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육행정
I. 교육행정의 개념
1. 교육에 관한 행정
2. 교육을 위한 행정
3. 행위론적 교육행정
II. 교육행정의 성격
1. 일반적 성격
1) 공공적 성격
2) 조장적 성격
3) 수단적 성격
4) 전문적 성격
5) 민주적, 중립적 성격
2. 특수적 성격
1) 장기적 성격
2) 비긴급성
3) 평가의 곤란성
III. 교육행정의 과정
1. 페이욜
2. 귤릭과 어윅
3. 시어즈
4. 미국학교행정가협회
5. 그레그
6. 캠벨
7. 김종철
I. 교육행정의 개념
1. 교육에 관한 행정
2. 교육을 위한 행정
3. 행위론적 교육행정
II. 교육행정의 성격
1. 일반적 성격
1) 공공적 성격
2) 조장적 성격
3) 수단적 성격
4) 전문적 성격
5) 민주적, 중립적 성격
2. 특수적 성격
1) 장기적 성격
2) 비긴급성
3) 평가의 곤란성
III. 교육행정의 과정
1. 페이욜
2. 귤릭과 어윅
3. 시어즈
4. 미국학교행정가협회
5. 그레그
6. 캠벨
7. 김종철
본문내용
를 분석하여 (1)기획(Planning) (2)조직(organizing) (3)지휘(commanding) (4)조정(coordinating) (5)통제(controlling)등 5개의 요소를 제시하였다.
2. 귤릭(L. GuIick)과 어윅(L. Urwick, 1937)
그들은 페이욜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의 일반적 직무를 기능적으로 분석한 후 "행정에 관한 논총J 에서 최고 관리자의 기능으로 포스트코브(POSDCoRB)라는 약성어(acronym)를 제시하였다.
(1) 기획(Planning)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야 할 일과 그것을 이행하는 데 필요한 방법을 포괄적으로 작성하는 것이다.
(2) 조직(organization) :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과업을 담당할 부서를 정하고, 구성원 각자의 역할을 규정하며 부서별로 권한과 책임의 한계를 공식적으로 수립하는 일이다.
(3) 인사(staffing) : 직원을 채용하고 훈련하며 좋은 작업조건을 유지하는 등의 인사에 관한 일이다.
(4) 지시(directing) :조직의 최고 관리자로서 계속적으로 여러 가지 의사결정을 하며 그 결정을 구체적이고 일반적인 명령과 지시와 봉사의 형태로 구체화하는 일이다.
(5) 조정(coordinating) : 각 부서별 활동을 조절하고 유기적으로 상호 관련시키는 일이다.
(6) 보고(reporting) : 최고관리자가 과업의 진행상황을 구성원에게 알리는 것으로 기록 조사 연구 감독 등을 통하여 자신과 구성원들이 이를 알도록 하는 일이다.
(7) 예산편성(budgeting) : 재정계획 회계 재정통제의 형식에 의한 예산편성에 따르는 모든 일이다.
3. 시어즈(J. B. Sears, 1950)
그는 페율의 이론에서 시사를 받아 최초로 교육행정분아에 행정과정을 적용하였다. 그는 그의 저서 "행정과정의 성격"에서 교육행정의 과정요소로 (1) 기획(Planning) (2) 조직(organizing) (3) 지시(directing) (4) 조정(coordinating) (5) 통제(controlling)등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시어즈의 교육행정의 과정요소의 제시에 따라서 교육행정에서도 이 분야의 연구가 계속되었다.
4. 미국학교행정가협회(AASA, 1955)
미국학교행정가협회(AASA: The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Administration)는 33차 연보인 "학교행정에 있어서 교직원 관계"에서 '행정이란 학교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람과 더불어 일하는 한 과정'이라고 전제하고, 이와 관련된 주요 기능으로 (1)기획(Planning) (2)배치(allocating) (3)자극(stimulating) (4)조정(coordinating) (5)평가(evaluating)의 다섯 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다.
5. 그레그(RusseII T. Gregg, 1957)
그는 교육행정에 행정과정을 지도성(leadership), 집단과정(group process) 그리고 인간관계(human relation)등의 개념을 강조하면서 보다 혁신적으로 적용시켰다. 그는 "교육에서의 행정행위"에 발표한 '행정의 과정'에서 행정과정 요소로 (1)의사결정(decision-making) (2)기획(Planning) (3)조직(organizing) (4)의사소통(communicating) (5)영향((influencing) (6)조정(coordinating) (7) 평가(evaluating)의 일곱 가지를 제시하였다.
