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기법] 빈 의자 기법(빈의자기법의 이론적 배경, 절차, 사례, 활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상담기법] 빈 의자 기법(빈의자기법의 이론적 배경, 절차, 사례, 활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족상담기법] 빈 의자 기법

I. 이론적 배경

II. 절차

III. 사례

IV. 활용

본문내용

이렇게 자신의 문제를 자기의 것으로 받아들이고 자녀에게 투사하지 않으면, 부모는 자녀를 좀 더 잘 이해하게 되고 관계를 잘 맺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빈 의자 기법은 초점을 부모-자식 간의 관계에서 부모 자신 내부에 존재하는 대상과의 관계로 옮기는데 사용할 수 있다. 개인은 상호 관계에 어려움이 발생하였을 때 이러한 어려움이 자신으로부터 기인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면 자신이 원인이 되는 부분에 스스로 책임을 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전과는 달리 가족들과의 상호작용에서 새로운 행동양식을 취하게 되고, 다른 식구들은 이렇게 변화된 행동양식에 대응하여 새로운 행동양식을 취할 수밖에 없으므로 가족관계의 변화가 자연히 따르게 된다. 같은 과정을 다른 쪽 배우자 및 자녀들도 수행하도록 한다.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성의 문제가 부모가 자녀에게 투사함으로 인하여 발생할 때는 상담자는 부모에게 '빈 의자 기법'을 사용하여 투사과정에 개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녀들은 이 상황을 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 중에 드러나는 감정의 강도와 친밀도가 세대 간의 경계를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부의 경우에는 배우자가 이러한 과정을 경험할 때 함께 있는 것이 중요한 의미가 있을 때도 있다. 배우자가 배우자의 원가족과의 문제로 인하여 현재의 남편 혹은 부인에게 투사되는 배우자 내면의 대화를 진행하는 과정을 관찰하게 되면 현재의 남편 혹은 부인은 배우자와 심리적인 분별화를 촉진시킬 수 있고, 투사적 동일시가 약화될 수 있으며, 때때로 심리적 개체로서의 배우자를 직접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11.2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89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