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작하며
2. 제2부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3.맺음말
2. 제2부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3.맺음말
본문내용
태인 것 같다. 확실히 외환위기는 우리에게 엄청난 경제적 정치적 위기였다. 하지만 외환위기의 근본적 문제는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 가야한다. 당시 세계경제는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공업을 개발도상국에 기술과 자본을 투자 제 수입하는 체제로 변화 하고 있었다. 당시 여러 개발도상국들이 이러한 변화에 맞춰 경제 개발 정책을 시도 했지만 결과적으로 성공한 나라는 대만과 우리뿐이 이었다. 우리와 대만은 같은 유교문화 권이라는 점도 있지만 다른 국과들과는 다르게 정부, 은행, 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정부 주도형 경제 정책으로 인해 정경유착이라는 문제점들이 있었지만 경제 성장적인 측면에서는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다. 그리고 이러한 정부주도형 경제발전 정책의 한계점에 와서 거의 같은 시기에 경제 침체가 발생한다. 일본 같은 경우는 동경의 부동산 거품붕괴와 플라자 합의 같은 조금 다른 문제가 있지만 한국과 대만의 경우 1990년대부터 이미 많은 발전을 거두었던 선진국들에서 자본이 기대 수익보다 수익을 창출해 내지 못하는 한계에 부딪쳤고 자본가들에 의한 신자유주의 경향이 대두 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도 전두환 정권 당시 원칙적인 경제 개방을 합의 했었고 점차적인 경제 개방은 있는데 이에 따른 경제적 문제점들에 대해서 정부나 학자 들이나 모두가 다 무지 했던 것 또한 사실이다. 결국 1996년 .O. E. C. D 가입 다음해에 외환위기가 찾아온 것도 결코 우연이라 할 수는 없다. 이처럼 복잡한 문제들을 단순이 유교적인 사회형태로 인한 부패와 붕괴로 설명하기에는 너무 억지스러운 점이 있다.
3.맺음말
조선왕조의 멸망이후 우리 스스로의 문제로 또는 외세적인 문제로 인해서 역사적 반성이 힘들었고 지금 겨우 친일파 자손들의 불법적인 제산을 환수하는 작업을 시작 했다. 하지만 왕조의 멸망당시 세계정세와 같은 문제도 있었지만 유교적 문화와 관료 체계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부분에서 역사적 반성 없이 이때까지 온 것도 사실이다. 그러한 문제점들을 지적한다는 점에서 분명 이 책은 가치가 있다. 하지만 너무 억지스러운 주장도 많고 전문적 지식이 배제된 체 그저 저자의 주관적인 생각만을 나열한 점에서 이 책의 가치가 떨어진다 하겠다. 우리는 지금도 너무 빠르게 변화 해 가고 있다. 국가 기업 사회등 여러 분야에 걸친 이러한 변화 속에서 과거의 역사적 반성과 우리가 우리 다울수 있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찾는 작업은 더욱더 가치 있어 질것이다.
3.맺음말
조선왕조의 멸망이후 우리 스스로의 문제로 또는 외세적인 문제로 인해서 역사적 반성이 힘들었고 지금 겨우 친일파 자손들의 불법적인 제산을 환수하는 작업을 시작 했다. 하지만 왕조의 멸망당시 세계정세와 같은 문제도 있었지만 유교적 문화와 관료 체계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부분에서 역사적 반성 없이 이때까지 온 것도 사실이다. 그러한 문제점들을 지적한다는 점에서 분명 이 책은 가치가 있다. 하지만 너무 억지스러운 주장도 많고 전문적 지식이 배제된 체 그저 저자의 주관적인 생각만을 나열한 점에서 이 책의 가치가 떨어진다 하겠다. 우리는 지금도 너무 빠르게 변화 해 가고 있다. 국가 기업 사회등 여러 분야에 걸친 이러한 변화 속에서 과거의 역사적 반성과 우리가 우리 다울수 있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찾는 작업은 더욱더 가치 있어 질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