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성이론] 지도성의 이론(특성이론, 행위이론, 상황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도성이론] 지도성의 이론(특성이론, 행위이론, 상황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지도성이론

I. 특성이론
1. 킴부로(Kimbrough)와 너너리(Nunnery)의 연구
2. 스톡딜(Stogdill)의 연구
3. 버나드(Barnard)의 연구

II. 행위이론
1. 레윈(Lewin)의 연구
2. 오하이오(Ohio) 주립대학교 경영학연구팀의 연구
3. 블레이크(Blake)와 모턴(Mouton)의 연구
1) [1-1형] 무기력형
2) [9-1형] 과업형
3) [1-9형] 컨트리 클럽형
4) [5-5형] 중간형
5) [9-9형] 팀형

III. 상황이론
1. 피들러(Fiedler)의 상황모형
2. 레딘(Reddin)의 3차원 관리유형이론
1) 기본유형
2) 효과적 유형
3) 비효과적 유형

본문내용

시간과 장소 및 조직이나 집단의 성격이 고려되지 않았다. 그러나 상황이론은 지도성의 효과성이 지도자의 인성 특성, 지도자의 행위, 그리고 과업구주 지위권력, 부하의 기술이나 태도와 같은 상황변인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본다. 이를 하나의 공식으로 표현하면 L=f(l, f, sn) 즉, 리더십(Leadership)은 지도자(leader)와 부하(follower)의 상호작용인데, 그 작용을 둘러싸고 있는 상황(situation)과의 함수관계(function) 속에서 발휘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황이론에서는 단 하나의 최선의 지도성 유형이 없다는 입장을 취하면서 다양한 상황 속에서 어떤 지도자 유형이 효과적인지를 예측하려고 한다.
1) 피들러(Fred E. Fiedler)의 상황모형
상황조건이론을 최초로 제시했던 피들러(Fiedler)는 지도성의 유형은 지도자의 동기체제(motivational system)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과 조직의 효과성은 지도성 유형과 상황의 호의성(situational favorableness)과의 결합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기본가설로 삼았다. 그리하여 지도자의 동기유발구조를 측정하여 지도성 유형을 상정하였으며, 집단의 목표를 성취하는데 부응하는 환경 상황이 얼마나 호의적인가를 측정하였다.
피들러는 지도자의 동기유발을 측정하기 위해서 LPC(least preferred coworker:
가장 싫어하는 동료작업자) 척도를 개발하였다.
LPC 측정은 지도자의 동기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LPC 점수가 높은 지도자는 대인관계를 밀접하게 가지려는 동기성향이 우세하다. 그러므로 LPC 접수가 높은 지도자는 부하와의 사교를 강조하고 필요하다면 적극적이고 지원적인 태도를 취하는 관계성 지향적 지도성을 발휘하게 된다.
반면에 LPC 점수가 낮은 지도자는 과업목표달성에 우선적으로 동기를 부여한다. 그러므로 LPC 점수가 낮은 지도자는 직무를 훌륭히 완수하는 데만 찬심이 있으며 부하를 다를 때에도 과업지향적 지도성을 발휘한다.
(그림) 피들러의 지도성 결정요인간의 상관관계 모형
피들러는 지도성의 상황변수를 위의 그림과 같이 지도자와 부하와의 관계(leader-member relation), 과업구조(task structure), 지위권력(Position power)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리더와 부하와의 관계는 부하가 리더를 승인하는 정도를 말하며, 과업구조는 부하의 직무가 자세히 기술되는 정도를 의미하구 지위권력은 지도자가 조직에서 공식적으로 소요한 권력의 강도를 말한다.
지도성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상황의 호의성 정도에 따라 지도성 유형이 달라져야 하는데, 그는 3개의 상황변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8개의 집단상황에 대한상황의 호의성 정도를 호의적, 중간, 비호의적의 세 가지로 크게 구분하였다.
2) 레딘(William J. Reddin)의 3차원 관리유형이론
레딘은 과업차원(task dimension)과 관계성 차원(relationship dimension)의 두 차원에다 효과성 차원(effectiveness dimension)을 추가하여 3차원의 모형을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제시하였다.
(그래프) 레딘의 3차원 모형
여기서 과업차원이란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힘쓰는 지도자의 행동을 말하고, 관계성 차원은 구성원에게 신뢰, 존경 그리고 정서적 배려를 하며 인간관계를 중요시하는 지도자의 행동을 뜻하며, 효과성 차원은 지도자가 자신의 책임하에 있는 목표를 달성하는 정도를 뜻하는 데 현실적으로 지도성이 발휘되는 지도자의 환경을 의미한다.
레딘은 지도자가 상황에 어떻게 적응하느냐에 따라서 상황에 적합할 때는 같은 유형이라도 효과적인 유형이 되고 적합하지 않을 때는 비효과적인 유형이 된다고 하였다.
(1) 기본유형
1/ 통합형(integrated style):과업차원과 관계성 차원 모두 높은 유형
2/ 관계형(related style) :관계성 차원은 높지만 과업차원이 낮은 유형
3/ 헌신형(dedicated style):과업차원은 높지만 관계성 차원이 낮은 유형
4/ 분리형(separated style):과업차원과 관계성 차원 모두 낯은 유형
(2) 효과적 유형
1/ 경영가(executive) : 높은 과업차원과 낮은 관계성 차원을 수용하는 훌륭한 동기유발자이며, 높은 과업수준을 설정하구 개인차를 인정하고, 팀 경영(team management)을 잘 유용한다.
2/ 개발자(developer) : 상황적 요구에 적절하게 높은 관계성가 낮은 과업차원을 발휘하는 효과적인 유형으로, 구성원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개개인의 개발에 관심을 기울인다.
3/ 호의적 전제자(benevolent autocrat) :상황적 요구에 적절하게 높은 과업차원과 낮은 관계성을 지향하는 효과적인 유형으로서 구성원의 원망을 사지 않으면서도 수행해야 할 내용과 방법을 알고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지도자이다.
4/ 관료형(bureaucrat) : 낮은 관계성과 낮은 과업차원을 행사하지만 이러한 것이 상황의 요구에 적절하게 수용되어 효과적인 유형으로 인정되며, 특히 규칙 절차에 관심이 대단하고 이를 통한 환경유지 통제를 추구하나구성원들에게 양심적으로 비친다.
(3) 비효과적 유형
1/ 타협자(compromiser) :높은 과업차원과 낮은 관계성 차원을 보이나 상황적 요구에 적절하지 못한 경우로서, 비효과적인 지도성 유형이다. 장기적 관점에서 생산의 극대화를 도모하지 않고 압력에 영향을 받아 너무 흔들리는 졸속한 의사결정자이다.
2/ 선교자 : 상황적 요구에 부적절한 높은 관계성 차원과 낮은 과업차원을 행사하는 비효과적인 유형으로서, 오직 구성원들과의 조화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직선가적인 행동을 한다.
3/ 전제자(autocrat) : 상황적 요구에 부적절하게 높은 과업차원과 낮은 관계성 차원을 지향하는 비효과적인 유형으로 구성원에 대한 신뢰성이 없으며 즐거운 작업분위기를 만들지 못하고 오직 당면한 과업에만 관심을 기울인다.
4/ 포기자(deserter):상황적 요구에 어울리지 않게 낮은 관계성 차원과 낮은 과업차원을 띠는 비효과적인 유형으로, 조직에 몰입하지 않고 수동적이며 부정적이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02.1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