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예술, 아름다움과 숭고 사이에서
2. 시의 예술성
3. 단어가 우리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4. 시와 숭고
* 참고 자료
2. 시의 예술성
3. 단어가 우리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4. 시와 숭고
* 참고 자료
본문내용
1. 예술, 아름다움과 숭고 사이에서
예술과 관련된 두 가지 질문이 있다. 첫 번째, 예술과 아름다움의 관계는 무엇일까. 창작
활동으로서의 예술과 인간이 느끼는 감각적 체험으로서의 아름다움은 불가분의 관계라는 주
장이 전통적으로 가장 타당하게 여겨져 왔다. 때문에 혹자는 ‘예술은 미를 추구하는 모든
기술들’이라고 부를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예술이 곧 아름다움은 아니다. 19세기까지 예술
은 대상을 보다 아름답게, 혹은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데 몰두했지만, 이후 현대 예술의 양
상은 눈에 띄게 달라졌다. 이전의 예술이 화폭이나 악보에 그려내고 몸으로 담아내고자 했
던 것이 아름다운 것들에만 국한되어 있었다면, 현재는 그 소재가 너무나 다양해 손으로 꼽
을 수조차 없어졌다. 예술이 표현하는 대상이나 의미는 너무 많아지거나 아예 파괴되어 버
렸다. 그렇다면 아름다움과 예술의 관계는 이전보다는 조금 느슨해진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질문은, 예술과 숭고의 관계는 무엇일까 하는 것이다. 숭고 개념은 중세 이후 근
대의 인간주의에 의해 사라지다시피 했다가 현대 예술의 파괴적 경향과 더불어 다시 주목받
고 있다. 현대 예술에서는 인간의 인식을 넘어서는 어떤 것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
다. 이전의 예술이 아름다운 것들, 즉 부드럽고 깨끗하며 곡선의 형태를 띤 것들 - 인간의
인식에 방해가 되지 않고 자연스러운 ‘美’ - 을 추구했다면, 지금의 예술의 전반적 경향은
우리가 미술관에서, 음악회에서, 무대에서 기대했던 것들을 철저히 배신하고 보다 새로운
것, 예상할 수 없는 것을 보여주기에 바쁘다. 예기치 못한 것과 맞닥뜨렸을 때, 우리는 당황
할 수밖에 없고 심지어 놀라기까지 한다. 이로써 우리는 인간 인식에 한계가 있음을 깨닫
고, 질서정연하게 놓여 있던 논리적 회로로는 이해할 수 없는 것도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게
된다.
예술과 관련된 두 가지 질문이 있다. 첫 번째, 예술과 아름다움의 관계는 무엇일까. 창작
활동으로서의 예술과 인간이 느끼는 감각적 체험으로서의 아름다움은 불가분의 관계라는 주
장이 전통적으로 가장 타당하게 여겨져 왔다. 때문에 혹자는 ‘예술은 미를 추구하는 모든
기술들’이라고 부를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예술이 곧 아름다움은 아니다. 19세기까지 예술
은 대상을 보다 아름답게, 혹은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데 몰두했지만, 이후 현대 예술의 양
상은 눈에 띄게 달라졌다. 이전의 예술이 화폭이나 악보에 그려내고 몸으로 담아내고자 했
던 것이 아름다운 것들에만 국한되어 있었다면, 현재는 그 소재가 너무나 다양해 손으로 꼽
을 수조차 없어졌다. 예술이 표현하는 대상이나 의미는 너무 많아지거나 아예 파괴되어 버
렸다. 그렇다면 아름다움과 예술의 관계는 이전보다는 조금 느슨해진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질문은, 예술과 숭고의 관계는 무엇일까 하는 것이다. 숭고 개념은 중세 이후 근
대의 인간주의에 의해 사라지다시피 했다가 현대 예술의 파괴적 경향과 더불어 다시 주목받
고 있다. 현대 예술에서는 인간의 인식을 넘어서는 어떤 것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
다. 이전의 예술이 아름다운 것들, 즉 부드럽고 깨끗하며 곡선의 형태를 띤 것들 - 인간의
인식에 방해가 되지 않고 자연스러운 ‘美’ - 을 추구했다면, 지금의 예술의 전반적 경향은
우리가 미술관에서, 음악회에서, 무대에서 기대했던 것들을 철저히 배신하고 보다 새로운
것, 예상할 수 없는 것을 보여주기에 바쁘다. 예기치 못한 것과 맞닥뜨렸을 때, 우리는 당황
할 수밖에 없고 심지어 놀라기까지 한다. 이로써 우리는 인간 인식에 한계가 있음을 깨닫
고, 질서정연하게 놓여 있던 논리적 회로로는 이해할 수 없는 것도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게
된다.
추천자료
임화(林和)의 문학 프로시와 북한시 사이의 연속과 단절
[1920년대 한국 시문학][1920년대][한국 시문학]1920년대 한국 시문학(1920년대 시 경향, 낭...
[만해 한용운][한용운][님의 침묵][한용운 시]만해 한용운의 문학에 대한 사상, 만해 한용운...
박목월의 문학적 생애, 시 세계 및 문학사적 의의
[초현실주의][초현실주의 미술][초현실주의 문학][초현실주의 시]초현실주의의 개념, 초현실...
[고전시가와 시가문학][고전시가와 형식][고전시가와 설화][고전시가][시가문학][형식][설화]...
문학개론 보고서(한국 현대시) - 정지용의 문학과 삶
[한국 해방기문학][해방기문학][시][소설]한국 해방기문학의 배경, 한국 해방기문학과 이념, ...
장르별 문학 이론 - 시(詩 - 시의 정의와 특성, 시의 요소와 갈래, 시의 운율, 시의 언어와 ...
[한국문학개론] 가사 문학(歌辭文學) - 가사의 정의, 가사의 발생, 최초의 가사, 조선 후기의...
일본문학개론-시가 나오야,시가 나오야의 생애,시가 나오야의 주요 작품 소개,시가 나오야의 ...
1960년대 주요 현대문학사(시와 소설) 정리
현대문학사,문학의 정신과 기법의 전환,문학의 논리와 방법의 전환,소설의 양식과 기법의 분...
현대문학사문학의 정신과 기법의 전환문학의 논리와 방법의 전환소설의 양식과 기법의 분화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