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부동산 리뷰 및 2016년 부동산전망 (건설 및 부동산 리뷰 전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15년 부동산 리뷰 및 2016년 부동산전망 (건설 및 부동산 리뷰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도입:
2015년 정리

내용:
미분양증가는 앞으로 어떻게 될까?
건설사들 과연 회복할수가 있을까?
해외건설시장 전망은 어떻게 보이는가?
국내주택시장은 앞으로 관리의 시대로 바뀔 것이다.
주택시장은 과잉공급일까?

본문내용

과거 대량생산에서 이제는 고객에 맞춰 소량생산 방식의 형태로 건축 및 건설시장이 재편성 될 여지가 크다. 실수요자 중심의 디벨로퍼가 등장 할것이다.
그리고 건물의 관리도중요하다. 최근 아파트 경비실 입구를 보면 에스원마크들이 찍혀있는모습들을 볼수가 있다. 에스원의 경우 보안 건물임대관리 에너지효율화라는 컨셉으로 아파트 및 빌라건물 등에 사업을 따내고 있다. 사물인터넷과 스마트홈이 홈시큐리티로부터 시작되면서 추가서비스 제공의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
2014~2015년 부동산시장회복세로 공급이 크게 증가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2016년부터는 물량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이 좋을때 건설사들은 이번기회이다 생각하고 물량을 급증시켰기 때문이고 내년부터 공급량조절이 다시오면 안정화기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작년 9.1 대책에서 택지개발촉진법 폐지는 대규모 부동산개발가능성 감소를 이야기해준다. 물론 내년부터 입주량은 증가하지만 재건축 및 이주 수요증가로 일부공급과잉은 상쇄가능하다. 그래서 아직은 공급과잉이라고 보기에는 이르다고 판단된다.
참고자료)
키움증권 주택산업연구원
삼성증권, 해외건설협회, 국토교통부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국민은행 주택산업연구원

키워드

부동산,   건설,   전망,   2016,   2015,   건축,   재건축,   리뷰,   토지,  
  • 가격1,6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6.01.06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16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