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공격성과 반사회적 행동을 통제하는 방법(아동의 공격성 및 반사회적 행동 통제방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의 공격성과 반사회적 행동을 통제하는 방법(아동의 공격성 및 반사회적 행동 통제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아동의 공격성과 반사회적 행동을 통제하는 방법

I. 정화

II. 비공격적 환경을 마련하기

III. 공격에 대한 보상을 제거하기
1. 양립할 수 없는 반응기법
2. 시간제한 격리법

IV. 사회인지적 조절법

본문내용

수 없는 반응기법과 병행한다면 아동의 공격행동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가 있다.
4) 사회인지적 조절법
사회인지적 조절은 특히 반응적 공격 아동에게 효과적이다. 이 방법은 아동으로 하여금 (1) 분노를 조절하고, (2) 감정이입능력과 관점조망능력을 높여 즘으로써 적대적 의도에 과잉 귀인하지 않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공격에 대한 보상을 줄이고, 공격반응을 익사회적 반응으로 대치하며, 사회인지적 훈련의 성공적 요소를 포함한 그런 것이다. 그러나 제 아무리 좋은 방법이 있다 해도 강압적 가정환경과 만성적으로 공격을 부추기는 공격적인 친구가 있다면 효과를 얻기 어렵다.
상대방이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은 가해자의 공격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대개 초등학생, 청소년, 성인들은 상대방이 고통을 나타내면 공격행동을 멈추고 한발 뒤로 물러난다. 그러나 많은 학령전 아동과 매우 공격적인 초등학생들은 상대방이 고통스러워하며 피하는데도 계속 공격한다. 아마도 이들은 피해자의 감정과 고통을 거의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가학적 행동을 하는 것 같다. 특히 공격성이 심한 아동은 감정이입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은데, 감정이입이야말로 사회인지적 조절법에서 키워주려고 하는 그런 속성이다(Cohen et al. 1996). 그리고 부모와 교사의 다음과 같은 행동은 아동에게 감정이입을 가르치는 데 도움이 된다. 즉 어른들은 감정이입적 관심을 몸소 보여 주고, 공격행동의 해로운 결과를 알려 주고, 피해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느낄지를 상상하게 하는 훈육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아동의 감정이입능력을 키워 줄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1.28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35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