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report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사 repor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냉이(나생이)
‥‥‥‥‥‥‥‥
1
2.
달맞이꽃
‥‥‥‥‥‥‥‥
3
3.
두릅나물
‥‥‥‥‥‥‥‥
5
4.
도라지
‥‥‥‥‥‥‥‥
7
5.
더덕
‥‥‥‥‥‥‥‥
9
6.
돌나물(돈나물)
‥‥‥‥‥‥‥‥
11
7.
당귀
‥‥‥‥‥‥‥‥
13
8.
다래나무(다래순)
‥‥‥‥‥‥‥‥
15

본문내용

잎은 식용, 관상용
식용방법
생채로 먹음
개화기
5~6월 황색 별모양의 꽃이 핌
생육상태
여러해 살이 풀
성장환경
양지바른 들이나 낮은 산에 잘 자람
특 징
잎은 작고 끝이 뾰족하며 잎의 두께가 도톰하다.
6. 돌나물(돈나물)
산에서 자란다. 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각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는 15cm 정도이다. 잎은 보통 3개씩 돌려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이다. 잎 양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황색으로 8∼9월에 피며 취산꽃차례를 줄기 끝에 이루고 지름 6∼10mm이다. 5개의 꽃잎은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고 꽃받침보다 길다.
꽃받침조각은 5개인데 타원상 바소꼴로 끝이 뭉뚝하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과 거의 같은 길이이다. 열매는 골돌과(利咨果)이고 5개의 심피(心皮)가 있다. 줄기를 잘라 땅에 꽂아 두면 잘 자란다. 어린 줄기와 잎은 김치를 담가 먹는데 향미가 있다. 연한순은 나물로 한다. 한국 전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돌나물은 가장 여리고 풋내도 많이 나는 야채이다. 따라서 구입할 때 잎이 많이 떨어지거나 줄기가 짓이겨져 있는 것은 피해야 한다. 씻을 때도 아기 다루듯 조심해야 하는데, 넓은 채반에 돌나물을 올리고 채반째 물속에 담갔다가 꺼내는 것을 반복하면 편하다. 물속에 담가 젓가락으로 살살 저으면서 씻는 것도 좋은데 너무 센 물에서 씻는 것은 피해야 한다. 돌나물은 상에 내기 직전에 무쳐야 숨이 죽지 않으므로 양념장을 뿌리고 바로 낸다.
영양성분 함량
칼슘 258mg, 비타민, 인산 등 풍부, 섬유질은 매우 적은 편
돌나물샐러드
재료
돌나물 한주먹, 딸기, 수제요구르트, 소금 약간
만드는 법
딸기는 씻어 소쿠리에 건진다. 돌나물도 씻어 채반에 건지고 수제요구르트에 소금 약간 넣고 딸기와 견과류를 넣에 믹서기에 간다. 재료를 접시에 담어 드레싱을 끼얹어 마무리한다.
7. 당 귀
과명, 속명
산형과, 바디나물속
다른 이름
목귀초, 당적
채취시기
5월초~중순
용도
어린 잎은 식용, 관상용 뿌리는 한약재
식용방법
잎은 생채 또는 데쳐서 쌈으로 먹으며 데치고 말려서 묵나물로 사용
개화기
8~9월 자색의 꽃이 핌
생육상태
여러해 살이 풀
성장환경
응달지고, 습지에 잘자람
특 징
잎은 1~2회 3출겹잎이고 잎이 3~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는 긴 타원형임 줄기는 곧게 서며 키는 1~2m정도이다.
