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홍일유 차훈상의 디지털 기업을 위한 경영정보시스템(제3판) 3장 사례연구 과제
1. 사례 본문에서는 PI(process innovation) 프로젝트 2기가 끝난 후부터 포스코가 신일본제철을 앞서기 시작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포스코가 신일본제철과의 경쟁에서 우의를 점하는데 있어 PI가 어떻게 기여했는지에 대해 사례본문 및 인터넷 검색을 통해 조사해보자.
2. 포스코의 PI 프로젝트를 1기, 2기, 3기로 나누고, 각 기간의 목표, 주요내용 및 도입성과를 인터넷 검색을 통해 조사해 설명하시오.
3. 프로세스 혁신 프로젝트에서는 일반적으로 기존 프로세스(as-is process)와 목표 프로세스(to-be process)를 각각 정의하고 기존 프로세스에서 목표 프로세스로 어떻게 전환할 수 있는지 그 방법을 개발하는데 초점이 맞춰지게 된다. 포스코가 이러한 프로세스 전환을 실현하는데 있어 정보기술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 토의해 보자.
4. 포스코 PI 프로젝트 4기는 기존의 1,2,3기 혁신과제들과 비교할 때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4기 과제를 통해 어떤 변화가 기대되는지 설명하시오.
5. 포스코의 프로세스 혁신은 국내외적으로 탁월한 성공사례로 인정받고 있다. 포스코 프로세스 혁신의 주요 성공요인들에 대해 인터넷 검색을 통해 알아보자.
1. 사례 본문에서는 PI(process innovation) 프로젝트 2기가 끝난 후부터 포스코가 신일본제철을 앞서기 시작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포스코가 신일본제철과의 경쟁에서 우의를 점하는데 있어 PI가 어떻게 기여했는지에 대해 사례본문 및 인터넷 검색을 통해 조사해보자.
2. 포스코의 PI 프로젝트를 1기, 2기, 3기로 나누고, 각 기간의 목표, 주요내용 및 도입성과를 인터넷 검색을 통해 조사해 설명하시오.
3. 프로세스 혁신 프로젝트에서는 일반적으로 기존 프로세스(as-is process)와 목표 프로세스(to-be process)를 각각 정의하고 기존 프로세스에서 목표 프로세스로 어떻게 전환할 수 있는지 그 방법을 개발하는데 초점이 맞춰지게 된다. 포스코가 이러한 프로세스 전환을 실현하는데 있어 정보기술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 토의해 보자.
4. 포스코 PI 프로젝트 4기는 기존의 1,2,3기 혁신과제들과 비교할 때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4기 과제를 통해 어떤 변화가 기대되는지 설명하시오.
5. 포스코의 프로세스 혁신은 국내외적으로 탁월한 성공사례로 인정받고 있다. 포스코 프로세스 혁신의 주요 성공요인들에 대해 인터넷 검색을 통해 알아보자.
본문내용
이 회장의 지휘아래 PI 2~3기가 추진되었고, 이렇게 추진된 PI는 포스코가 일류 기업이 되는데 큰 기여를 했다. 따라서 혁신 지향적인 리더의 리더십이 회사 전체에 성장과 혁신이 가능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궁극적으로 혁신을 성공하게 한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
넷째, 포스코는 획기적인 격려 및 보상제도를 사용하여 조직 구성원들을 독려하였는데, 이 또한 하나의 성공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일례로, 포스코는 PI 개선 아이디어 공모시 창의성과 파급력이 큰 혁신 아이디어에 대해 건당 100만원씩 주는 파격적인 보상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그리고 PI를 추진하면서 모든 프로젝트 팀원에게 승진 가산점을 부여하고, PI 종료 후 현업으로 복귀시 원하는 부서로 발령 가능하도록 해주는 등 조직 구성원 입장에서 보았을 때 실용적인 동기를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코는 프로젝트의 주인의식을 강조하고 권한부여를 하는 방법으로 전 사원의 참여를 유도하여 혁신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인력들이 자신의 업무 기준을 만들고, 프로젝트 종료 후 현업으로 복귀 시 자신이 만든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직접 운영하게 하는 방식으로 권한부여를 실천하였다.
넷째, 포스코는 획기적인 격려 및 보상제도를 사용하여 조직 구성원들을 독려하였는데, 이 또한 하나의 성공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일례로, 포스코는 PI 개선 아이디어 공모시 창의성과 파급력이 큰 혁신 아이디어에 대해 건당 100만원씩 주는 파격적인 보상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그리고 PI를 추진하면서 모든 프로젝트 팀원에게 승진 가산점을 부여하고, PI 종료 후 현업으로 복귀시 원하는 부서로 발령 가능하도록 해주는 등 조직 구성원 입장에서 보았을 때 실용적인 동기를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코는 프로젝트의 주인의식을 강조하고 권한부여를 하는 방법으로 전 사원의 참여를 유도하여 혁신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인력들이 자신의 업무 기준을 만들고, 프로젝트 종료 후 현업으로 복귀 시 자신이 만든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직접 운영하게 하는 방식으로 권한부여를 실천하였다.
추천자료
락엔락(Lock&Lock)의 베트남 진출 경영, 마케팅, 생산, 인사 그리고 자금조달 전략
공인회계사, 세무사를 위한 정보제공 사이트 운영 기획안
정보시스템의 개발 과정에 대한 이해와 분석
결혼정보회사 Duo의 성공적인 마케팅 사례 분석과 더 나은 듀오를 위한 경영학도들의
기업경영과 사회
고도정보사회와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기업경영과 사회
학급경영 1장~4장 정리
(경영정책) FEDEX VS. UPS
[환경과 경영]선진국 친환경도시의 환경정책 사례와 우리나라의 환경정책
미스터피자 서비스경영 성공사례
도요타의 경영시스템과 조직행동론
인간욕구의 변화에 따른 경영관리시스템의 스타일에 대하여
병원病院 고객만족(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CS)경영 10가지 원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