6. 캠벨(Roald F. Campbell, 1958)
교육행정학의 이론화를 위하여 노력한 캠벨 등은 "교육행정학 원론(Introduction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에서 교육행정의 과정요소로 (1) 의사결정(decision-making) (2) 프로그램 작성(Programing) (3) 자극, (4) 조정(coordinating) (5)평가(evaluating)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7. 김종철
그는 그레그의 이론을 토대로 하여 교육행정의 과정요소로서 (1)기획(Planning) (2) 결심(decision-making) (3)조직(organizing) (4)교신(communicating) (5)지도(leading) (6)조정(coordinating) (7)통제(controlling) (8)평가(evaluating)등의 여덟 가지를 제시하였다.
2. 귤릭(L. GuIick)과 어윅(L. Urwick, 1937)
그들은 페이욜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의 일반적 직무를 기능적으로 분석한 후 "행정에 관한 논총J 에서 최고 관리자의 기능으로 포스트코브(POSDCoRB)라는 약성어(acronym)를 제시하였다.
(1) 기획(Planning)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야 할 일과 그것을 이행하는 데 필요한 방법을 포괄적으로 작성하는 것이다.
(2) 조직(organization) :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과업을 담당할 부서를 정하고, 구성원 각자의 역할을 규정하며 부서별로 권한과 책임의 한계를 공식적으로 수립하는 일이다.
(3) 인사(staffing) : 직원을 채용하고 훈련하며 좋은 작업조건을 유지하는 등의 인사에 관한 일이다.
(4) 지시(directing) :조직의 최고 관리자로서 계속적으로 여러 가지 의사결정을 하며 그 결정을 구체적이고 일반적인 명령과 지시와 봉사의 형태로 구체화하는 일이다.
(5) 조정(coordinating) : 각 부서별 활동을 조절하고 유기적으로 상호 관련시키는 일이다.
(6) 보고(reporting) : 최고관리자가 과업의 진행상황을 구성원에게 알리는 것으로 기록 조사 연구 감독 등을 통하여 자신과 구성원들이 이를 알도록 하는 일이다.
(7) 예산편성(budgeting) : 재정계획 회계 재정통제의 형식에 의한 예산편성에 따르는 모든 일이다.
3. 시어즈(J. B. Sears, 1950)
그는 페율의 이론에서 시사를 받아 최초로 교육행정분아에 행정과정을 적용하였다. 그는 그의 저서 "행정과정의 성격"에서 교육행정의 과정요소로 (1) 기획(Planning) (2) 조직(organizing) (3) 지시(directing) (4) 조정(coordinating) (5) 통제(controlling)등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시어즈의 교육행정의 과정요소의 제시에 따라서 교육행정에서도 이 분야의 연구가 계속되었다.
4. 미국학교행정가협회(AASA, 1955)
미국학교행정가협회(AASA: The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Administration)는 33차 연보인 "학교행정에 있어서 교직원 관계"에서 '행정이란 학교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람과 더불어 일하는 한 과정'이라고 전제하고, 이와 관련된 주요 기능으로 (1)기획(Planning) (2)배치(allocating) (3)자극(stimulating) (4)조정(coordinating) (5)평가(evaluating)의 다섯 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다.
5. 그레그(RusseII T. Gregg, 1957)
그는 교육행정에 행정과정을 지도성(leadership), 집단과정(group process) 그리고 인간관계(human relation)등의 개념을 강조하면서 보다 혁신적으로 적용시켰다. 그는 "교육에서의 행정행위"에 발표한 '행정의 과정'에서 행정과정 요소로 (1)의사결정(decision-making) (2)기획(Planning) (3)조직(organizing) (4)의사소통(communicating) (5)영향((influencing) (6)조정(coordinating) (7) 평가(evaluating)의 일곱 가지를 제시하였다.
6. 캠벨(Roald F. Campbell, 1958)
교육행정학의 이론화를 위하여 노력한 캠벨 등은 "교육행정학 원론(Introduction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에서 교육행정의 과정요소로 (1) 의사결정(decision-making) (2) 프로그램 작성(Programing) (3) 자극, (4) 조정(coordinating) (5)평가(evaluating)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7. 김종철
그는 그레그의 이론을 토대로 하여 교육행정의 과정요소로서 (1)기획(Planning) (2) 결심(decision-making) (3)조직(organizing) (4)교신(communicating) (5)지도(leading) (6)조정(coordinating) (7)통제(controlling) (8)평가(evaluating)등의 여덟 가지를 제시하였다.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