된다.
②기관은 무엇이 계약 되어졌나, 어떤 협상이 의도되고 있나, 워커가 계획한 행동이 무엇인가에 대해 알 필요가 있기에 기관행정의 책무성에 대한 요구조건은 수퍼비젼의 과업이 되어야 할 것이다.
③그러나 지역사회조직가 업무의 특성은 때때로 지역사회워커들은 다른 사회사업 방법론의 워커들보다 잘 규정되지 못한 상황에서 기능하게 되며, 이것은 부분적으로 대부분의 실천이 지닌 실험적 특성에서 기인하게 된다.
3) Wayne(1988)의 미시적/거시적 수퍼비젼 차이점
거시적(집단)
미시적(개인)
중심적 태도
감정 중심적
인지 중심적
특성
감정을 다루는 능력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
수퍼바이지 관계
비공식적
평등주위적인 요소
친밀
호전적인 태도
권위적인 태도
④Charlotte Towle의 인간의 공통욕구(Common Human Needs)에서 사회사업 수퍼비젼에 관한 내용 확대해서 다루어 졌다.
⑤수퍼비젼은 수퍼바이지에게 할 일을 지시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수퍼비젼 계획에 있어서 수퍼바이지 참여 더욱 권장, 수퍼바이저-수퍼바이지 관계의 상호성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변함하게 되었다.
⑥클라이언트의 효과적 도움을 위해 정신분석적 심리학이 수퍼비젼의 오리엔테이션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⑦1975년부터 사회사업 수퍼비젼에 관련된 문헌 뚜렷이 증가 주로 임상 중심이며, 교육적인 목적을 가진, 정신의학·심리·상담과 같은 인접 전문직들이 수퍼비젼에 대한 풍부한 문헌을 발전시켰으며, 교육적 수퍼비젼에 대한 이해 돕는데 기여하게 되었다.
(2)Dawson(1926)의 수퍼비젼의 세가지 기능
①행정적: 업무의 대한 적절한 기준의 향상 및 유지, 행정의 정책을 통한 실천의 조정, 효율적이고 원활한 업무가 진행되는 직무의 보장을 위한 방법으로, 1950-60년 대규모 공공복지 프로그램의 끊임없는 발달과 다양화, 1960~70년대 민주주의의 참여, 책무성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행정적 측면 강조 극대화 되었다.
②교육적: 워커개개인에 대한 교육적 발달은 자신의 유용성에 대한 가능성을 깨닫게 하고, 이를 완전하게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수퍼비젼의 요소 중 교육적 수퍼비젼 강조하게 되는데 1920-30년도에 전성기로 정신분석적 수퍼비젼 문헌은 교육적 수퍼비젼 목표를 ‘개인성장’ 동반한 ‘치료적 능력의 개발’ 및 임상적 전문적 지식의 습득 등으로 언급하였다..
③지지적: 단체양성, 조화로운 업무 관계유지위한 기능 설명
2)집단 사회사업과 지역사회조직에서의 수퍼비젼
집단서비스 기관의 발달로 인해 수퍼비젼의 내용은 더욱 풍부해졌으나, 개별사회사업으로부터 계속해서 강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한 지역사회조직에서 수퍼비젼은 공식화되지 못했으며, 수퍼비젼 직원을 배치할 정교한 계층구조가 없다. 또한 지역사회 조직가의 업무 특성은 산만한 경향과 그 목적 또한 애매하다.
1)지역사회조직 내 수퍼비젼에 대한 부정적 견해
①사회사업 에서 전문화된 하위집단들 중에서, 지역사회조직은 워커의 자율성에 대한 요구를 가장 강하게 느끼고 있다.
②수퍼비젼은 자신들의 확고한 가치와는 반대 입장 즉 복종을 의미하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③지역사회워커들은 그들의 기본적인 충성과 헌신을 그들이 일하고 있는 지역사회와 그 지역사회 내 사람들에게 바쳐야한다고 이해하고 있으며, 그들은 기관 자체와 관료제에 동일 시 하는 것을 꺼려한다. 오히려 지역사회가 대항하여 투쟁 할 것인지 무엇인지 대변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C. B & D. Tomas, 1977)
④수퍼바이저는 안전한 거리에 두어야 한다는 결론을 이끌어 낸다.
⑤지역사회 업무를 이론화시키고 전문성 개발하는 것은 워커와 지역사회 구성원간의 사회적 거리를 증가시키기에 수퍼비젼의 행정적 요소 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요구도 거부한다.
2)지역사회 조직 내 수퍼비젼의 필요성 견해
①고도로 정치화된 영역에서 일하는 지역사회워커는 다양한 압력과 힘겨루기에 부딪히는데 지역사회사회 집단을 다룰 때 워커는 기관이 방어하거나 지지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제기할 수 있는 행동이나 정책을 책임지도록 위임하게 된다.
②기관은 무엇이 계약 되어졌나, 어떤 협상이 의도되고 있나, 워커가 계획한 행동이 무엇인가에 대해 알 필요가 있기에 기관행정의 책무성에 대한 요구조건은 수퍼비젼의 과업이 되어야 할 것이다.
③그러나 지역사회조직가 업무의 특성은 때때로 지역사회워커들은 다른 사회사업 방법론의 워커들보다 잘 규정되지 못한 상황에서 기능하게 되며, 이것은 부분적으로 대부분의 실천이 지닌 실험적 특성에서 기인하게 된다.
3) Wayne(1988)의 미시적/거시적 수퍼비젼 차이점
거시적(집단)
미시적(개인)
중심적 태도
감정 중심적
인지 중심적
특성
감정을 다루는 능력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
수퍼바이지 관계
비공식적
평등주위적인 요소
친밀
호전적인 태도
권위적인 태도
키워드
추천자료
학교와 지역사회복지관의 학교사회사업 비교 연구
수퍼비젼의 개념정의와 중요성
사회복지 분야론 -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학교사회사업론 연구
수퍼비젼 사례분석
[학교사회사업][학교사회복지사]학교사회사업의 개념, 필요성, 대상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정신보건사회사업 정의,의의, 각 국 정신보건법 제정,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업무, 정신보건복...
정신보건사회복지의 목적, 정신보건사회사업의 발달, 정신보건정책의 변화, 정신보건사회사업...
(사회복지개론) 의료사회사업(사례,과제) 전반에 관한 레포트
미국, 영국 사회사업이 과연 우리나라 사회사업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를 예를 들어 설...
[학교사회사업론 공통] 학교사회복지의 (1) 필요성과 목적,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2) 자신이...
[학교사회사업론 공통] 학교사회복지의 (1) 필요성과 목적,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2) 자신이...
[학교사회사업론 공통] 학교사회복지의 (1) 필요성과 목적,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2) 자신이...
학교사회사업론 학교사회복지의 (1) 필요성과 목적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2) 자신이 속한 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