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CONTENTS -
대인커뮤니케이션 기법
I.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가. 언어의 추상성
나. 언어의 추리성
다. 언어의 상황성
라. 언어의 전상징성
II.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특징
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III. 대인커뮤니케이션 기법
가. 지원적 환류 기법
나. 단정적 표현 지양의 기법
다. 간접적 응답 기법
라. 의역 기법
마. 감정묘사 기법
바. 안내질문 질문순서 기법
사. 갈등 관리
아. 동작과 몸짓
대인커뮤니케이션 기법
I.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가. 언어의 추상성
나. 언어의 추리성
다. 언어의 상황성
라. 언어의 전상징성
II.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특징
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III. 대인커뮤니케이션 기법
가. 지원적 환류 기법
나. 단정적 표현 지양의 기법
다. 간접적 응답 기법
라. 의역 기법
마. 감정묘사 기법
바. 안내질문 질문순서 기법
사. 갈등 관리
아. 동작과 몸짓
본문내용
보인다.' (may be, seems, looks)와 같은 가변적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더욱 정확하고 빈틈없는 표현을 재구성하는 기법이다.
정보를 전달하는 사람이 너무 극단적으로 확신에 찬 정보만을 제공한다면 대인 간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오히려 부적절한 요인을 노출시킬 가능성이 크다.
다. 간접적 응답(responding nondirectively) 기법
간접적 응답은 감정이나 직접적인 반응을 하지 않고 듣는 것에 의존한다. 간접적 응답은 침묵이외에도 개방적 질문(open question), 고개 끄덕이기(uh-huh), 내용회상(content reflection) 등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라. 의역 기법
의역이란 정보를 제공한 청소년의 의견이나 진술을 다시 고쳐 해석하는 것으로 단순히 되풀이해서 말하는 것 이상이며 의미를 더욱 명료화하는 기법 중의 하나이다.
마. 감정묘사(describing feeling) 기법
감정묘사 기법은 다른 청소년의 솔직한 감정을 인정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감정적 반응을 진솔하게 묘사하는 것이다. 감정적 반응을 정확히 나타내는 기법은 의사소통상의 문제(예를 들면 오해와 같은 문제)를 해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바. 안내 질문(guiding questions) 질문순서 기법 (question sequencing)
안내질문기법은 면접이나 대화에서 내용을 유도하기 위해 질문을 하는 것이다. 각 질문은 상대방으로부터 어느 정도 통제되고 예상할 수 있는 응답을 확신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청소년들은 기존에 가지고 있는 믿음과 태도의 일반적 형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질문들이 상대방이 쉽게 동의해 갈 수 있도록 질문순서를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
사. 갈등 관리(managing conflict)
청소년의 인간관계에서 갈등은 불가피하게 존재하며, 이러한 갈등의 완전한 해소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상대방의 인격이 존중되는 한 갈등은 파괴적인 것이 아니므로 적당히 통제되기만 하면 원만한 인간관계가 지속될 수 있다.
갈등 해소를 위해서 갈등은 불가피하며, 반드시 나쁜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이유와 형태가 있음을 우선 이해하여야 한다. 갈등해소를 위한 접근방법으로는 갈등의 단순화, 기다림, 침묵, 명료화, 갈등에 대한 쌍방의 공동노력 등이 있다.
아. 동작과 몸짓(kinesics and body)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는 육체적 움직임이 신체의 생리적 측면과 관련되어 있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모든 육체적 움직임이 항상 특정의 의미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지만 각 움직임들이 그 의미를 설명해 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을 커뮤니케이션에서는 동작학(kinesics)이라고 하는데 언어학에서의 음운(phoneme)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눈꺼풀의 위치와 의미가 위치나 동작에 따라서도 그 의미의 차이가 있는데 눈꺼풀은 구분이 가능한 위치가 11가지나 되며, 이 가운데 상이한 의미를 전달하는 것은 4가지 위치(kineme)가 있다고 한다. 영어에서는 [kh]와 [k=]는 의미의 차이는 없으나 힌두어에서는 차이가 있고, 또한 눈꺼풀의 의미를 갖는 위치도 문화적 차이에 따라 그 숫자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람이 행동하는 서로 다른 육체적 움직임의 역할 및 그 의미와 관련되어 의미 있는 움직임이 전달해 줄 수 있는 특정한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사회적 동작학(social kinesics)이라고 한다. 이것은 보다 세밀한 움직임과 언어청각적 의사소통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보다 큰 육체적 움직임의 일반적 의사전달기능까지 연구영역으로 삼는다. 즉, 행동의 의미가 특정한 사회상황과 연결되어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침 뱉기의 행위가 서구사회에서는 기분 나쁘거나 혐오의 표시를 나타내지만 아프리카의 마사이족은 애정의 표시,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친절의 표시로써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혀를 내미는 모습은 서구사회에서는 모욕의 표시이지만, 송나라시대 중국에서는 공포를 흉내 낸다거나, 다른 사람의 화를 푸는 표시였고, 현대 중국 남부지방에서는 사회적 실수에 대한 당혹감의 표시이기도 하였다. 지중해 연안 사람들의 손으로 대화하는 모습에서도 차이를 볼 수 있는데 손가락에 키스하는 것은 승인의 표시이고, 턱을 손가락으로 만지는 모습은 지식의 부족이나 특별한 사건을 걱정하는 모양이며, 손가락을 밑으로 해 앞으로 내미는 모습은 "걱정마라", "천천히 해라"의 표시라고도 한다.
