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부모역할
I. 부모의 역할
1. 어머니의 역할
2. 아버지의 역할
II. 사회변화와 부모역할의 변화
1. 핵가족화, 소가족화
2. 여성의 사회참여
3. 결혼의 불안정성
III. 부모의 양육행동
1. 애정과 통제
2. 자애로움과 엄격함
I. 부모의 역할
1. 어머니의 역할
2. 아버지의 역할
II. 사회변화와 부모역할의 변화
1. 핵가족화, 소가족화
2. 여성의 사회참여
3. 결혼의 불안정성
III. 부모의 양육행동
1. 애정과 통제
2. 자애로움과 엄격함
본문내용
양육행동
부모의 양육행동은 개인의 성격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하나이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수용, 애정, 통제, 양육, 온정, 허용 등과 같은 여러 다른 영역으로 기술될 수 있으며, 어떠한 양육방식이 가장 효과적인가는 문화에 따라, 가족의 특성에 따라 그리고 시대에 따라 상이하다.
1) 애정과 통제
Baumrind(1991)는 애정과 통제라는 두 차원에 의해 부모의 유형을 네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애정차원은 부모가 자녀에게 얼마나 애정적이고 지원적이며, 얼마나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얼마나 관심을 갖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통제차원은 아동에게 성숙한 행동을 요구하고, 아동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애정과 통제차원이 둘 다 높은 경우는 권위적 부모, 통제차원은 높지만 애정차원이 낮은 경우는 '권위주의적 부모, 애정차원은 높은데 통제차원이 낮은 경우는 '허용적 부모, 그리고 마지막으로 애정과 통제차원이 다 낮은 경우는 '무관심한' 부모로 명명되었다. 많은 연구들이 부모의 유형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보고하고 있다.
애정과 통제 두 차원에 의한 네 가지 부모유형
2) 자애로움과 엄격함
우리나라에서도 청소년 상담원(1996)은 이와 비슷하게 자애로움과 엄격함이라는 두 차원에 의해 부모유형을 네 가지로 나누었다. 여기서 자애로움은 자녀를 신뢰하고, 따뜻하고 관대하게 대하는 것을 말하고, 엄격함은 확고한 원칙을 가지고, 정해진 바를 일관성 있게 밀고 나가는 것을 말한다.
부모의 유형에 따른 부모의 특성과 자녀의 특성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부모의 유형과 자녀의 특성
이상 네 가지 부모유형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유형은 '엄격하면서 자애로운 부모'이고, 제일 바람직하지 못한 유형은 '엄격하지도 자애롭지도 못한 부모'이다. 우리나라에서 요즘 가장 많은 유형은 '자애롭기만 한 부모'이다.
우리나라 부모의 양육행동 유형을 알아본 연구(정옥분 등, 1997)에서, 엄부자모가 30.4%, 엄부엄모가 8.2%, 자부엄모가 15.1%, 그리고 자부자모가 46.3%로 나타났다. 요컨대, 전반적으로 자부자모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우리의 전통 유형인 엄부자모 유형에서 크게 벗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차이를 보면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부모는 자부자모인 경우가 많고, 고등학생의 부모는 엄부자모인 경우가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부모의 연령이 젊을수록 자부자모의 유형 이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우리나라 5, 6세 유아 112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홍계옥, 2001)에서, 어머니가 합리적으로 지도할수록, 애정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보일수록 유아는 사회적 능력 중 협조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가 사회성, 양육능력, 애정이 높을수록 유아가 사회적으로 유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사회성 지각과 합리적 지도성향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교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5, 6세 아동 333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박주희와 이은해, 2001)에서는 어머니가 온정적이고 애정표현을 잘하며 자녀의 자율성을 격려해 주고 존중해 주는 경우, 아동은 또래관계에서 유능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어머니가 또래와의 상호작용 기회를 빈번히 마련해 주고 또래와의 상호작용 상황을 간접적으로 감독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아동이 또래관계에서 유능한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4, 5세 유아와 그 아버지 256쌍을 대상으로 한 연구(김광용과 이인수, 1998)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교사가 평가한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 어머니가 평가한
사회적 능력, 관찰자가 평가한 사회정서적 문제해결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특히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여가활동을 즐기고 생활지도에 적극 참여하
며, 자녀와 관계된 가사활동에 즐거이 참여하는 경우일수록, 그 자녀는 안정적인
사회정서 발달적 특성으로서 내적 통제력이 강하며,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활발히
시도하고, 성취동기와 호기심이 높으며, 사회적 활동성이 뛰어나고 다른 사람과
잘 협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 5세 유아 142명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정현희와 최경순, 1995)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성역할발달 및 친사회적 행동과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버지의 양육참여 행동 중 생활지도, 놀이상대로서의 적극적 참여가 많을수록 유아의 성역할발달에서 융통성
이 높고, 친사회적 행동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행동은 개인의 성격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하나이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수용, 애정, 통제, 양육, 온정, 허용 등과 같은 여러 다른 영역으로 기술될 수 있으며, 어떠한 양육방식이 가장 효과적인가는 문화에 따라, 가족의 특성에 따라 그리고 시대에 따라 상이하다.
