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유아기 지각발달
I. 시각
II. 청각
III. 기타 감각
IV. 감각 간 지각
I. 시각
II. 청각
III. 기타 감각
IV. 감각 간 지각
본문내용
정보들을 어떻게 하나의 경험으로 통합하는가에 대해서는 두 가지 입장이 있다. 하나는 피아제의 주장으로 처음에는 감각기관들이 독립적으로 발달하다가 발달과 더불어 경험에 의해서 감각기관이 통합된다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태어나면서부터 감각간 지각능력을 가진다는 입장이다. 최근에 수행된 일련의 연구들은 생후 1개월 미만의 유아도 감각간 지각을 할 수 있다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시각과 청각간의 관계를 지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주로 스펠크(Spelke, 1976, 1979)에 의해서 이루어졌는데, 4개월 된 영아도 배경 음의 리듬에 일치하는 장면이 어느 영화인지 알아낼 수 있었다. 쿨과 멜초프
(Kuhl & Meltzoff, 1982)는 4개월 된 유아는 사람이 말할 때의 입 모양과 말소리의 관계를 지각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시각과 촉각간의 관계를 지각할 수 있는지에 관한 초기 연구는 바우어, 브로우톤 및 무어(Bower, Brouton, & Moore, 1970)에 의해서 수행되었는데, 생후 1개월이 채 되지 않은 유아도 시각적으로 경험한 사물을 측각으로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멜쵸프와 보튼(Meltzoff & Boton, 1979)의 연구에서도, 유아들이 입으로만 경험한 젖꼭지가 어떻게 생긴 것인지 이해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어서 바우어와 그의 동료들의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 후 스트레리와 스펠크(Streri & Spelke, 1989)는 4개월 된 유아가 촉각으로 경험한 자극은 습관이 되어 같은 자극에 대해서 시각적으로 습관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밝혔다.
시각과 신체감각간의 관계를 지각하는 능력으로 타인의 안면을 모방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멜쵸프와 무어(1977, 1983)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멜쵸프와 무어는 특히 안면모방 능력이 생득적인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출생 후 42분에서 71시간 된 신생아를 대상으로 연구의 모델이 아기 앞에서 혀 내미는 것, 입 벌리기 등을 20초 동안 제시했을 때 아기의 반응을 비디오로 찍어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출생 후 3일이 지나지 않은 신생아도 시각적으로 처리된 얼굴 표정을 신체 행동 반응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신생아도 시각과 신체감각간의 관계를 지각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것으로, 감각간의 지각 능력이 생득적이며 매우 일책부터 나타난다는 것을 지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시각과 청각간의 관계를 지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주로 스펠크(Spelke, 1976, 1979)에 의해서 이루어졌는데, 4개월 된 영아도 배경 음의 리듬에 일치하는 장면이 어느 영화인지 알아낼 수 있었다. 쿨과 멜초프
(Kuhl & Meltzoff, 1982)는 4개월 된 유아는 사람이 말할 때의 입 모양과 말소리의 관계를 지각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시각과 촉각간의 관계를 지각할 수 있는지에 관한 초기 연구는 바우어, 브로우톤 및 무어(Bower, Brouton, & Moore, 1970)에 의해서 수행되었는데, 생후 1개월이 채 되지 않은 유아도 시각적으로 경험한 사물을 측각으로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멜쵸프와 보튼(Meltzoff & Boton, 1979)의 연구에서도, 유아들이 입으로만 경험한 젖꼭지가 어떻게 생긴 것인지 이해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어서 바우어와 그의 동료들의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 후 스트레리와 스펠크(Streri & Spelke, 1989)는 4개월 된 유아가 촉각으로 경험한 자극은 습관이 되어 같은 자극에 대해서 시각적으로 습관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밝혔다.
시각과 신체감각간의 관계를 지각하는 능력으로 타인의 안면을 모방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한 연구는 멜쵸프와 무어(1977, 1983)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멜쵸프와 무어는 특히 안면모방 능력이 생득적인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출생 후 42분에서 71시간 된 신생아를 대상으로 연구의 모델이 아기 앞에서 혀 내미는 것, 입 벌리기 등을 20초 동안 제시했을 때 아기의 반응을 비디오로 찍어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출생 후 3일이 지나지 않은 신생아도 시각적으로 처리된 얼굴 표정을 신체 행동 반응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신생아도 시각과 신체감각간의 관계를 지각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것으로, 감각간의 지각 능력이 생득적이며 매우 일책부터 나타난다는 것을 지지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