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 개념발달] 학령전기 아동의 개념발달 - 학령전기(아동전기)의 개념발달 및 개념형성에 관한 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기 개념발달] 학령전기 아동의 개념발달 - 학령전기(아동전기)의 개념발달 및 개념형성에 관한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학령전기 아동의 개념발달

I. 개념발달
1. 시간 개념
2. 공간 개념
3. 유개념
4. 서열 개념
5. 수개념
6. 보존성 개념

II. 개념 형성에 관한 이론
1. 고전적 이론
2. 확률적 이론
3. 사례 이론
4. 이론 기초적 이론

본문내용

있다.
이 전조작기는 정신 능력의 성숙이 아직 되지 않았으나, 학습을 통해서 개념 획득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II. 개념 형성에 관한 이론
개념 형성에 관한 이론으로 고전적 이론, 확률적 이론, 사례 이론, 이를 기초적 이론 등이 있다.
[1] 고전적 이론
개념 형성에 관한 고전적 이론(classical theory)은 고대 그리스 시대까지
소급된다. 이 이론은 어떤 개념의 예들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공통되는
속성을 가지며, 개념은 이들 공통 속성들에 의해서 정의된다는 것이다(Smith & Medin 1981). 즉 이 공통 속성은 어떤 예가 특정 개념에 속하는 데 필요한 필요충분조건 이다.
고전적 이론을 검증하는 전형적인 실험은 자연 범주가 아닌 인위적 범주인 기하학석 도형 자극, 점 자극, 글자를 변형시킨 자극을 사용한 것이다(Hull 1926). 고전적 이론은 특정 범주의 예들은 세부특징을 가져야만 개념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이다.
[2] 확률적 이론
확률적 이론(Probabilistic theory)은 비트겐슈타인(Wittgenstein, 1953)에 의해서 주장된 이론으로, 한 사물이 몇 개의 특징을 가지고 있을 때 그것이 특정 범주에 속하는가 하는 문제는 확률적 현상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 견해이다. 예를 들어, 사과가 "빨갛다"라는 속성을 가지지만, 사과가 아닌 사물도 "빨갛다"라는 속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발갛다"는 속성을 가진다는 것은 사과라는 것을 절대적으로 보장해 주는 것이 아니라 다만 사과일 확률이 높은 것이라는 것이다.
확률적 이론에서는 개념이 표상되는 것은 속성의 중심적 경향(central tendency)이 표상되는 것으로 보고 개념의 집중적 경향을 원형(Prototype)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원형은 특정 개념에 속하는 예들에 대한 평균치라고 간주된다(Posner & Keele 1968, 1970). 예를 들어 "개"라는 개념의 경우 머리, 몸통, 네 다리, 꼬리에 대한 표상을 우리들은 저장하고 있으나 실제로 본 적이 있는 개의 사례와 일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봄바와 쉬켈랜드(Bomba & Siqueland, 1983)는 3, 4개월 된 유아도 원형을 사용해서 자극을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확률적 이론에 의하면, 범주의 예들에 따라 더 대표적이거나 별 대표적인 것으로 분류된다. 예컨대 과일 범주에서 사과는 "좋은 사례"이며 대표성이 넓지만, 밤이나 대추는 과일 범주에 속하지만 "빈약한 사례"(Poor exemplar)이며 덜 대표적이다.
[3] 사례 이론
사례 이론(exemplar theory)은 세부 특징을 가정하지 않고 몇몇 예들을 있는 그대로 기억함으로써 개념을 형성한다는 이론이다(Brooks, 1978).
개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례 표상이 확률적 표상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구체적이며 조작도 단순하기 때문에 어린 아동의 개념 형성 경우를 설명하는데 적합하다.
[4] 이론 기초적 이론
이를 기초적 이론(theory-based theory)은 개념 형성에 관한 최근 이론으로서 이론적 신념을 가짐으로써 특정 개념이 형성된다고 보는 견해이다.
예를 들어 공과 사과는 둥글고 굴러간다는 유사성이 있지만 이를 동일한 범주로 보지 않는 것은 공과 사과 간에 이론적 연결이 없기 때문이다.
개념 형성에서 "이론의 역할"은 유아에게도 중요한데, 유아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이론을 적용하여 세상을 이해하는 데 이 이론들은 선천적이라는 것이다. 스펠크(spelke 1988)에 의하면 4개월 된 유아도 물체는 공간을 점유하고 시간이 지나도 계속 존재한다는 물리학 이론을 나름대로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