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학교시설관리
I. 학교시설의 의의
1. 학교시설의 개념
2. 학교시설의 조건
1) 안정성
2) 융통성
3) 심미성
4) 연계성
5) 이용성
6) 관리성
7) 경제성
II. 학교시설의 기준
1. 교지의 선정기준
1) 교지의 위치
2) 지질과 지세
3) 교육적 환경
4) 안전 및 위생상 적소
5) 경제성과 용도
6) 규모
2. 체육장
3. 교사
1) 폐쇄형
2) 개방형
3) 분산형
4. 교실
1) 교실운영의 형태
2) 교실의 수용능력과 이용률
5. 교구
1) 책상과 걸상
2) 칠판과 전시판
3) 건구
4) 도서실
6. 급수온수공급시설
7. 기타 물리적 환경
1) 채광과 조명
2) 환기와 통풍
3) 보온과 방습
4) 방음
I. 학교시설의 의의
1. 학교시설의 개념
2. 학교시설의 조건
1) 안정성
2) 융통성
3) 심미성
4) 연계성
5) 이용성
6) 관리성
7) 경제성
II. 학교시설의 기준
1. 교지의 선정기준
1) 교지의 위치
2) 지질과 지세
3) 교육적 환경
4) 안전 및 위생상 적소
5) 경제성과 용도
6) 규모
2. 체육장
3. 교사
1) 폐쇄형
2) 개방형
3) 분산형
4. 교실
1) 교실운영의 형태
2) 교실의 수용능력과 이용률
5. 교구
1) 책상과 걸상
2) 칠판과 전시판
3) 건구
4) 도서실
6. 급수온수공급시설
7. 기타 물리적 환경
1) 채광과 조명
2) 환기와 통풍
3) 보온과 방습
4) 방음
본문내용
걸상은 1인용으로 하되 천판은 평면으로도, 경사지게도 할 수 있게 설계된
것이 좋다. 책, 걸상의 크기는 여러 층을 두고 각자의 체격에 알맞은 것을 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책, 걸상의 배열과 학생좌석의 배치에 항상 유념해야
한다.
(2) 칠판과 전시판
칠판은 전통적으로 교수,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교구 중의 하나이다. 그 모
양과 위치에 따라 고정식, 이동식(가동식), 상하이동식, 좌우미닫이식, 곡면칠판
등이 있으며, 교수, 학습의 목적에 따라 오선칠판, 방안칠판도 등도 사용된다. 칠
판의 색깔은 흑색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녹씩이 많이 쓰이고, 다색, 회색 등도 있
다. 칠판을 지울 때는 지우개를 위, 아래로 움직여 지워야 분필가루를 덜 날리게
되어 위생적이다.
전시판은 각종 그래프, 사진, 작품, 도안, 실물 등을 전시 할뿐만 아니라 때로는
계획표, 고시사항, 행사 등을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전시판도 친수, 학습활동에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전시판은 압정을 여러 인 사용할 수 있도록 내
구력이 강한 재료로 만들어야 한다. 전시판의 크기는 세로 90cm 이상이어야 좋고
거는 높이는 마루바닥에서 90cm 이상이 바람직하다. 전시판은 교실이나 복도에
고정시키거나 이동식으로 사용된다.
(3) 건구
건구(建具)는 교구라고는 할 수 없으나 교실에서 가장 많이 Tm이는 출입구의
문, 유리창 등 열고 닫는 시설이므로 안전하고 편리하고 견고하게 설계되어야 한
다. 출입구의 문은 교실 앞, 뒤에 있어 복도로부터 출입이 용이해야 한다. 출입문
의 형식은 밀거나 당기는 식과 미닫이 식이 있는데, 밀거나 당기는 식은 소음이 나
지 않는 대신 공간의 활용이 부자유스럽다. 미닫이식은 레일(rail, 鐵路)과 호차(戶
車, 미닫이 밑에 대는 작은 쇠바퀴)의 소리가 나지만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
다. 창도 교실 내의 채광, 통풍, 환기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창은 대개 미닫이
식으로 되어 있다. 교실 내의 모준 건구가 안전하고 편리하고 견고할 수 있도록 학
교관리자는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한다.
(4) 도서실
학교도서실은 학생들에게 많은 학습자료를 제공해 주고, 교사들에게는 교수-학
습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데 필수적인 학교시설이다. 자율학습을 주축으로 하고 있
는 현대교육에서는 도서실은 학교시설의 중심이 되고 있다.
도서실에는 서적, 잡지, 신문, 기록, 시청각자료, 국가 및 지방행정자료, 향토자
료 및 기타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 보존하고 학생과 교사에게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그들의 조사와 연구, 학습, 교양, 레크리에이션에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법령(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1997, 12 13)에 의하여 도서실을 규정에 맞게 설치하
게 되어 있다.
