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 6세기경 중국에서 태양의 운동이 등속이 아니라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세종 때 앙부일구를 만들었던 사람들은 나름의 계산법을 개발하여 해의 각기 다른 속도를 앙부일구에 그려 넣었던 것이다. 그 결과 앙부일구의 하지와 동지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6.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침(그림자를 만드는 침)의 방향을 지축과 평행한 정북극 방향을 맞춘다. 영침의 끝은 구의 중심이 된다. 그리고 앙부일구의 평면은 그 지점의 수평면이 된다. 여기에서 해시계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필수적인 것은 정북극의 방향을 정하는 것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6.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떤 것이 있을까?
3. 지구 과학은 어떤 특성이 있을까?
4. 지구 과학의 역사
5. 지구 과학의 역사: 앙부일구와 혼천의
6. 미래 사회에서 지구 과학의 역할
7. 지구 과학의 탐구 요소
8. 지구 과학의 탐구 방법
9. 연역적 탐구 과정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3.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앙부일구\'라고 했다. 앙부일구는 1437년 세종 때 장영실이 처음 만들었으며, 시간뿐 아니라 절기(節氣)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13개의 위선(緯線:씨줄)은 24절기를 나타낸다. 맨 위는 동지(冬至), 맨 아래는 하지(夏至), 가운데는 춘분 또는 추분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앙부일구에 대한 설명이었다. 앙구일부의 생김새는 흡사 시골에 있는 솥뚜껑을 연상시키는데, 그것은 앙구일부의 생김새가 마치 솥뚜껑을 뒤집어 놓은 것 같기 때문이다. ‘앙구일부’라는 이름이 담고 있는 의미 또한 그것과 관련이 있었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