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조절] 정서조절의 개념, 정서조절을 하는 이유, 정서조절과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서조절] 정서조절의 개념, 정서조절을 하는 이유, 정서조절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서조절

I. 정서조절이란 무엇인가?

II. 정서조절을 하는 이유
1. 쾌락규칙
1) 부정적인 기분경감 가설
2) 쾌락유관 가설
2. 적절성 규칙
3. 유용성 규칙

III. 정서조절 과정

본문내용

할 것이라는 가정을 했다. 그들은 이 가정을 슬픈 혹은 기쁜 기분을 수업이 시작될 때 혹은 끝날 때 유도함으로써 자연상황에서 검증을 했다(실험 2). 그들은 수업이 끝날 때 실험을 하면 피험자들은 그들의 기분이 수업을 방해한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기분일치 기억을 할 것이지만, 수업이 시작될 때 실험을 하면 피험자들은 그들의 기분이 수업을 방해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기분불일치 기억을 할 것이라는 가정을 했다. 그들은 피험자들을 슬픈 혹은 기쁜 기분으로 유도한 후 수업이 시작될 때 혹은 끝날 때 슬픈 혹은 기쁜 자전적 기억을 회상하도록 지시했다. 두 명의 독립적인 판단자가 회상된 기억 내용을 슬픔과 기쁨의 관점에서 각각 평가했다. 실험결과 피험자들은 실험이 수업이 시작될 때보다 를날 때 실시되었을 때 기분일치 회상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슬픈 기분의 피험자들은 실험을 수업이 시작될 때 실시했을 때 슬픈 기억을 회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규칙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사람들은 외적인 자극이 없을 때나 정
서조절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지 않을 때는 항상 쾌락규칙에 따라서 정서조
절을 할 것이라고 가정된다. 즉 사람들은 정서조절 상황과는 관련이 없을 때
기본적으로 항상 부정적인 정서는 벗어나고 긍정적인 정서는 유지하는 쾌락규
칙에 따라서 정서조절을 할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이 외적인 자극이 있거나 정서조절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할
때는 적절성규칙이나 유용성규칙에 따라서 정서조절을 할 것이라고 가정된다.
적절성규칙은 사회적 상황에서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방식으로 정서조절을 하
며, 유용성규칙은 재인적 상황과 사회적 상황 모두에서 자신에게 유용한 방식
으로 정서조절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적절성규칙과 유용성규칙이 시
사하는 것은 부정적인 정서도 사회적 상황이나 자신의 목표를 위해서 유지하는
방향이나 벗어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긍정적인 정서도 사회적 상황
이나 자신의 목표를 위해서 유지하는 방향이나 벗어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Parrot(1991)는 기분조절 연구에서 지금까지 무시되어 온 두 가지 개념은
좋은 기분을 억제하고 나쁜 기분을 유지하려는 동기라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두 동기가 각각 비사회적인 동기와 사회적인 등기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3. 정서조절 과정
정서조절이 일어나는 과정은 통제과정과 자동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보처리 과정에서 자동과정이 의도적인 노력 없이 이루어지는데 반해서 통제과정은 무슨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가를 결정하는 의도적인 요소를 나타낸다(Schneider & Shiffrin, 1977). 따라서 내적인 혹은 외적인 사건으로 유발되어서 일차적이고 직접적으로 경험되는 정서는 자동과정인데 반해서, 경험된 정서를 조절하는 과정은 통제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통제과정은 무슨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 가를 결정하는 의도적인 요소를 나타낸다.
자동과정을 통제과정으로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하나의 요인은 자신의 정보처리 과정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Wilson과 Brekke(1994)는 사람들이 자신의 정신 처리과정(mental process)을 알지 못하거나 통제 불가능하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반응을 하게 되는 것을 정신오염이라고 정의했다. 사람들이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의 정신과정을 자각(awareness)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사람들은 부정적인 정서상태에 있을 때는 긍정적인 정서상태에 있을 떼보다
더 주의집중하게 된다. 사람들은 자신의 부정적인 정서를 자각할 때, 그들의 정
서의 이유에 대해서 생각을 하게 되고, 무슨 정서규칙과 조절이 주어진 상황에
적절하며,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인지를 고려하게 된다. 따라서 자
신의 부정적인 정서로 인해서 부정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을 막거나 억제하게
된다.
정서를 자각하는 것은 메타기분과 관계있다(Mayer & Gaschke, 1988). 메타
기분에 속하는 첫 번째 과정은 자신의 기분을 모니터하는 것이다. 자기자각
(self-awareness)과 정서성이 높은 사람들은 매우 발달된 메타기분의 경험을
지닌다.
정서조절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정보처리과정에서 정서조절은 여러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정서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있어야 하며, 정서를 변화
시키는데 책임이 있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인지적인 해석, 정서를 변화시키
기 위한 목표설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반응산출 그리고 그 반응에 대한 평
가 등이 있어야 한다.
첫 번째 정서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는 인식 단계는 예를 들어 친구와 대화
를 나누다가 의견충돌이 있어서 슬픔을 경험한 사람은 슬픔이 지나치게 강해서
우울해질 때 슬픔을 조절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을 말한다.
두 번째 정서를 변화시키는데 책임이 있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인지적인
해석 단계는 자신이 느끼는 슬픔의 원인이 친구 때문인가 아니면 자신 때문인
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세 번째 정서를 변화시키기 위한 목표설정 단계는 문제 중심적인 해결, 정
서 중심적인 해결, 사회 중심적인 해결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네 번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반응산출 단계는 위의 방법 중 어느 해결방
법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다양해진다. 문제 중심적인 해결이란 직접적인 문제해
결을 하는 것으로 친구가 슬픔의 원인이라고 생각하면 전화를 해서 친구에게
섭섭했던 점을 이야기하는 것이며, 자신이 슬픔의 원인이라고 생각을 하연 친
구에게 사과를 하는 것을 말한다. 정서 중심적인 해결은 슬픔을 조절하기 위해
서 즐거운 음악을 듣는다든지, 책을 읽는다든지,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는
다든지 하는 것이다. 사회 중심적인 해결은 타인에게 공감을 얻는 방법으로 다
론 친구에게 전화를 해서 그 문제에 대해서 친구와 이야기하는 것이다.
다섯 번째 반응에 대한 평가 단계는 원하는 목표를 어떻게 산출했는가, 그
리고 바람직한 혹은 비바람직한 결과를 어떻게 산출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각 단계에서 어느 방향으로 인지적, 행동적인 선택을 하는가에 따라서 정서
경험과 정서조절의 양상은 달라지게 된다.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5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