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인삼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인삼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인삼의 소개
1. 고려인삼의 역사
2. 고려인삼의 재배

Ⅱ. 인삼의 효능과 성분
1. 고려인삼의 우수성
2. 고려인삼의 두뇌촉진 활동
3. 고려인삼의 성인병 치료 및 예방효과
4. 고려인삼의 건강회복 기능
5. 고려인삼의 신체 저항력 증진 기능
6. 약효성분
7. 약리작용
☆ 참고문헌

본문내용

hinliou & Shinyaku 7(12), 109)
※ 오사까대학 야마무라교수와 긴끼대학의 아리치교수는 공동 연구를 통하여 재생 불량성 빈혈에 인삼을 투여하여 30명의 환자 중 3명에서만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간장질환, 위장질환, 당뇨병, 폐결핵의 빈혈증은 38명의 환자 중 14명이 회복되었으며, 또한 아리치교수는 각종 빈혈치료제가 효과가 없는 빈혈환자 51명을 대상으로 인삼의 빈혈치료에 대한 임상효과를 조사한 결과, 류마치스성, 결핵성 및 노인성 빈혈에 유효하다고 발표하였다.
5. 고려인삼의 신체 저항력 증진기능
5.1. 방사능 방어 작용
방사선 장애에 대한 고려인삼의 투여가 혈액상과 비장중량의 회복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데 장애 회복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thrombocyte cell의 개선에 있다. 임상적으로는 강력한 방사선을 방사하여 고열을 내는 유방암 환자에게 사포닌을 한달간 경구투여 하였더니 해열, 식욕회복, 백혈구수의 증가, 혈액상의 정상화 등의 효과를 보였다.
※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손상받은 골수기능의 회복에 관한 고려인삼의 효과는 일본 오사까 방사능 센터의 요네자와 박사팀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그는 치사량(致死量)의 X-선을 조사하여 골수장해를 야기시킨 실험 동물에 고려인삼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서 적혈구 및 혈소판 수의 회복효과를 확인하였다.
※ 요네자와 등은 또한 고려인삼 추출물로부터 열 안정성 성분을 분리, 동물실험을 통하여 이들 성분이 방사선 장해 회복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아직 인간에 응용 가능한 방사선 방어물질이 발견되지 않고 있는 현재, 고려인삼이 방사선 방어물질로 가장 유망시 되고 있는 재료임을 강조하였다.
5.2. 에이즈 바이러스 증식 억제
20세기의 '페스트' 또는 '천형(天刑)'이라고 할 AIDS에 대하여 한국 국립 보건원 신영오 박사팀은 1992년 9월 고려인삼의 AIDS에 대한 효능 연구보고에서 고려인삼을 AZT와 병용시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고려인삼을 장기간 복용한 HIV감염자에서 ZDV에 대한 내성발생이 억제되고 이로 인하여 CD4+ 세포수가 유지되거나 증가되어 고려인삼의 장기복용이 HIV 감염자의 예후를 향상시킨다.
5.3. 환경호르몬의 독성 예방
고려인삼은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환경오염물질의 독성을 경감시킴은 물론 정자의 질을 개선하는 작용이 있다. 고려인삼 사포닌은 강력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TCDD(다이옥신)에 의하여 야기되는 독성, 특히 생식독성을 방어할 수 있는 활성물질이다. 고려인삼 사포닌의 대사물질인 IH-901은 환경호르몬에 의하여 발생하는 고환독성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5.4. 중금속 해독능력
중금속중 cadmium(Cd) 투여시 고려인삼의 해독기능을 조사한 결과 Cd 중독으로 인한 감소된 체중이 고려인삼 투여로 회복이 되고 급성중독시 고려인삼 투여로 간에서의 중금속 축적감소, 뇨(尿)중의 중금속 배설촉진, GOT, GPT 활성저하, metallothionein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6. 약효성분
6.1. 인삼 사포닌
고려인삼을 생각하면 먼저 떠올리게 되는 것이 사포닌이며, 고려인삼은 가장 풍부한 종류의 saponin을 가지고 있고 그 조성비율에 있어서 다른 종의 Panax속 식물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절묘하다. 지금까지 고려인삼으로부터 ginsenoside라고 명명한 30여종의 saponin이 분리되어 있는데, 구조적 특징에 따라 diol계, triol계, oleanane계로 구분되는데 서로의 약리작용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국삼의 총사포닌 함량은 고려인삼보다 높은 편이나, 사포닌 종류는 약 4- 15종으로 고려 인삼에 비해 다양하지 못하여 약리 효과도 극히 제한적이다. 백삼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사포닌은 MG-Rb1, MG-Rb2, MG-Rc, MG-Rb1, MG-Rd같은 malonyl-ginsenoside이며, 백삼에 비해 홍삼에는 G-Rh2, G-Rs1, G-Rs2, H-R4 같은 사포닌이 특이적으로 존재한다.
6.2. 폴리아세틸렌 화합물
고려인삼으로부터 10여종 이상의 polyacetylene 화합물이 분리되었는데, 이 화합물중에는 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작용, 항혈소판작용 및 항산화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국 인삼의 Polyacetylene 성분을 분석한 결과 고려인삼이 외국인삼보다는 약 30-60%이상 함량이 높다.
6.3. 폴리페놀 화합물
고려인삼의 polyphenol 화합물 중에는 노화억제와 관련된 지질과산화(脂質過酸化)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많다.
6.4. 산성다당체
고려인삼으로부터 생체방어기능을 갖는 단백질함유 다당체 및 항보체활성(抗補體活性, anticomplementary activity) 다당체 등이 분리, 보고되었다.산성 다당체는 지방분해를 촉진하는 독소의 하나인 toxohormone-L의 활성을 억제하며, 면역기능을 증강시켜주는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산성 다당체의 함량을 비교하면, 고려인삼은 서양의 화기삼이나 중국의 전칠삼에 비해 월등히 높다.
6.5. 일반성분
고려인삼의 일반성분의 함량에 대해서는 단백질, 조섬유, 당질의 함량이 외국인삼보다 높다. 또한 핵산의 일종인 Adenosine 함량이나 총아미노산 함량, 특히 threon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cystine 및 lysine의 함량이 외국삼보다 높다.
7. 약리작용
사포닌
구분
고려인삼
서양삼
(화기삼)
삼칠삼
(중국삼)
죽절삼
(일본삼)
홍삼
백삼
총사포닌수
30
23
14
15
8
파낙사다이올계
18
15
9
6
6
파낙사트리올계
11
7
4
9
4
올레안계
1
1
1
-
1
[ 참고 - 표 : 각국삼의 사포닌 비교 ]
※ 사포닌 성분 구성을 보면 고려인삼 성분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외국 삼은 어느 부분적인 효능이나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고려인삼처럼 만능약으로 불릴 만큼의 효능이나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참고문헌》
고려인삼의 효능 및 성분에 관한 기초연구, 고려인삼학회, 1996
高麗人蔘, 한국인삼연초연구원, 1993
  • 가격2,2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5.12.20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05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