학교도서실은 이용하기 편리한 곳으로 조용하고 밝으며 여유가 있는 곳에 설치
해야 한다. 학교도서실의 내부는 밝고 명랑하며 접근하고 싶도록 심리적으로 배
려하여 채색 등에 유의해야 한다. 앞으로 이용률이 높아지고 보관할 자료가 많아
질 것을 고려하여 미리 넓게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장소를 택해야 한다. 도서실에는
열람석 외에 신문이나 잡지 열람소, 작업실 겸 사무실, 서구 자료실 등을 따로 갖
출 수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도서실의 열람석은 창 가까운 곳에 설치하되 열람
자가 창을 향해 앉지 않도록 배열한다. 도서실의 서가는 개가식(open shelves system : 열람자가 서가에 직접 접근하여 도서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열람하는 방식)인 경우 열람석 주변에 배치하되 채광창을 가리지 않도록 설치해야 한
다. 학교도서실의 설비에서 열람석수와 비치 도서수는 법규에 의하여 정해져있다.
열람용 책상은 4~6명쯤이 마주 앉도록 하고, 그 크기는 대개 폭을 75~95cm,
길이는 182~195cm, 높이는 50~60cm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서가는 벽에 고정시켜 놓는 것이 학생들에게 익숙하여 바람직하다. 서가의 높
이는 학생들의 신장을 고려하여 165~180cm정도가 적당하며 폭은 90cm, 깊이는
20cm, 각 칸의 높이는 25cm정도가 바람직하다.
6) 급수온수공급시설
각급 학교에는 급수시설을 두어야 하되, 수질검사결과 위생상 무해하다고 판명
된 것이어야 하다. 학교에는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7) 기타 물리적 환경
학교환경의 물리적 조건에는 건강, 위생, 편리성, 안정성, 생리적 욕구충족의 관
점에서 채광과 조명, 환기와 통풍, 보온과 방습, 방음 등에 관해서만 살펴본다.
(1) 채광과 조명
학교건물을 설계할 때 교실의 채광과 조명을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채광은 교실 전체 면적의 1/5이상이 되어야 한다. 조명은 자연조
명이든 인공조명이든 보통교실에는 300럭스 이상이 되어야 하며 직접조명보다는
간접조명이 바람직하다. 인공조명시는 반사율을 잘 조정해서 전등시설을 해야 한
다. 시력보호라는 측면에서도 채광과 조명은 중요하다.
(2) 환기와 통풍
실내공기 중에 0.1%가 탄산가스로 채워지면 비위생적이고 인체에도 해롭다고
한다. 학교 건물은 통풍이 잘 되도록 설계해야 하지만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하여
렇지 못한 경우가 있다. 자연환기가 잘 되지 않을 때는 인공환기의 방법으로 교실
내를 언제나신선한 공기로 채워 주는 것이 좋다.
(3) 보온과 방습
학생이 학습하고 작업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18‘C를 중심으로 하여 18'C +/-2'C이다. 온도와 습도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온도와 관련하여 최적의 습도의 범위는 60%+/-20%이다. 특히 학교건물은 학교용지의 설정에서부터 건축설계, 시공에 이르기까지 방습, 방서 및 방한에 유의해야 한다.
(4) 방음
학습이나 작업의 효과를 올리는 데는 조용한 교실의 분위기가 전제된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55데시벨을 넘는 소음은 학생들의 학습이나 작업에 현저한 장애요인이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교실 내는 55데시벨 이하가 이상적이다. 이와 같은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축설계시 방음벽 등 각종 방음 재료를 사용해야 되며, 소음이 예상되는 수업을 위한특수교실, 즉 음악실, 시청각교실 등을 마련해야 한다.
것이 좋다. 책, 걸상의 크기는 여러 층을 두고 각자의 체격에 알맞은 것을 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책, 걸상의 배열과 학생좌석의 배치에 항상 유념해야
한다.
(2) 칠판과 전시판
칠판은 전통적으로 교수,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교구 중의 하나이다. 그 모
양과 위치에 따라 고정식, 이동식(가동식), 상하이동식, 좌우미닫이식, 곡면칠판
등이 있으며, 교수, 학습의 목적에 따라 오선칠판, 방안칠판도 등도 사용된다. 칠
판의 색깔은 흑색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녹씩이 많이 쓰이고, 다색, 회색 등도 있
다. 칠판을 지울 때는 지우개를 위, 아래로 움직여 지워야 분필가루를 덜 날리게
되어 위생적이다.
전시판은 각종 그래프, 사진, 작품, 도안, 실물 등을 전시 할뿐만 아니라 때로는
계획표, 고시사항, 행사 등을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전시판도 친수, 학습활동에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전시판은 압정을 여러 인 사용할 수 있도록 내
구력이 강한 재료로 만들어야 한다. 전시판의 크기는 세로 90cm 이상이어야 좋고
거는 높이는 마루바닥에서 90cm 이상이 바람직하다. 전시판은 교실이나 복도에
고정시키거나 이동식으로 사용된다.
