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전문
-윤리기준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기준 1.전문가로서의 자세 2.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 3.경제적 이득에 대한 태도
사회복지사의 동료에 대한 윤리기준 1.동료 2.수퍼바이저
사회복지사의 사회에 대한 윤리기준
사회복지사의 기관에 대한 윤리기준
사회복지사윤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사례 -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전문
-윤리기준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기준 1.전문가로서의 자세 2.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 3.경제적 이득에 대한 태도
사회복지사의 동료에 대한 윤리기준 1.동료 2.수퍼바이저
사회복지사의 사회에 대한 윤리기준
사회복지사의 기관에 대한 윤리기준
사회복지사윤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사례 -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본문내용
복지사의 윤리강령에는 비슷한 점이 많았다. 특히, 전문인과 대상자와의 관계에 대한 윤리적 내용들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보였다.
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가 모두 클라이언트와 협력해야 자신의 일을 완성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의 사소한 것까지 알아야하고, 알게 되는 만큼 클라이언트의 참여를 존중하고 클라이언트의 비밀을 보장해 주는 것이 기준에 명시되어 있다. 간호사의 대상자도 사회적 약자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가 사회적 약자의 편에 서서 일을 해 나가는 것과 같다고 생각 할 수 있다. 하지만, 간호사가 일방적인 서비스를 제공 한다면 사회복지사는 그들과 함께 일한다는 것이 명시되어 있어 간호사의 기준과는 다른 시각을 갖고 있다고 생각했다.
평등한 서비스 제공, 개별적 욕구 존중, 비밀유지, 알 권리 및 자율성 존중, 대상자 참여 존중, 취약계층 보호의 측면에서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의 윤리적 기준은 거의 같게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의 윤리강령을 비교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 점은 간호사에 비해 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에 동료와 사회, 기관에 대한 윤리 기준이 더 자세하게, 많이 제시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동료의 클라이언트에 대해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는지까지 제시해 놓은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참 친절하다는 느낌을 주었다. 또한, 동료에 대한 자세, 언행에 대한 규제, 민주적인 직무관계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는 항목에서는 사회복지 실습을 하고, 타전문직 실습을 하면서 몸소 느꼈던 사회복지의 인간다움을 느낄 수 있었다.
수퍼바이저의 윤리기준을 하나의 소제목으로 분리해 놓은 것은 평등주의 사상에 기초한다는 사회복지사에게 어울린다고 생각했고, 높은 직책에 있음으로써 권위주의에만 빠지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사회복지를 하는 사람으로서 선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준이 아닌가 생각했다.
수업시간에 옹호자(advocator)의 역할 또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이라고 했던 것을 기억한다. 그러한 역할을 윤리기준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고, 사회적 약자와 함께 일하는 우리의 일을 생각할 때 그들을 위한 사회정책의 수립 발전 입법 집행 또한 중요한 일이며 우리가 해야 하는 일임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했다.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을 살펴보면서 간호사 윤리강령에서 볼 수 없었던 눈에 띄는 항목은 ‘경제적 이득에 대한 태도’였다. 이것은 우리의 일이 간호사와는 다르게 비영리적 사업이라는 것을 명시해 주는 말 같았다. ‘존큐’ 영화에서나 우리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들을 수 있듯이 병원에서는 환자가 병원비, 수술비를 지불 할 능력이 없으면 수술을 거부하기도 하고, 퇴원을 종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클라이언트의 지불능력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고, 클라이언트의 지불능력 또한 차별의 이유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다른 직종과 사회복지직의 특성을 가장 명확하게 나타내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또한, 기관에 대한 행동을 명시하고, 전문가단체의 활동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내용을 명시한 것이 간호사 윤리강령과는 다른 점이었다.
중앙문화사.되어야 한다고 생각해보았다.
