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언어발달] 영아기 언어발달 - 언어발달이론(행동주의관점, 선천설-생득이론, 상호작용론), 영아기와 걸음마기의 언어발달, 영아기 언어발달의 개인차, 언어발달과 부모역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아언어발달] 영아기 언어발달 - 언어발달이론(행동주의관점, 선천설-생득이론, 상호작용론), 영아기와 걸음마기의 언어발달, 영아기 언어발달의 개인차, 언어발달과 부모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영아기 언어발달

I. 언어발달이론
1. 행동주의 관점
2. 선천설 : 생득이론
3. 상호작용론

II. 영아기와 걸음마기의 언어발달
1. 언어 이전 시기
1) 소리의 지각
2) 첫소리 : 목울림 소리와 옹알이
3) 몸짓
4) 언어의 이해
5) 자곤
2. 첫 단어
1) 명칭 말하기
2) 과잉축소와 과잉일반화
3) 일어문의 시기(단어+몸짓)
3. 두 단어 시기
4. 문법의 출현

III. 언어발달의 개인차

IV. 언어발달과 부모역할

본문내용

지 않는 아기도 있으며 36개월이 되어도 단순한 문장을 사용하는 유아도 있다. 국내 한 연구(Bornstein, 박성연 & Cote, 2004)에 의하면, 20개월의 걸음마기 유아의 표현어휘는 3단어에서 253개 단어까지 나타나 상당한 개인차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언어발달에서의 성차 즉, 여아가 남아보다 언어능력이 우세하다는 것은 두뇌의 구조 등 생물학적인 차이에 기인한다고본다. 그러나 한편, 언어능력의 차이로 인해 부모는 여아에게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Leaper, Anderson, & Sanders 1998). 따라서 상호작용론에서도 지적하였듯이 타고난 능력에 기초한 언어능력은 언어적 환경을 통해 가속화된다고 할 수 있다.
성에 따른 개인차 외에도 어떤 아기들은 사물을 지칭하는 단어를 많이 쓰는 참조형의 언어를 더 많이 사용하고, 어떤 아기들은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요구에 관한 말인 표현형(expressive style)의 언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언어 유형의 차이는 부모의 양육행동이나 상호작용 양상 등 환경적인 요인으로 설명된다. 참조형 아기들의 어머니들은 상호작용에서 물체를 지칭하는 행동과 단어를 많이 사용하며 아기도 물체 탐색에 더 관심이 많은 한편, 표현형 아기들의 어머니는 동사를 많이 사용하며 아기의 사회적인 발달도 빠르다. 이러한 아동의 언어에서 참조형과 표현형의 차이는 각 문화의 명사나 동사 및 형용사의 어휘수와도 관련이 된다. 예를 들어 영어에는 명사가 많으며 한국이나 일본, 중국의 어휘에는 동사가 더 많다.
IV. 언어발달과 부모역할
위에서 기술하였듯이 언어발달 과정은 단어를 말하기 훨씬 이전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울음이나, 몸짓 및 표정, 놀이 등의 언어 이전의 의사소통에 대한 성인의 관심이나 통찰력은 어린아이가 언어를 발달시키는 데 필요한 요소이다. 양육자의 관심과 통찰력에 기초한 아기와의 상호작용은 언어발달의 기초를 마련해 준다.
한편, 수유할 때나 목욕할 때, 또는 기저귀를 갈아주면서 어머니가 보이는 표정이나 소리, 몸짓, 아기가 행동을 모방하는 등은 놀이의 형태면서 동시에 학습의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즉, 어머니는 아기에게 부드러운 소리나 표정으로 의사소통을 하고, 동시에 아기가 재미있어 하는 것을 즐기므로 계속해서 반복적 행동을 하게 되므로, 두 사람 사이에는 주고받는 연속적 행동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아기들은 차차 자기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언어를 사용하게 된다. 13개월 영아의 언어발달이 5개월 때의 어머니와 영아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박성연, 서소정, & Bornstein, 2005)는 언어발달에서의 부모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결국,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기초는 생후 첫 1년 동안 일어나며, 아기가 내는 소리를 의미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민감하게 반응해 주는 양육자에 의해 더욱 가속화된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부모와 걸음마기 유아의 서로 주고받는 대화나 그림책을 통한 대화는 걸음마기 아동에게 지식과 어휘력, 문법 및 의사소통능력을 확장시켜 줌으로써 초기의 언어발달은 물론 아동기의 학업능력을 증진시켜 준다. 2-3세 동안 일상적으로 집에서나 보육기관에서 책을 읽는 경험을 한 경우 그렇지 않은 정단의 영유아들보다 언어능력이 앞서 있다는 보고가 있다. 즉, 부모와 영유아 간의 대화는
영유아의 언어를 확장시켜 주는 근접발달영역을 만들어냄으로써 아동의 인지발달을 도와주게 된다. 반면에 영유아가 책을 읽으려는 노력에 대해 부모가 참을성 없이 그것을 무시하는 경우, 아동은 더 이상 노력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언어발달은 뒤떨어지게 된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