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통제발달] 자기통제의 발달(아동초기의 자기통제 출현,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만족지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기통제발달] 자기통제의 발달(아동초기의 자기통제 출현,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만족지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자기통제의 발달

I. 아동 초기의 자기통제의 출현
1. 정서적 자기조절 : 자기통제의 전조
2. 응종, 자기주장, 반항

II.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만족지연
1. 만족지연 방법
2. 자기통제적 자기개념의 형성
3. 어릴 때 자기통제를 잘하는 아이는 커서도 그럴까?

본문내용

은 아동보다 더 만족지연을 잘했다(Toner et al., 1980). 정직함, 착함 등의 속성을 자기개념에 받아들인 아동은 긍정적 자기상에 따라 행동하려고 노력할 것이며, 만약 도덕규칙을 위반하게 되면 죄책감과 양심의 가책을 심하게 느끼게 될 것이다.
(3) 어릴 때 자기통제를 잘하는 아이는 커서도 그럴까?
응종의 개인차는 이미 2세경부터 뚜렷해진다. 엄마가 정서적으로 비반응적이거나 자주 야단치고 강압적일 때는 걸음마아기조차 엄마의 말을 잘 따르지 않고 반항하는 경향이 있다. 때때로 이러한 경향은 청소년기에 공격적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부모들에게 질문지로 청소년이 된 자녀의 장단점을 기술해 보라고 한 결과 학령전기에 만족지연을 잘 못했던 아이는 참을성이 없고 충동적이라고 하였다. 반면 만족지연을 잘했던 아이는 사회적 기술이 높고, 공부를 잘하고 자신 있고 자립적이라고 기술하였다(Shoda et al., 1990). 이와 같이 자기조절 기술과 자기통제는 아동이 발달과정에서 반드시 습득해야 할 중요한 일이다(Harter, 1990). 자기통제는 중간 정도로 안정된 속성이며, 청소년기의 높은 자존심, 성인기의 직업적 성공 및 좋은 대인관계와 관련된다.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6.01.28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3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