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정신병리학] 발달정신병리의 개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달정신병리학] 발달정신병리의 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들의 발병원인, 앞으로의 과정, 치료를 이해하는 데 새로운 가
능성을 주었다(Sameroff, 1989). 발달정신병리는 정신병리가 무엇인가
하는 무익하고도 끝이 없는 논쟁으로부터 우리를 구해 어떻게 부적응
적 기능이 출현하고 이것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관심을
가지도록 해 주었다(Cowan, 1988). 이렇게 발달과정과 결과의 다양성
을 다루는 것이 발달정신병리다. 물론 이런 다양성에는 정상발달과 이
상발달이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II. 미래의 전망
발달정신병리는 유행을 지나 짧은 시간 동안 하나의 학문으로 당당
히 자리를 잡았다. 그렇다고 해서 발달정신병리가 정신병리와 관련된
모든 문제에 대한 최선의 해결책이라고 감히 말할 수는 없다. 발달정신
병리는 기존의 의학적 모델이 안고 있는 여러 한계를 허물고 보다 개방
적인 자세로 장애의 원인과 발달 과정이란 문제에 도전했다. 그리고 그
도전의 성과는 이미 여기저기서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발달정신병리는 발달적 질문과 분석을 시도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존의 장애 분류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장애의 정의에 따라
기존 장애의 선행 변인, 관련 변인을 찾는 과정이라고 하겠다. 이런 접
근이 아직은 여러 면에서 좋은 전략일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장애 분
류 체계가 성인 체계를 그대로 아동에게 적용하는 것으로 아직도 분류
법에 발달적 체계를 통합시키지 못하고 있다. 발달정신병리가 초기의
적응과 부적응 형태가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를 밝혀 나간다면 이런
정보는 장애 분류법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달정신병리의 종단 연구는 정신병리에서 나타나는 남녀 성별
비율에 대한 이해를 가져올 것이다. 예를 들면 품행 문제에서 남아의
높은 비율이나 거식증에서 보이는 여아의 높은 비율의 원인은 무엇일
까. 만약 장애의 위험변인이 같다면 남녀 성 차이가 나오지 말았어야
한다. 어쩌면 위험변인은 같은데 작용하는 방식이 다른 것인지도 모르
고 아니면 아예 위험변인 자체가 다른 것인지도 모른다. 혹은 위험변인
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이 다를지도 모른다. 어찌 되었든 장애에서 나타
나는 성 차이 문제에 발달정신병리는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발달정신병리가 풀어야 하는 문제는 아직도 많다. 가야 할 길도 멀다.
그러나 발달정신병리가 발달적 관점과 임상적 관점을 이었다는 점에서
정상 발달과 이상 발달의 이해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1.1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3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