정보를 전달하는 사람이 너무 극단적으로 확신에 찬 정보만을 제공한다면 대인 간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오히려 부적절한 요인을 노출시킬 가능성이 크다.
다. 간접적 응답(responding nondirectively) 기법
간접적 응답은 감정이나 직접적인 반응을 하지 않고 듣는 것에 의존한다. 간접적 응답은 침묵이외에도 개방적 질문(open question), 고개 끄덕이기(uh-huh), 내용회상(content reflection) 등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라. 의역 기법
의역이란 정보를 제공한 청소년의 의견이나 진술을 다시 고쳐 해석하는 것으로 단순히 되풀이해서 말하는 것 이상이며 의미를 더욱 명료화하는 기법 중의 하나이다.
마. 감정묘사(describing feeling) 기법
감정묘사 기법은 다른 청소년의 솔직한 감정을 인정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감정적 반응을 진솔하게 묘사하는 것이다. 감정적 반응을 정확히 나타내는 기법은 의사소통상의 문제(예를 들면 오해와 같은 문제)를 해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바. 안내 질문(guiding questions) 질문순서 기법 (question sequencing)
안내질문기법은 면접이나 대화에서 내용을 유도하기 위해 질문을 하는 것이다. 각 질문은 상대방으로부터 어느 정도 통제되고 예상할 수 있는 응답을 확신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청소년들은 기존에 가지고 있는 믿음과 태도의 일반적 형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질문들이 상대방이 쉽게 동의해 갈 수 있도록 질문순서를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
사. 갈등 관리(managing conflict)
청소년의 인간관계에서 갈등은 불가피하게 존재하며, 이러한 갈등의 완전한 해소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상대방의 인격이 존중되는 한 갈등은 파괴적인 것이 아니므로 적당히 통제되기만 하면 원만한 인간관계가 지속될 수 있다.
갈등 해소를 위해서 갈등은 불가피하며, 반드시 나쁜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이유와 형태가 있음을 우선 이해하여야 한다. 갈등해소를 위한 접근방법으로는 갈등의 단순화, 기다림, 침묵, 명료화, 갈등에 대한 쌍방의 공동노력 등이 있다.
아. 동작과 몸짓(kinesics and body)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는 육체적 움직임이 신체의 생리적 측면과 관련되어 있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모든 육체적 움직임이 항상 특정의 의미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지만 각 움직임들이 그 의미를 설명해 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을 커뮤니케이션에서는 동작학(kinesics)이라고 하는데 언어학에서의 음운(phoneme)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눈꺼풀의 위치와 의미가 위치나 동작에 따라서도 그 의미의 차이가 있는데 눈꺼풀은 구분이 가능한 위치가 11가지나 되며, 이 가운데 상이한 의미를 전달하는 것은 4가지 위치(kineme)가 있다고 한다. 영어에서는 [kh]와 [k=]는 의미의 차이는 없으나 힌두어에서는 차이가 있고, 또한 눈꺼풀의 의미를 갖는 위치도 문화적 차이에 따라 그 숫자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람이 행동하는 서로 다른 육체적 움직임의 역할 및 그 의미와 관련되어 의미 있는 움직임이 전달해 줄 수 있는 특정한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사회적 동작학(social kinesics)이라고 한다. 이것은 보다 세밀한 움직임과 언어청각적 의사소통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보다 큰 육체적 움직임의 일반적 의사전달기능까지 연구영역으로 삼는다. 즉, 행동의 의미가 특정한 사회상황과 연결되어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침 뱉기의 행위가 서구사회에서는 기분 나쁘거나 혐오의 표시를 나타내지만 아프리카의 마사이족은 애정의 표시,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친절의 표시로써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혀를 내미는 모습은 서구사회에서는 모욕의 표시이지만, 송나라시대 중국에서는 공포를 흉내 낸다거나, 다른 사람의 화를 푸는 표시였고, 현대 중국 남부지방에서는 사회적 실수에 대한 당혹감의 표시이기도 하였다. 지중해 연안 사람들의 손으로 대화하는 모습에서도 차이를 볼 수 있는데 손가락에 키스하는 것은 승인의 표시이고, 턱을 손가락으로 만지는 모습은 지식의 부족이나 특별한 사건을 걱정하는 모양이며, 손가락을 밑으로 해 앞으로 내미는 모습은 "걱정마라", "천천히 해라"의 표시라고도 한다.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