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시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해시계의 역사

2. 앙부일구

3) 앙부일구의 원리

4) 해시계와 실제 시계

5) 느낀점

본문내용

그림자를 만드는 침)의 방향을 지축과 평행한 정북극 방향을 맞춘다. 영침의 끝은 구의 중심이 된다. 그리고 앙부일구의 평면은 그 지점의 수평면이 된다. 여기에서 해시계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필수적인 것은 정북극의 방향을 정하는 것이다. 세종 당시의 유수한 천문학자들이 서울을 기준으로 하는 정북극의 위치를 정확히 알아냈고 이를 기준으로 앙부일구 내부의 눈금선이 정확히 매겨질 수 있었다.
오늘날 우리는 시계를 어디에서도 쉽게 볼 수 있고 지금의 시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보는 시간은 하나의 약속일뿐이다. 태양은 하늘에서 돌아가고 있지만 우리는 더 이상 태양을 보고 시간을 읽지 않는다. 하늘의 태양은 자오선에 아직 오지 않았는데도 그 약속을 통해서 정오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시간은 자연의 시간이 아니다. 우리 조상들은 자연의 시간을 따랐다. 태양을 통해 자연이 보여주는 시간을 앙부일구를 통해 가장 정확히 읽어낼 수 있었던 것이다. 흔히 현대과학은 자연의 비밀을 드러내왔다고 이야기 된다. 그러나 시간에 있어서 우리는 오히려 자연의 비밀을 잊어버리고 살아왔다. 태양이라는 밝은 존재를 통해 보여주는 시간을 우리는 읽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 곳곳에 남아있는 앙부일구는 우리가 잃어버렸으면서도 깨닫지 못하는 시간을 가리키고 있다.
나는 앞으로 환경문제를 고려하여 친환경자동차 연구개발을 할 것이다. 앙부일구 안에 남아있는 우리 조상들의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과 하나가 되는 정신을 항상 마음속에 간직하다보면 획기적인 친환경 자동차가 우리나라에서 개발되지 않을까?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1.16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24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