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애착요인] 안정애착(안전애착)과 관련된 요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정애착요인] 안정애착(안전애착)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안정애착과 관련된 요인

I. 양육의 속성

II. 아기에게 둔감한 부모의 특징

III. 아기의 특성과 애착유형
1. 기질 가설
2. 애착유형은 기질을 반영하나?
3. 자녀 양육방식과 기질

본문내용

지만 너무 극단적이라는 점에서 다음과 같이 비판받고 있다. 첫째, 많은 유아들은 부모 중 한쪽에게만 안전하게 애착하고 다른 쪽에는 불안전하게 애착한다. 만약 애착유형이 기질만을 반영한다면 이런 유형은 나타날 수 없을 것이다. 둘째, 애착의 특성은 애착대상이 큰 변화(예 : 이혼, 복직)를 겪을 때 변화될 수 있다(Thompson et al., 1982). 그런데 유아의 안정된 기질은 결코 이렇게 빨리 변화될 수가 없다. 또한 앞에서 보았듯이 아기의 기질이 까다롭다 해도 어머니가 보다 참을성 있고 민감하고 반응적이 되도록 훈련받음으로써 아기와 안전애착을 형성할 수 있었다. 연구자들이 34편의 관련 연구를 살펴본 결과 불안전애착과 관련된 둔감한 양육방식을 가장 잘 예측케 하는 변인은 바로 어머니의 특성이었다. 그러나 미성숙, 질병, 심리장애와 같은 아동문제는 애착의 속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표] 기질의 분류와 애착의 분류
(3) 자녀 양육방식과 기질
기질가설과 양육방식을 통합해 보면 애착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양육의 속성이지만 불안전애착의 유형은 아기의 기질에 따라 결정된다고 한다. 여기서 보다 중요한 것은 양육의 속성이다. 아기의 기질이 까다롭다 해도 어머니가 인내하며 사랑을 표현하고 아기의 기질에 맞게 양육한다면, 안전애착을 형성할 수 있지만, 아기의 기질이 좋다 해도 어머니가 자신의 문제 때문에 민감하고 반응적으로 아기를 돌보지 못한다면 불안전애착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Thomas와 Chess의 조화의 적합성 모델과 유사하다. 조화의 적합성이란 자녀의 기질유형과 부모의 양육방식이 얼마나 잘 어울리는 지와 관련된다. 까다로운 아이의 경우 부모가 침착함을 유지하고 자제한다면, 아이는 한결 적응하기가 쉬울 것이다. 많은 까다로운 아기들은 참을성 있고 민감한 부모로부터 양육된 결과 아동기 후반이나 청소년기에는 더 이상 기질이 까다롭다고 분류되지 않았다. 이것은 말하기는 쉽지만 실제로 아이를 키우는 어머니들에게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사실상 많은 부모들은 까다로운 아이에게 더 짜증내고 이것저것 요구하며 벌하는 경항이 있다.
이와 같이 양육방식과 아기의 기질이 잘 조화될 때는 안전애착이 형성되지만 아기의 기질특성과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어긋날 때는 불안전애착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기의 기질을 알고 그에 따라 양육방식을 조절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다름 아닌 어머니의 '민감성'이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4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