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생명과학과 인간복제
III. 인간 복제에 대한 정당론(효용성)
< 표-1> 유전자관련질병
Ⅳ. 요약 및 결론
II. 생명과학과 인간복제
III. 인간 복제에 대한 정당론(효용성)
< 표-1> 유전자관련질병
Ⅳ.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을 통해 이루어진 아기와 인간으로서 평등한 도덕적 가치와 존엄성을 가지고 있다. 도구적 가치로 인간의 내재적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둘째, 과학적 악용 문제는 인간복제를 악용하는 것은 복제인간을 완전한 도덕적 개인으로서 지니고 있는 도덕적 가치와 존엄성을 침해하는 것이다. 인간복제가 허용되면 복제인간은 같은 인간으로서 가치가 있고 존엄성이 유지되어야한다. 우리와 같은 인간이라는 사회전반적인 윤리 의식과 인식, 그리고 새로운 가치가 재정립되면 복제인간에 대한 악용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악용에 대한 우려보다는 새로운 가치관 정립에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또한 혹시 라도 있지 모를 만약을 대비해 확실하고 단호한 법제정이 이루어진다면 복제인간이 다른 곳에 악용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셋째, 인간의 정체성 문제로 복제인간이 아무리 똑같은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 해도 복제인간이 원 인간을 완전히 대체될 수 없다. 즉 완전한 복제 인간이 각자 다른 정체성을 가지듯 개인의 정체성이 오로지 유전자에 의해 경정된다는 생각은 설득력이 없다. 인간의 존엄성은 겉모습에 있는 것이 아니고 그 마음에 있다. 인간의 자유로운 마음은 유전자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성장환경과 경험에 의해서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복제인간은 충분히 개별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간 복제를 제한하는 많은 근거물들은 복제의 위험 대부분이 유전자 결정론, 인간의 정체성, 인간복제의 영향에 대한 일반 대중의 혼동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인간복제연구는 인류복지의 증진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인간복제연구 그 자체는 오히려 보호되고 육성되어야 할 대상이다. 다만 이러한 연구와 인간복제는 인간과 사회 및 생태계의 위해를 가져오지 않고 오용을 막는 범위 내에서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생식의 자유와 난치병과 유전병 극복, 생명연장의 꿈을 이루기 위해 인간 복제 연구를 지원하고 가까운 미래 혹은 그 이후 그 안정성과 효과가 증명되고 사회전반에 새로운 윤리의식이 확립 된 후 적절한 통제와 규제 아래 인간복제를 허용해야 할 것이다.
“당신의 믿음이 무엇이든 자신의 죽음 앞에서도 그 문제에 대해 여전히 믿을 수 있을 때만이 진정한 믿음이다” -CS. Lewis-
"당신은 자신이, 또는 가장 사랑하는 사람이 불치병으로 죽음 앞에 섰을 때 인간복제만이 당신에게 유일한 희망이 된다면 과연 당신은 인간복제에 대해 반대 할 수 있을까?”
둘째, 과학적 악용 문제는 인간복제를 악용하는 것은 복제인간을 완전한 도덕적 개인으로서 지니고 있는 도덕적 가치와 존엄성을 침해하는 것이다. 인간복제가 허용되면 복제인간은 같은 인간으로서 가치가 있고 존엄성이 유지되어야한다. 우리와 같은 인간이라는 사회전반적인 윤리 의식과 인식, 그리고 새로운 가치가 재정립되면 복제인간에 대한 악용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악용에 대한 우려보다는 새로운 가치관 정립에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또한 혹시 라도 있지 모를 만약을 대비해 확실하고 단호한 법제정이 이루어진다면 복제인간이 다른 곳에 악용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셋째, 인간의 정체성 문제로 복제인간이 아무리 똑같은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 해도 복제인간이 원 인간을 완전히 대체될 수 없다. 즉 완전한 복제 인간이 각자 다른 정체성을 가지듯 개인의 정체성이 오로지 유전자에 의해 경정된다는 생각은 설득력이 없다. 인간의 존엄성은 겉모습에 있는 것이 아니고 그 마음에 있다. 인간의 자유로운 마음은 유전자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성장환경과 경험에 의해서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복제인간은 충분히 개별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간 복제를 제한하는 많은 근거물들은 복제의 위험 대부분이 유전자 결정론, 인간의 정체성, 인간복제의 영향에 대한 일반 대중의 혼동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인간복제연구는 인류복지의 증진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인간복제연구 그 자체는 오히려 보호되고 육성되어야 할 대상이다. 다만 이러한 연구와 인간복제는 인간과 사회 및 생태계의 위해를 가져오지 않고 오용을 막는 범위 내에서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생식의 자유와 난치병과 유전병 극복, 생명연장의 꿈을 이루기 위해 인간 복제 연구를 지원하고 가까운 미래 혹은 그 이후 그 안정성과 효과가 증명되고 사회전반에 새로운 윤리의식이 확립 된 후 적절한 통제와 규제 아래 인간복제를 허용해야 할 것이다.
“당신의 믿음이 무엇이든 자신의 죽음 앞에서도 그 문제에 대해 여전히 믿을 수 있을 때만이 진정한 믿음이다” -CS. Lewis-
"당신은 자신이, 또는 가장 사랑하는 사람이 불치병으로 죽음 앞에 섰을 때 인간복제만이 당신에게 유일한 희망이 된다면 과연 당신은 인간복제에 대해 반대 할 수 있을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