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알츠하이머형치매) case study / 정신과 실습 컨퍼런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매(알츠하이머형치매) case study / 정신과 실습 컨퍼런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I. 사정(Assessment)
2. 기능적 건강양상사정(Functional Health Pattern)
3. 신체사정(Physical Examination)
4. 정신상태사정(Mental Status Assessment)
5. 진단별 간호 계획 및 이론적 근거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8월 20일.”
place - 여기가 어디죠? “가톨릭 병원”
person - 제가 누구예요?(의사) “의사선생님”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없음. 병원에 일주일 전에 입원하고선 3일 되었다고 함.
밤에 자신의 방 위치를 찾지 못하기도 한다.
11) Memory - 기억에 장애가 있음.
“시계가 오전까지 있었는데 보호자가 들고갔다니..” 환자분께 보호자 분이 10일전 시계를 가져갔다고 설명해주었으나 잠시 뒤 “시계가 있었는데..” 하시며 계속 똑같은 질문을 하시고 방금 전 상황을 기억 못 하심
검사실 다녀온 것을 기억하지 못 하심.
12) Level of Concentration & Calculation
able to pay attention, able to do simple math
13) Information & Intelligence
국문 쓰시고 읽을 수 있고 기본적인 영어 단어를 즐겨 쓰심.
그러나 자신의 질병에 대해선 잘 모르심.
14) Jugment - 상황에 판단은 적절한 것으로 보이나
기억장애가 있으므로 환자의 말은 믿을 만하지 못함.
15) Insight
자신의 질병에 관해 전혀 모르고 또 부인하심.
B. 중심문제 사정
단서와 추론
단서(객관적 주관적 자료)
추론(간호문제)
스스로 양치질 못하고 면도도 안 하심. 세수는 한다고 하나 지시가 없으면 안 하심.
구강에서 냄새가 많이 나고 침이 많이 고이신다. 환자복 바지도 갈아입으시지 않으심
배변 보지 않았으나 자신은 보았다고 함.
자가간호 결핍
평소 오후 11시 정도에 잠들어 오전 6시에 일어남. 그러나 밤에 종종 깨시기도 하고 낮에 졸려하는 것이 관찰됨.
Zopidem 수면제 투여됨.
수면장애
“소변 비우지 마세요”란 간호사의 지시를 잊어버리고 환자가 소변을 수시로 버리는 것이 관찰됨. I/O check가 잘 되지 않고 있다.
불이행
II.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 NANDA 간호진단 목록 활용
1) 단정치 못한 외모관리 및 배설관리에 의해 입증이 되는 퇴행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2) 밤에 눈을 뜬채 누워만 있고 수면제를 먹어야만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입증되는 불면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3) 간호사의 지시를 잊어버리고 방금 전에 한 말도 기억 못하는 것으로 입증 되는 기억력 장애와 관련된 불이행
III. 간호계획
1. 목표설정과 기술(장기, 단기목표)
1) 단정치 못한 외모관리 및 배설관리에 의해 입증이 되는 퇴행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스스로 일상활동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주일이내 양치질, 세수 등 기본적인 위생관리법에 대해 익히고 수 행할 것이다.
- 결과기준 : 대상자의 외모와 복장 등이 단정하고 냄새가 나지 않을 것이다.
2) 밤에 눈을 뜬채 누워만 있고 수면제를 먹어야만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입증되는 불면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한달 이내에 적절한 수면 양상을 취한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주 이내 수면제 없이도 밤에 깨지 않고 잘 것이다.
- 결과기준 : 대상자는 수면제 없이도 숙면을 취한 것이 관찰될 것이다.
3) 간호사의 지시를 잊어버리고 소변을 비워버리는 것으로 입증되는 기억력 장애와 관련 된 불이행.
- 장기목표 : 대상자는 1주 이내 간호사의 지시를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 지시를 기억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힐 것이다.
- 결과기준 : 대상자가 지시사항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관찰된다.
2. 우선 순위의 결정
자기실현
자존심
→ 불이행
사랑과 소속감
안정과 안전
생리적 욕구
→ 수면장애.
자가간호결핍
- Maslow의 욕구계층이론 -
3. 진단별 간호 계획 및 이론적 근거
진단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대상자가 구강위생을 하지 못 하면 희석한 산화수소를 묻힌 구강 면봉을 사용한다. 만약 이것을 거절한다면 사과를 먹게 하여 구강을 깨끗하게 해 준다.
대상자가 칫솔을 잡을 때에 입 쪽으로 가져가 이를 닦는 행동을 하면서 “이를 닦으세요”라고 말하며 시범을 보인다. 이런 단계를 계속 반복하고 확고한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면도하는 법을 가르쳐주고 직접 해볼 수 있도록 한다.
배변양상, 음식섭취 등을 관찰하고 그 날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대상자에게 일깨워준다.
독립성을 격려하지만 이를 수행할 수 없을 때는 중재를 함으로써 위생상태를 개선시켜준다.
어려움을 가지는 일상활동에 대해 구체적인 수행 방법을 한 과정씩 가르치고 반복을 해야 습득이 쉬워진다
대상자는 치매환자로 자신이 식사를 했는지 배변을 보았는지 기억을 하지 못하므로 상기시켜 주고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재하도록 한다.
진단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2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사정한다.
낮 동안 수면취하는 것을 억제한다.
카페인이 포함된 음료를 마시지 않도록 한다.
규칙적인 운동을 권유한다.(취침 직전 삼가)
이완술(명상, 음악듣기)을 이용한다.
필요시 수면제를 투여한다.
환자에게 자극시키지 않는 취침준비를 만들어준다.(책을 읽어주거나, 따뜻한 물, 우유를 마시게 하거나, 알맞은 조명, 온도 등)
밤에 편안한 수면을 증진시킨다.
카페인의 각성효과로 정상적인 수면을 방해한다.
운동은 수면의 깊이에 도움이 된다.
이완되어 더 좋은 수면 취하도록 도와준다.
대상자의 수면취하는 것을 돕기 위함이다.
#3
대상자에게 지시사항 내용을 적어서 옷에 달아준다.
대상자에게 현실과 주위환경에 대해 자주 알려준다.
대상자의 실행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직접 중재를 하도록 한다.
대상자가 지시사항을 잊어버려도 다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치매로 인한 기억력 상실이므로 지남력에 도움 될 수 있다.
대상자의 잘못된 행동으로 인해 간호의 문제를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
IV. 간호중재(Nursing Intervention)
#1
대상자에게 양치질 하는 것을 시범보이고 따라 할 수 있도록 권유하였다.
대상자의 구강간호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면봉으로 다시 한번 이빨을 닦아주었다.
전기면도를 하도록 하였으나 잘 되지 않아 직접 면도를 시행하여 수염을
  • 가격1,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6.01.27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33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