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공격성] 공격성의 개념정의, 공격성의 발달경향(아동의 공격성 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의 공격성] 공격성의 개념정의, 공격성의 발달경향(아동의 공격성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아동의 공격성

I. 공격성의 정의
1. 공격성은 본능이다.
2. 공격성은 행동이다.
3. 공격은 사회적 판단이다.

II. 공격성의 발달 경향
1. 갈등과 공격성의 기원
2. 연령에 따른 공격성의 변화
1) 학령전 아동의 공격성
2) 초등학교 시기의 공격성
3) 아동기 공격의 가해자와 피해자
3. 공격성은 변함없는 속성인가?
4. 공격성의 남녀 차이
1) 생물학적 견해
2) 사회적 학습이론의 견해
3) 상호작용적 견해

본문내용

있다. 가령 어릴 때는 공격적이었으나, 성장하면서 변화하는 유형이 있는가 하면 어릴 때는 잠잠하다가 사춘기 이후에 공격적으로 바뀌는 유형도 있다.
우리는 8장에서 가정이 공격습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것
이다. 가정에서 갈등에 공격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학습한 아동은 장차
학교에서 유사한 문제에 부딪혔을 때, 급우에게 강압적인 방법을 사용하
기가 쉽다. 또한 급우의 반격행동을 보고 아동은 다른 아이들이 자신을
싫어하며 적대적이라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런 일이 거듭되다 보면
이 아동은 공격적 경향을 지속케 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될 것이다.
또한 공격의 안정성과 관련된 생물학적 기질이 있는가? Rushton 등
(1986)은 자기보고법으로써 일란성 쌍둥이 296쌍과 이란성 쌍둥이 277
쌍의 적대성과 공격을 측정하였다. 이들 중 대부분이 수년간 따로 살아
온 성인들이었는데도, 일란성 쌍둥이의 공격성(r=+.40)은 이란성 방등이
(r=+.04)보다 훨씬 더 유사하였다. 이 결과가 언어적 보고에만 의존했으
므로 해석상의 주의가 필요하며 모든 쌍둥이연구에서 이러한 극적인 결
과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이것을 통해 유전인자가 공격성향에 어느 정도
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떻게 유전자형이 공격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가령 능동적
이면서도 기질이 까다로운 아동은 타인들로부터 부정적 반응을 유발하
게 되고 그로 인해 적개심과 공격성을 형성하기 쉽다(0' Connor et al.
1998). 능동적 유전자형/환경 간의 상관에 의하면 사람들은 자신의 유전
자형에 가장 적합한 환경을 창출하거나 선택한다. 공격적 유전자형이 있
으며 공격습관이 있는 아동은 자신과 유사한 사람들과 어울릴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자신의 공격적 경향을 지속시킬 수 있는 환경을
스스로 선택한 셈이다.
4) 공격성의 남녀 차이
공격성이 남녀 모두에게서 격 안정된 속성이기는 하지만 대체로 남성
이 여성보다 더 공격적이다. 여러 나라에서 실시된 100편 이상의 연구에
의하면 소년과 성인남자가 소녀와 성인여자에 비해 신체적으로나 언어적
으로나 더 공격적이었다(Harris, 1992). 공격성에서 성차가 나타나는 이유
는 무엇일까? 다음의 세 가지 견해를 통해 이 문제를 살펴보기로 하자.
(1) 생물학적 견해
Maccoby와 Jacklin(1974, 1980)에 따르면 생물학적 요인이 공격의 성
차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할 만한 이유가 적어도 네 가지는 있다.
첫째, 거의 모든 문화권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더 공격적이다. 둘째, 공격
의 성차는 매우 일찍부터 나타나므로(약 2-2.5세경) 그것이 사회적 학습
이나 양육방식에 기인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셋째, 계통발생*적으로 인
간과 가장 밀접한 종족(비비류나 침팬지)에서도 수컷이 암컷보다 더 공격
적인 경향이 있다. 넷째, 동물과 인간 모두에게서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
론)과 공격행동 간에 관련성이 있다는 증거가 있다.
(2) 사회적 학습이론의 견해
사회적 학습이론가들은 호르몬이 성차에 미치는 영향이 결정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늘 남아가 여아보다 더 공격이지도 않다고 주장한다.
사실상 1세 아기의 경우 여아가 주도하는 놀이집단에서 장난감을 먼저
차지하기 위한 공격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Caplan et al. 1991). 2세에도
장난감이 부족할 때 남아가 주도하는 집단은 여아-주도 집단보다 더 타
협하고 공유하는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이와 같이 2을~3세까지 공격의
성차는 뚜렷하지 않다.
사회적 영향 중에서 남아를 여아보다 더 공격적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
일까? 그중 한 요인은 부모인데 이들은 아들에게는 더 거칠게 대하는 반
면 딸의 공격행동에는 더 부정적으로 반응한다(Mills et al. 1990). 이들은
남들이 보기에는 성별이 구분되지 않는 신생아에게도 아들에게는 '장군
감', '호랑이'라고 부르고 딸에게는 '공주님', '예쁜이'라고 부른다
(MacFarlane, 1977). 부모는 유아기, 학령전기, 초등학교 시기 동안 딸보
다는 아들과 신체적으로 활발한 놀이를 더 많이 한다. 자녀의 성별에 따
라 부모가 사주는 장난감도 다르다. 주로 아들에게는 공격적 행동과 관
계된 총, 탱크 등을, 딸에게는 인형, 소꿉놀이와 같이 양육적 역할을 촉
진하는 장난감을 사준다(Watson et al. 1992). 특히 아버지는 딸의 공격
행동은 적극적으로 저지하는 한편 아들에게는 "남자는 사내다워야 해."
하는 식으로 남자들 간의 싸움을 대수롭지 않게 여김으로써 공격행동을
간접적으로 부추기기도 한다. 학령기 동안 아동은 공격을 남성적 속성으
로 보게 되며, 아동 중기에 남아는 공격을 통해 어떤 이익과 또래의 인
정을 얻을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이와 같이 성차는 생물적 요인뿐만 아
니라 성전형화와 사회적 학습의 차이에 의존하는 것이다.
(3) 상호작용적 견해
이것은 성과 관련된 생물학적 요인이 사회환경적 영향과 상호작용하여 공격의 성차를 촉진한다는 주장이다. 남아와 여아의 체질적 차이를 생각해 보라. 여아는 남아에 비해 더 빨리 성숙하고 더 발리 말하며 고통에 더 민감한 경향이 있다. 한편 남아는 여아에 비해 더 크고 더 강하고 잠이 적고 더 많이 울고 더 활동적이고 화를 더 잘 내며 달래기가 더 어렵다(Tanner, 1990).
분명히 이러한 차이는 아동의 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그러나 그보다 더 큰 것은 아기가 상대방에게 미치는 간접적이며 상호작용적인 영향이다(Tieger, 1980). 가령 부모들은 온순하고 근육이 약하며 조용
한 놀이를 즐기는 딸보다는 능동적이고 힘세며 고통에 다소 둔감한 아들
과 더 힘차게 논다. 또한 부모는 달래기 어렵고 짜증이 심하고 요구가 많
은 아들에게 딸보다 더 거칠게 대할 것이다. 이와 같이 공격의 성차는 생
득적으로 내재되어 있다가 자동적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아동의 타고난 경
향이 부모나 친구의 행동과 상호작용한 결과인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
모델은 생물학적 요인과 사회적 영향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천성
과 양육 모두가 공격의 성차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5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