7. 당귀
당귀에는 참당귀와 왜당귀가 있으며 참당귀는 경남북, 강원, 경기지역의 산속 습윤한 계곡에 자생되는 2~3년생 초본이다. 키는 1.0~2.0m 정도 곧게 자라는데 줄기전체에 자주 및이 돌며, 뿌리는 굵고 강한 향기가 있다. 잎은 1~3회 날개모양의 겹잎인데 잔잎은 3개로 갈라지고 다시 2~3개로 갈라져 있으며 7~9월에 자색꽃이 피는 겹산형 꽃차례로 전국의 고랭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일당귀는 일본에 분포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키는 40~90㎝정도 자란다. 뿌리는 충실하고 줄기는 자흑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2~3회 3출겹잎이며 잔잎은 버들잎형 또는 알모양의 버들잎형으로 예리한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6~8월에 백색꽃이 피는 겹산형꽃차례로 전국에서 재배되나 따뜻한 중, 남부지방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뿌리는 약재로 쓰이며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달고 쓴데 방향성 정유와 서당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다. 월경을 조절하고 월경통을 제거해주는 효능이 있는데 이것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진통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보혈작용이 현저하여 빈혈에 유효하고 일반 타박상이나 현전성 동맥염의 치료에도 응용된다 만성 화농증에 사용하면 순환을 개선시키고 체내의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변비에 복용하면 장관운동을 원활하게 해주어 배변을 용이하게 한다. 이밖에도 빈혈로 오는 두통, 관절염 등에 널리 사용한다. 자궁출혈이 심할 때는 사용하지 않으며 장기간 또는 다량 투여하는 것도 삼간다. 당귀의 가는 뿌리는 차를 달여 마시거나 술을 담가 먹는다. 또한 심경, 비경, 간경, 피를 만드는 조혈작용이 있어 빈혈에 좋고 어혈을 풀고 지혈작용을 한다.
영양성분 함량
정유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자궁기능 조절작용, 진정작용, 진통작용, 항균작용, 설사작용 및 비타민E 결핍치료작용
8. 다래나무(다래순)
과명, 속명
다래과, 다래나무속
다른 이름
미후도
채취시기
4~5월(잎), 9월(열매)
용도
어린 잎은 식용하고,
열매는 과일로 먹음
식용방법
잎은 무침으로 열매는 과일 및 술담금
개화기
5~6월 흰색의 꽃이 핌
생육상태
다년목
성장환경
음지 계곡이나 산에 잘 자람
특 징
잎은 호생 넓은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으며 덩굴나무임
8. 다래나무(다래순)
목자·등리·미후리라고도 한다. 머루와 함께 대표적인 야생과일의 하나로서 전국의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손가락 굵기 정도의 둥근 열매로서 빛깔은 푸르고 단맛이 강하며 9∼10월에 익는다. 종류로는 다래·개다래·쥐다래가 있다. 개다래는 길고 끝이 뾰족하며 익으면 주황빛이 된다. 달지 않고 톡 쏘는 맛이 있어서 약으로 쓴다. 외국에서 들여와 재배하는 키위도 다래의 한 종류이다. 여러 가지 약리 작용을 하는데, 열을 내리고 갈증을 멈추게 하며 이뇨작용도 한다. 만성간염이나 간경화증으로 황달이 나타날 때, 구토가 나거나 소화불량일 때도 효과가 있다. 비타민 C와 타닌이 풍부해서 피로를 풀어주고 불면증·괴혈병 치료에도 도움을 준다.
줄기 살짝 잡고 바닥을 물에 담가야 뿌리가 굵고 싱싱한 것을 골라야 달래 특유의 향도 강하다. 다듬을 때는 알뿌리를 바닥에 툭툭 치면서 흙을 말끔히 털어내고 맑은 물에 담근다. 잠깐 담갔다가 살살 흔들면 흙과 함께 이물질도 떨어져 나간다. 이때 줄기를 살짝 잡아야 풋내가 나지 않는다. 물에 닿은 뒤에는 짓무르기 쉬우므로 먹을 만큼씩만 구입하고 한꺼번에 조리하는 것이 좋다.
익히지 않고 해물이나 다른 봄나물과 함께 초고추장에 무쳐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된장찌개에 썰어 넣어도 된다.
영양성분 함량
비타민과 유기산, 당분, 단백질, 인,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철분, 카로틴 등이 풍부하고, 비타민 C가 풍부하여 항암 식품으로 인정 받고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6.02.09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