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른 결과가 아니고 공무원 적정인력규모에 대한 논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공무원 적정인력규모에 대해 판단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아직 뚜렷하게 적합한 표준모델이 개발된 것은 아니다.
공무원 적정인력규모에 대해 판단을 내릴 수는 없지만, 국제비교를 통해 한국의 공무원 규모는 외국의 정부규모에 비해 50% 수준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한다면 한국의 정부 인력규모 증가에 대해 비판적 관점에서 평가하기보다는 정부의 역할 관점에서 논의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공무원 규모가 크다는 국민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할 것이며, 정부가 공무원 인력을 늘리는 것에 대해서도 과잉인력이라고 생각하기 보다는 필요한 부분에 인력을 배치했다고 생각할 수 있도록 정당성 제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박동서 외(1992). 작은 정부의 개념 논의. 한국행정학보 제26권 제1호.
안병영 외(2008). 한국의 교육개혁: 평가와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윤영진, 김태룡 외(2002). 새 행정이론. 대영문화사,
이명석(2001). 신공공관리론 신거버넌스론 그리고 김대중 정부의 정부개혁. 정부 개혁과 행정학 연구,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정용덕(2004). 현대 국가의 행정학. 법문사.
정정길(2011). 행정학의 새로운 이해. 대영출판사.
정철현김정한(2008). 정부의 최적규모에 관한 연구. 정부학연구 제14권 제2호.
지승우(2004). 행정학 爭点. 卓月출판사.
진종순(2005). 정부 인력규모의 국제비교분석. 한국행정연구원.
공무원 적정인력규모에 대해 판단을 내릴 수는 없지만, 국제비교를 통해 한국의 공무원 규모는 외국의 정부규모에 비해 50% 수준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한다면 한국의 정부 인력규모 증가에 대해 비판적 관점에서 평가하기보다는 정부의 역할 관점에서 논의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공무원 규모가 크다는 국민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할 것이며, 정부가 공무원 인력을 늘리는 것에 대해서도 과잉인력이라고 생각하기 보다는 필요한 부분에 인력을 배치했다고 생각할 수 있도록 정당성 제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박동서 외(1992). 작은 정부의 개념 논의. 한국행정학보 제26권 제1호.
안병영 외(2008). 한국의 교육개혁: 평가와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윤영진, 김태룡 외(2002). 새 행정이론. 대영문화사,
이명석(2001). 신공공관리론 신거버넌스론 그리고 김대중 정부의 정부개혁. 정부 개혁과 행정학 연구,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정용덕(2004). 현대 국가의 행정학. 법문사.
정정길(2011). 행정학의 새로운 이해. 대영출판사.
정철현김정한(2008). 정부의 최적규모에 관한 연구. 정부학연구 제14권 제2호.
지승우(2004). 행정학 爭点. 卓月출판사.
진종순(2005). 정부 인력규모의 국제비교분석. 한국행정연구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