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육목적의 역사] 교육목적의 변화
I. 원시시대의 교육목적
II. 고대의 교육목적
1. 고대 서양의 교육목적
2. 고대 동양과 한국의 교육목적
III. 중세의 교육목적
1. 중세 서양의 교육목적
2. 고려시대의 교육목적
IV. 근세의 교육목적
1. 르네상스 시대의 교육목적
2. 근세 서양의 교육목적
3. 조선시대의 교육목적
V. 근대의 교육목적
1. 근대 미국의 교육목적
2. 국권상실기의 교육목적
3. 미군정시대의 교육목적
VI. 현대 한국의 교육목적
1. 홍익인간의 이념과 목표
2. 교육목적 달성을 구현할 방법
I. 원시시대의 교육목적
II. 고대의 교육목적
1. 고대 서양의 교육목적
2. 고대 동양과 한국의 교육목적
III. 중세의 교육목적
1. 중세 서양의 교육목적
2. 고려시대의 교육목적
IV. 근세의 교육목적
1. 르네상스 시대의 교육목적
2. 근세 서양의 교육목적
3. 조선시대의 교육목적
V. 근대의 교육목적
1. 근대 미국의 교육목적
2. 국권상실기의 교육목적
3. 미군정시대의 교육목적
VI. 현대 한국의 교육목적
1. 홍익인간의 이념과 목표
2. 교육목적 달성을 구현할 방법
본문내용
재적 교육과정으로 널리 확산되어 독립운동에 기여하였다.
(3) 미군정시대의 교육목적
국권이 회복된 한국은 불행하게도 나라가 분단되어 남한은 1945년부터 미군이 3년간 통치하게 되었다. 한국 사정을 잘 모르는 미군정은 미국에서 공부한 한국인을 중심으로 하여 교육정책을 수립하게 하였고, 그들은 한국에 미국식 교육을 도입하여 시행하게 되었다.
우선 시급한 교육정책으로는 일제의 식민주의 교육정책으로 왜곡된 교육체제를 청산하고 민주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체제로 '새 교육'을 정립하는 일이었다.
그런데 이런 민주주의가 이루어지려면 먼저 해야 할 것이 전국민의 87%나 되는 비문해자(문맹자)를 위한 교육이었다. 즉 미군정 3년간은 교육체제가 정립되는 과도적인 혼란기로 그 교육목적은 민주주의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민주시민의 양성이었다. 단지 문제가 되는 것은 갑작스럽게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이 한국에 이식되었기 때문에 오는 혼선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 선교계 학교들이 미국식 교육을 실시해 왔기 때문에 그 변화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었다.
6) 현대 한국의 교육목적
(1) 홍익인간의 이념과 교육목표
우리나라의 교육목적은 헌법과 교육법 및 국민교육헌장 등에 잘 나타나 있다. 1949년 12월 31일 법률 제86호로 공포된 교육법 제1조에는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완성하고, 민주적 생활능력과 공민으로서의 자질을 구유하게 하여 민주국가 발전에 봉사하며, 인류공영의 이상실현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기본적인 이념과 목적을 분명히 규정하고 있다.
이런 교육목적의 설정은 대부분의 민주적인 근대국가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내용인데, 그 중에서 홍익인간의 이념은 한국인의 개국이념으로서 우리 민족의 고유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애국애족의 정신을 키우고 나아가 자주 독립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의지가 들어 있다. 그리고 홍익인간의 이념은 세계문화 창조와 발전에 기여하며 인류평화 건설에 기여하겠다는 좀 더 폭넓은 세계관을 가진 대아적 교육목표가 제시되어 있다.
(2) 교육목적 달성을 구현할 방법
홍익인간을 교육이념으로 하는 이러한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현방침은 교육법 제2조에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첫째, 신체의 건전한 발육과 유지에 필요한 지식과 습성을 기르며 아울러 견인불발의 기백을 가지게 한다(건강교육).
둘째, 애국애족의 정신을 길러 국가의 자주독립을 유지 발전케 하고, 나아가 인류평화건설에 이바지하게 한다(국민정신교육).
셋째, 민족의 고유문화를 계승 장양하며 세계문화의 창조 발전에 공헌하게 한다(민족문화 창조교육).
넷째, 진리탐구의 정신과 과학적 사고를 배양하여 창의적 활동과 합리적 생활을 하게 한다(과학 기술교육).
다섯째, 자유를 사랑하고 책임을 존중하며 신의와 협동과 경애의 정신으로 조화 있는 사회생활을 하게 한다(도덕교육).
여섯째, 심미적 정서를 함양하여 숭고한 예술을 감상 창작하고 자연의 미를 즐기며 여유의 시간을 유효하게 사용하여 명랑한 생활을 하게 한다(정서교육).
일곱째, 근검노작하고 무실역행하며 유능한 생산자요 현명한 소비자가 되어 건전한 경제생활을 하게 한다(경제생활교육).