(3) 건구
건구(建具)는 교구라고는 할 수 없으나 교실에서 가장 많이 Tm이는 출입구의
문, 유리창 등 열고 닫는 시설이므로 안전하고 편리하고 견고하게 설계되어야 한
다. 출입구의 문은 교실 앞, 뒤에 있어 복도로부터 출입이 용이해야 한다. 출입문
의 형식은 밀거나 당기는 식과 미닫이 식이 있는데, 밀거나 당기는 식은 소음이 나
지 않는 대신 공간의 활용이 부자유스럽다. 미닫이식은 레일(rail, 鐵路)과 호차(戶
車, 미닫이 밑에 대는 작은 쇠바퀴)의 소리가 나지만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
다. 창도 교실 내의 채광, 통풍, 환기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창은 대개 미닫이
식으로 되어 있다. 교실 내의 모준 건구가 안전하고 편리하고 견고할 수 있도록 학
교관리자는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한다.
(4) 도서실
학교도서실은 학생들에게 많은 학습자료를 제공해 주고, 교사들에게는 교수-학
습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데 필수적인 학교시설이다. 자율학습을 주축으로 하고 있
는 현대교육에서는 도서실은 학교시설의 중심이 되고 있다.
도서실에는 서적, 잡지, 신문, 기록, 시청각자료, 국가 및 지방행정자료, 향토자
료 및 기타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 보존하고 학생과 교사에게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그들의 조사와 연구, 학습, 교양, 레크리에이션에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법령(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1997, 12 13)에 의하여 도서실을 규정에 맞게 설치하
게 되어 있다.
학교도서실은 이용하기 편리한 곳으로 조용하고 밝으며 여유가 있는 곳에 설치
해야 한다. 학교도서실의 내부는 밝고 명랑하며 접근하고 싶도록 심리적으로 배
려하여 채색 등에 유의해야 한다. 앞으로 이용률이 높아지고 보관할 자료가 많아
질 것을 고려하여 미리 넓게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장소를 택해야 한다. 도서실에는
열람석 외에 신문이나 잡지 열람소, 작업실 겸 사무실, 서구 자료실 등을 따로 갖
출 수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도서실의 열람석은 창 가까운 곳에 설치하되 열람
자가 창을 향해 앉지 않도록 배열한다. 도서실의 서가는 개가식(open shelves system : 열람자가 서가에 직접 접근하여 도서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열람하는 방식)인 경우 열람석 주변에 배치하되 채광창을 가리지 않도록 설치해야 한
다. 학교도서실의 설비에서 열람석수와 비치 도서수는 법규에 의하여 정해져있다.
열람용 책상은 4~6명쯤이 마주 앉도록 하고, 그 크기는 대개 폭을 75~95cm,
길이는 182~195cm, 높이는 50~60cm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서가는 벽에 고정시켜 놓는 것이 학생들에게 익숙하여 바람직하다. 서가의 높
이는 학생들의 신장을 고려하여 165~180cm정도가 적당하며 폭은 90cm, 깊이는
20cm, 각 칸의 높이는 25cm정도가 바람직하다.
6) 급수온수공급시설
각급 학교에는 급수시설을 두어야 하되, 수질검사결과 위생상 무해하다고 판명
된 것이어야 하다. 학교에는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7) 기타 물리적 환경
학교환경의 물리적 조건에는 건강, 위생, 편리성, 안정성, 생리적 욕구충족의 관
점에서 채광과 조명, 환기와 통풍, 보온과 방습, 방음 등에 관해서만 살펴본다.
(1) 채광과 조명
학교건물을 설계할 때 교실의 채광과 조명을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채광은 교실 전체 면적의 1/5이상이 되어야 한다. 조명은 자연조
명이든 인공조명이든 보통교실에는 300럭스 이상이 되어야 하며 직접조명보다는
간접조명이 바람직하다. 인공조명시는 반사율을 잘 조정해서 전등시설을 해야 한
다. 시력보호라는 측면에서도 채광과 조명은 중요하다.
(2) 환기와 통풍
실내공기 중에 0.1%가 탄산가스로 채워지면 비위생적이고 인체에도 해롭다고
한다. 학교 건물은 통풍이 잘 되도록 설계해야 하지만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하여
렇지 못한 경우가 있다. 자연환기가 잘 되지 않을 때는 인공환기의 방법으로 교실
내를 언제나신선한 공기로 채워 주는 것이 좋다.
(3) 보온과 방습
학생이 학습하고 작업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18‘C를 중심으로 하여 18'C +/-2'C이다. 온도와 습도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온도와 관련하여 최적의 습도의 범위는 60%+/-20%이다. 특히 학교건물은 학교용지의 설정에서부터 건축설계, 시공에 이르기까지 방습, 방서 및 방한에 유의해야 한다.
(4) 방음
학습이나 작업의 효과를 올리는 데는 조용한 교실의 분위기가 전제된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55데시벨을 넘는 소음은 학생들의 학습이나 작업에 현저한 장애요인이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교실 내는 55데시벨 이하가 이상적이다. 이와 같은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축설계시 방음벽 등 각종 방음 재료를 사용해야 되며, 소음이 예상되는 수업을 위한특수교실, 즉 음악실, 시청각교실 등을 마련해야 한다.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