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장애] 해리장애의 유형 - 해리성 기억상실, 해리성 둔주, 해리성 정체감 장애, 이인성 장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리장애] 해리장애의 유형 - 해리성 기억상실, 해리성 둔주, 해리성 정체감 장애, 이인성 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해리장애

I. 해리성 기억상실
1. 개념과 주요특징
2. 발병률
3. 해리성 기억상실의 요인
4. 진단
5. 치료적 접근

II. 해리성 둔주
1. 개념과 주요특징
2. 발병률
3. 해리성 둔주의 요인
4. 진단
5. 치료적 접근

III. 해리성 정체감 장애
1. 개념과 주요특징
2. 발병률
3. 해리성 장체감 장애의 요인
4. 진단
5. 치료적 접근

IV. 이인성 장애
1. 개념과 주요특성
2. 발병률
3. 이인성 장애의 요인
4. 진단
5. 치료적 접근

본문내용

재발되는 경향이 높으며 변화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장애는 40대 후반에는 잘 나타나지 않는 경향이지만 심한 스트레스 상황이나 물질남용 시에 다시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할 것 같다.
2) 발병률
성인 남성보다 성인 여성에서 3-9배까지 더 빈번하게 진단된다. 가족력이 있을 때 발생률이 높다. 빈도는 낮지만 아주 드물지는 않다.
3) 해리성 정체감 장애의 요인
해리성 정체감 장애는 아동기에 성적학대(sexual abuse), 정신적 외상, 신체적 폭행을 경험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Putnam 등(1986)의 100사례 연구분석에 의하면 86%가 성적 학대받은 경험 호손 75%가 신체적 학대, 45%는 폭력에 의한 죽음 목격, 오직 3%만이 아동기에 외상경험의 과거력이 없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Putnam(1989)는 선천적으로 다중인격의 경향성이 강한 아동에게 외상 경험을 제공하면 현실로부터 도피하고 외상적 기억을 의식에서 배제하고 자신에 대한 고통스런 감정방어로서 자기경험을 해리 시키는 경향을 보인다는 지적도 있다. 그 후에 아동은 상상 환상을 통해 해리된 경험에 정체감을 부여하고 여러 가지 신체적, 심리적 속성을 추가시킴으로써 점차 정교화된 인격이 형성된다고 한다. 간질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4) 진단
A. 둘 또는 그 이상의 각기 구별되는 정체감이나 인격상태가 존재한다(각 정체감은 환경 및 자신을 지각하고 관계하고 생각하는 상대적으로 지속적인 독특한 방식을 지니고 있다).
B. 적어도 둘 이상의 정체감이나 인격상태가 반복적으로 개인의 행동을 통제한다.
C. 일상적인 망각으로 중요한 개인적 정보를 회상하지 못한다.
D. 이 장애는 물질(예 : 알코올 중독 상태에서의 일시적인 의식상실 또는 무질서한 행동)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예 : 복합성 부분 간질)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주의 : 소아기에서 이 증상은 상상적인 놀이 친구 또는 기타 환상적인 놀이에서 연유되는 것이 아니다.
5) 치료적 접근
내담자의 자아개념에 과거의 충격적인 경험을 통합시키고 종국에 가서는 분리된 정체감들을 단일한 성격으로 통합하도록 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이다. 치료자는 환자가 외상적 기억에 압도당하지 않고 서서히 자아개념에 동화, 흡수할 수 있도록 작업을 진행시켜야 한다. 해리성 정체감 장애에서는 치료자에 대한 신뢰감이 대단히 중요하다.
이때 내담자가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만 외상(trauma)에 노출시키도록 하며 충격적인 경험을 당했을 때 느꼈던 무력감에 압도되지 않도록 외상적 기억을 스스로 통제하도록 도와주면 치료효과가 있다. 재발방지를 위해 지지적 심리치료를 하거나 필요에 따라 근본적 갈등, 유발요인을 밝히기 위해 정신분석치료를 시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약물치료가 심리치료에 부가적으로 사용되지만 약물치료의 효과는 아주 미미하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항우울제, 항불안제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진단된다.
4. 이인성 장애
1) 개념과 주요특성
자기 자신이 변화했다고 느끼는 이인증(depersonalization)또는 외부 세계가 달라졌다고 느끼는 비현실감(derealization)을 호소하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지각의 변화로서 현실감각이 일시적으로 상실되는 장애를 말한다. 비현실감이 매우 심각하며 이 감정이 삶을 지배하고 이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기 자신이 낯설게 느껴지고 특히 자기의 신체가 이전과 다르게 느껴지는 경험을 한다. 즉 팔, 다리, 손, 발 등이 이전보다 더 크거나 작게 느껴지고 "나 자신"을 다른 사람처럼 자신의 육체를 바라보는 것 같은 경험을 한다. 즉 자기 지각의 변화로 몸의 특정부위가 자기의 신체부위가 아닌 것처럼 느껴진다거나 정신기능이나 감정경험이 자신의 것이 아니라는 느낌이 드는 경우로 설명된다.
또 외부세계의 여러 가지 사물의 모양이나 크기가 변화된 것으로 보이거나 주위가 모두 변하여 기계처럼 움직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증상은 급격히 나타난다. 심리적으로 불안증상, 공황증상, 우울증상과강박적인 생각을 가진다. 급성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에 재발을 잘 한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현실에 대한자신의 감각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인식하며 이 증상에 자아-이질적(ego-dystonic)고통을 느끼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2) 발병률
흔히 있는 증상이다. 일시적인 이인증은 일반 인구의 70%에서 나타난다. 어린이에게서도 흔하다. 어른이 낯선 곳을 여행할 때 일시적으로 느끼기도 한다. 여자에게서 많이 본다. 사춘기에 호발하며 40대 이후에는 드물다. 경과는 만성적이며 증상의 호전과 악화가 두렷하게 나타나고 스트레스 상황이면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3) 이인성 장애의 요인
신경에너지의 감소로 이인증이 유발된다는 다양한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Sarlin(1962)은 갈등적인 부모의 심리적 특성이 각각 아동에게 내면화되어 성인이 된 후에도 자기 정체성의 통합에 갈등을 초래하며 이러한 갈등을 이인증의 병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Arlow(1966)는 자기는 행동하는 자기와 관찰하는 자기로 구분하였고 일상에서는 두 개의 자기가 통합적 기능을 한다고 지적하였다. 불안하고 공포상황에서는 두 개의 자기가 별개로 기능하여 이인중이 유발된다고 밝혀냈다.
4) 진단
A. 개인의 정신과정이나 신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다는 감정, 마치 외부의 관찰자처럼 지속적으로나 반복적으로 이런 감정을 경험한다(예 : 개인의 꿈속에 있는 것처럼y.
B. 이인증을 경험하는 동안현실 검증력은 정상적임
C. 이인증은 임상적으로 심각한 불편을 야기 시키거나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장애를 초래한다.
D. 이인증 경험은 정신분열증, 공황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또는 기타 해리성 장애의 경과 중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물질(예 : 약물남용, 투약)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예 : 측두엽 간질)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에 의한 것이 아니다.
5) 치료적 접근
지지적 이거나 분석적 정신치료를 시도하여 현실적응능력 및 자아의 힘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인증의 특효약은 없는 편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11.1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5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