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정신병리의 역사적 사건(아동에 대한 인식변화, 임상심리와 발달심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정신병리의 역사적 사건(아동에 대한 인식변화, 임상심리와 발달심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아동정신병리의 역사적 사건

I. 아동에 대한 인식 변화

II. 임상심리와 발달심리

본문내용

었다.
(표) 발달심리학과 임상심리학의 연구에서의 차이점
그러나 비정상적 발달은 발달심리학에서 다루는 주제가 아니었다. 발달심리학자들은 정상발달의 과정과 기제를 이해하는 데 주력했다. 임상심리학자, 정신의학자들은 성인의 비정상적인 행동의 이해와 치료에 치중해 왔다. 이와 같이 발달심리학과 임상심리학은 다른 입장을 취하면서, 임상심리학자들은 행동의 인지적 측면보다 정서적 측면을, 발달심리학은 정서적 기능보다 인지적 기능을 주로 연구하였다. 결과적으로 발달심리학은 연구에만 치중함으로써 실용을 등한시하였고, 임상심리학은 실용에만 치중함으로써 이론에는 어둡게 되었다.
발달심리학과 임상심리학의 상반된 입장은 문제를 가진 아동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사람들을 어렵게 만들었다. 결국 오랫동안 아동과 성인의 발달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성인 환자를 다루도록 훈련받은 치료자가 아동 환자를 보게 되었고 불행히도 한 연령집단을 대상으로 받은 임상적 훈련이 실제로 다른 연령집단을 다루는 데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했다. 인간의 적응과 부적응이라는 두 현상은 분리되어 학문 간의 교류가 거의 없는 학자들에 의해 따로 다루어져 왔고, 발달심리학자와 임상심리학자들은 오랜 단절과 반목 속에서 결국 서로의 한계를 깨닫게 되었다. 정상발달에 대한 이해가 비정상발달에 대한 이해를 돕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학자들이 양쪽 분야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드디어 발달심리학과 임상심리학은 오랜 오해와 단절을 해소하고 서로 도움을 주고 도움을 요청하는 사이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이런 노력이 바로 발달정신병리의 출현을 가져온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11.1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3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