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론적 관점의 가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계론적 관점의 가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체계론적 관점의 가족

I. 가족은 하나의 유기체로서 전체성을 이루고자 한다.

II. 가족은 하나의 역동적인 체계이다.

III. 가족은 체계로서 구성요인들끼리 상호성을 지닌다.

IV. 가족은 유기체적 체계로서 항상성을 유지하고자 한다.

V. 가족은 체계로서 순환적이다.

VI. 가족체계는 환류 고리로 사이버네틱스 원리로 움직인다.

VII. 가족은 상위체계와 많은 하위체계가 있다.

VIII. 가족구성원들의 모든 행동은 기능을 가지고 있고 각자의 역할이 있다.

IX. 가족체계 내에는 규칙이 있다.

본문내용

립적이며 전체적으로 기능하며 하위체계들은 서로간의 경계선이 있다. 경계선은 하위체계 간 또는 상위체계로부터 분리되면서 동시에 소속시켜 준다. 체계의 정체성 유지는 경계선이 하나의 대문 같은 역할을 하면서 체계 밖의 정보를 가족의 가치관과 어울리는가를 검증하는 기능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경계선은 가시적인가의 여부, 투과 여부, 유동성의 여부, 기능성의 여부, 병리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 건강한 체계는 열림과 닫힘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 그 적정 또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시점에 이루어져야 한다. 체계가 상황에 의하여 자신의 체계와 정체성이 위협당하면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폐쇄체계로 되려는 경향성이 높다.
7. 가족 구성원들의 모든 행동은 기능을 가지고 있고 각자의 역할이 있다.
증상은 가족이 세상에 도움을 받고자 손을 내미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거식증 증상은 밀착된 부모로부터 필요한 심리적 공간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다.
아이는 부모로부터 독립하고 싶지만 부모는 원하지 않기 때문에 거식증은 원하지 않는 부모의 욕구를 동시에 합리화시켜 준다. 즉, 딸의 성장을 담보로 가족체계는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가족은 각 구성원들이 가족 내에서 어며한 행동을 할지 예측할 수 있다. 대개 이러한 역할은 원가족에게 배운 그대로 혹은 반대로 반복한다. 역할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혹은 성장함에 따라 변화할 수 있어야 하지만 역기능가족에서는 고정된 역할을 언제나 반복함으로써 진정한 성장의 걸림돌이 된다.
9. 가족체계 내에는 규칙이 있다.
모든 가족은 하나의 체계로서 체계를 움직일 수 있는 규칙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족의 규칙은 그 가족 구성원의 행동양식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규칙이 있게 되면 단지 이러한 범위의 규칙에 얽매어 그것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있게 된다. 이러한 것들 중에는 묵시적인 것도 있고 말로 전달된 것도 있다. 건강한 가족에서는 아이들에 대한 규칙이 변화하기 전에 부모가 서로 의논하고 함께 결정한다. 그렇지 않고 만들어진 규칙이 있다면 아이들은 부모를 이용하려 든다. 규칙은 그것을 지켰을 때 어떤 행동이 기대되는지 분명하게 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규칙이 지켜지지 않았을 때 받는 벌칙도 분명히 하고 이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 즉, 규칙은 부모와 자녀에게 필요한 것으로 측정 가능하고 수행할 수 있고 바꿀 수 있고 말로 표현되어야 한다. 지나치게 많은 규칙이나 지나치게 적은 규칙들 모두가 문제다.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1.2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88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