1) 애정과 통제
Baumrind(1991)는 애정과 통제라는 두 차원에 의해 부모의 유형을 네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애정차원은 부모가 자녀에게 얼마나 애정적이고 지원적이며, 얼마나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얼마나 관심을 갖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통제차원은 아동에게 성숙한 행동을 요구하고, 아동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애정과 통제차원이 둘 다 높은 경우는 권위적 부모, 통제차원은 높지만 애정차원이 낮은 경우는 '권위주의적 부모, 애정차원은 높은데 통제차원이 낮은 경우는 '허용적 부모, 그리고 마지막으로 애정과 통제차원이 다 낮은 경우는 '무관심한' 부모로 명명되었다. 많은 연구들이 부모의 유형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보고하고 있다.
애정과 통제 두 차원에 의한 네 가지 부모유형
2) 자애로움과 엄격함
우리나라에서도 청소년 상담원(1996)은 이와 비슷하게 자애로움과 엄격함이라는 두 차원에 의해 부모유형을 네 가지로 나누었다. 여기서 자애로움은 자녀를 신뢰하고, 따뜻하고 관대하게 대하는 것을 말하고, 엄격함은 확고한 원칙을 가지고, 정해진 바를 일관성 있게 밀고 나가는 것을 말한다.
부모의 유형에 따른 부모의 특성과 자녀의 특성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부모의 유형과 자녀의 특성
이상 네 가지 부모유형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유형은 '엄격하면서 자애로운 부모'이고, 제일 바람직하지 못한 유형은 '엄격하지도 자애롭지도 못한 부모'이다. 우리나라에서 요즘 가장 많은 유형은 '자애롭기만 한 부모'이다.
우리나라 부모의 양육행동 유형을 알아본 연구(정옥분 등, 1997)에서, 엄부자모가 30.4%, 엄부엄모가 8.2%, 자부엄모가 15.1%, 그리고 자부자모가 46.3%로 나타났다. 요컨대, 전반적으로 자부자모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우리의 전통 유형인 엄부자모 유형에서 크게 벗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차이를 보면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부모는 자부자모인 경우가 많고, 고등학생의 부모는 엄부자모인 경우가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부모의 연령이 젊을수록 자부자모의 유형 이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우리나라 5, 6세 유아 112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홍계옥, 2001)에서, 어머니가 합리적으로 지도할수록, 애정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보일수록 유아는 사회적 능력 중 협조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가 사회성, 양육능력, 애정이 높을수록 유아가 사회적으로 유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사회성 지각과 합리적 지도성향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교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5, 6세 아동 333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박주희와 이은해, 2001)에서는 어머니가 온정적이고 애정표현을 잘하며 자녀의 자율성을 격려해 주고 존중해 주는 경우, 아동은 또래관계에서 유능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어머니가 또래와의 상호작용 기회를 빈번히 마련해 주고 또래와의 상호작용 상황을 간접적으로 감독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아동이 또래관계에서 유능한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4, 5세 유아와 그 아버지 256쌍을 대상으로 한 연구(김광용과 이인수, 1998)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교사가 평가한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 어머니가 평가한
사회적 능력, 관찰자가 평가한 사회정서적 문제해결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특히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여가활동을 즐기고 생활지도에 적극 참여하
며, 자녀와 관계된 가사활동에 즐거이 참여하는 경우일수록, 그 자녀는 안정적인
사회정서 발달적 특성으로서 내적 통제력이 강하며,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활발히
시도하고, 성취동기와 호기심이 높으며, 사회적 활동성이 뛰어나고 다른 사람과
잘 협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 5세 유아 142명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정현희와 최경순, 1995)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성역할발달 및 친사회적 행동과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버지의 양육참여 행동 중 생활지도, 놀이상대로서의 적극적 참여가 많을수록 유아의 성역할발달에서 융통성
이 높고, 친사회적 행동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