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가 모두 클라이언트와 협력해야 자신의 일을 완성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의 사소한 것까지 알아야하고, 알게 되는 만큼 클라이언트의 참여를 존중하고 클라이언트의 비밀을 보장해 주는 것이 기준에 명시되어 있다. 간호사의 대상자도 사회적 약자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가 사회적 약자의 편에 서서 일을 해 나가는 것과 같다고 생각 할 수 있다. 하지만, 간호사가 일방적인 서비스를 제공 한다면 사회복지사는 그들과 함께 일한다는 것이 명시되어 있어 간호사의 기준과는 다른 시각을 갖고 있다고 생각했다.
평등한 서비스 제공, 개별적 욕구 존중, 비밀유지, 알 권리 및 자율성 존중, 대상자 참여 존중, 취약계층 보호의 측면에서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의 윤리적 기준은 거의 같게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의 윤리강령을 비교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 점은 간호사에 비해 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에 동료와 사회, 기관에 대한 윤리 기준이 더 자세하게, 많이 제시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동료의 클라이언트에 대해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는지까지 제시해 놓은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참 친절하다는 느낌을 주었다. 또한, 동료에 대한 자세, 언행에 대한 규제, 민주적인 직무관계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는 항목에서는 사회복지 실습을 하고, 타전문직 실습을 하면서 몸소 느꼈던 사회복지의 인간다움을 느낄 수 있었다.
수퍼바이저의 윤리기준을 하나의 소제목으로 분리해 놓은 것은 평등주의 사상에 기초한다는 사회복지사에게 어울린다고 생각했고, 높은 직책에 있음으로써 권위주의에만 빠지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사회복지를 하는 사람으로서 선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준이 아닌가 생각했다.
수업시간에 옹호자(advocator)의 역할 또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이라고 했던 것을 기억한다. 그러한 역할을 윤리기준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고, 사회적 약자와 함께 일하는 우리의 일을 생각할 때 그들을 위한 사회정책의 수립 발전 입법 집행 또한 중요한 일이며 우리가 해야 하는 일임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했다.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을 살펴보면서 간호사 윤리강령에서 볼 수 없었던 눈에 띄는 항목은 ‘경제적 이득에 대한 태도’였다. 이것은 우리의 일이 간호사와는 다르게 비영리적 사업이라는 것을 명시해 주는 말 같았다. ‘존큐’ 영화에서나 우리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들을 수 있듯이 병원에서는 환자가 병원비, 수술비를 지불 할 능력이 없으면 수술을 거부하기도 하고, 퇴원을 종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클라이언트의 지불능력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고, 클라이언트의 지불능력 또한 차별의 이유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다른 직종과 사회복지직의 특성을 가장 명확하게 나타내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또한, 기관에 대한 행동을 명시하고, 전문가단체의 활동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내용을 명시한 것이 간호사 윤리강령과는 다른 점이었다.
중앙문화사.되어야 한다고 생각해보았다.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학대 개입방안과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딜레마 사례, 노인학대 대처방안 보고서
사회복지사 가치관 윤리관 레포트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딜레마의 문제 및 나의 해결방안 제시
윤리적이고 유능한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특성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 이유...
사회복지실천론 - 사회복지실천의 핵심가치와 원칙, 사회복지실천의 중심가치, 사회복지실천...
고엽제 환자의 사례에서 나타난 윤리적 딜레마와 사회복지사의 결정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사례에서 나타난 윤리적 딜레마와 사회복지사의 결정 _클라이언트...
사회복지사로서 직면하게 될 가장 어렵거나 문제가 될만한 윤리적상황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
사회복지사의 일반적인 역할에 대해 설명해보고 다문화 가정이 밀집해 있어 다양한 사회문제...
(윤리적 민감성) 사회복지사가 현장에서 윤리실천을 윤리적 민감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예비 사회복지사인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윤리원칙을 설명하고, 윤리원칙 중 로웬버그와 돌...
가정폭력 피해자의 상황에 직면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딜레마
사회복지실천론 -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갖춰야하는 기본적인 실천윤리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