우리나라는 이러한 교육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학교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 및 특수학교의 구체적인 교육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의 교육목적(초 중등교육법 제35조)
유치원은 유아를 교육하고 유아에게 알맞은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조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초등학교 교육목적(초 중등교육법 제38조)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초적 초등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중학교 교육목적(초 중등교육법 제41조)
초등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의 보통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 고등학교 교육목적(초 중등교육법 제45조)
중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보통교육 및 기초적인 전문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 대학교의 교육목적(고등교육법 제28조)
대학은 인격을 도야하고 국가와 인류사회 발전에 필요한 학술의 심오한 이론
과 그 응용방법을 교수 연마하며, 국가와 인류사회에 공헌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 외에도 특수학교(초 중등교육법 제55조)와 고등교육법에 기술대학(제55조), 전문대학(제47조), 방송통신대학(제52조), 산업대학(제37조)의 교육목적이 규정되어 있다.
(3) 미군정시대의 교육목적
국권이 회복된 한국은 불행하게도 나라가 분단되어 남한은 1945년부터 미군이 3년간 통치하게 되었다. 한국 사정을 잘 모르는 미군정은 미국에서 공부한 한국인을 중심으로 하여 교육정책을 수립하게 하였고, 그들은 한국에 미국식 교육을 도입하여 시행하게 되었다.
우선 시급한 교육정책으로는 일제의 식민주의 교육정책으로 왜곡된 교육체제를 청산하고 민주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체제로 '새 교육'을 정립하는 일이었다.
그런데 이런 민주주의가 이루어지려면 먼저 해야 할 것이 전국민의 87%나 되는 비문해자(문맹자)를 위한 교육이었다. 즉 미군정 3년간은 교육체제가 정립되는 과도적인 혼란기로 그 교육목적은 민주주의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민주시민의 양성이었다. 단지 문제가 되는 것은 갑작스럽게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이 한국에 이식되었기 때문에 오는 혼선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 선교계 학교들이 미국식 교육을 실시해 왔기 때문에 그 변화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었다.
6) 현대 한국의 교육목적
(1) 홍익인간의 이념과 교육목표
우리나라의 교육목적은 헌법과 교육법 및 국민교육헌장 등에 잘 나타나 있다. 1949년 12월 31일 법률 제86호로 공포된 교육법 제1조에는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완성하고, 민주적 생활능력과 공민으로서의 자질을 구유하게 하여 민주국가 발전에 봉사하며, 인류공영의 이상실현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기본적인 이념과 목적을 분명히 규정하고 있다.
이런 교육목적의 설정은 대부분의 민주적인 근대국가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내용인데, 그 중에서 홍익인간의 이념은 한국인의 개국이념으로서 우리 민족의 고유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애국애족의 정신을 키우고 나아가 자주 독립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의지가 들어 있다. 그리고 홍익인간의 이념은 세계문화 창조와 발전에 기여하며 인류평화 건설에 기여하겠다는 좀 더 폭넓은 세계관을 가진 대아적 교육목표가 제시되어 있다.
(2) 교육목적 달성을 구현할 방법
홍익인간을 교육이념으로 하는 이러한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현방침은 교육법 제2조에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첫째, 신체의 건전한 발육과 유지에 필요한 지식과 습성을 기르며 아울러 견인불발의 기백을 가지게 한다(건강교육).
둘째, 애국애족의 정신을 길러 국가의 자주독립을 유지 발전케 하고, 나아가 인류평화건설에 이바지하게 한다(국민정신교육).
셋째, 민족의 고유문화를 계승 장양하며 세계문화의 창조 발전에 공헌하게 한다(민족문화 창조교육).
넷째, 진리탐구의 정신과 과학적 사고를 배양하여 창의적 활동과 합리적 생활을 하게 한다(과학 기술교육).
다섯째, 자유를 사랑하고 책임을 존중하며 신의와 협동과 경애의 정신으로 조화 있는 사회생활을 하게 한다(도덕교육).
여섯째, 심미적 정서를 함양하여 숭고한 예술을 감상 창작하고 자연의 미를 즐기며 여유의 시간을 유효하게 사용하여 명랑한 생활을 하게 한다(정서교육).
일곱째, 근검노작하고 무실역행하며 유능한 생산자요 현명한 소비자가 되어 건전한 경제생활을 하게 한다(경제생활교육).
우리나라는 이러한 교육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학교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 및 특수학교의 구체적인 교육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의 교육목적(초 중등교육법 제35조)
유치원은 유아를 교육하고 유아에게 알맞은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조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초등학교 교육목적(초 중등교육법 제38조)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초적 초등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중학교 교육목적(초 중등교육법 제41조)
초등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의 보통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 고등학교 교육목적(초 중등교육법 제45조)
중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보통교육 및 기초적인 전문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 대학교의 교육목적(고등교육법 제28조)
대학은 인격을 도야하고 국가와 인류사회 발전에 필요한 학술의 심오한 이론
과 그 응용방법을 교수 연마하며, 국가와 인류사회에 공헌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 외에도 특수학교(초 중등교육법 제55조)와 고등교육법에 기술대학(제55조), 전문대학(제47조), 방송통신대학(제52조), 산업대학(제37조)의 교육목적이 규정되어 있다.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