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이육사의 생애
2.이육사의 시의 세계
3. 작가론
4. 시
2.이육사의 시의 세계
3. 작가론
4. 시
본문내용
인식에 근거한 선구자 의식과
결합되고 이것이 다시 미래 지향의 역사 의식으로 고양됨으로써 시적 초극과 정신적 상승을
실천적으로 보여주는 시인 것이다. <참고서적 : 한국 문학의 현장을 찾아서>
― 꽃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나리쟎는 그 때에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날이여.
북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은
눈 속 깊이 꽃 맹아리가 옴자거려
제비 떼 까맣게 날아오길 기다리나니
마침내 저바리지 못할 약속이여.
한 바다 복판 용솟음치는 곳
바람결 따라 타오르는 꽃 성에는
나비처럼 취하는 회상의 무리들아
오늘 내 여기서 너를 불러 보노라.
▶ 성격 : 관조적, 영탄적, 의지적, 상징적, 저항적
▶ 경향 : 현실 참여적
▶ 심상 : 시각적 심상, 역동적 심상
▶ 운율 : 3음보의 변형
▶ 어조 : 강인하고 의지적인 남성적 어조
▶ 표현 : 상징에 의한 암시적 표현
▶ 특징 : 희망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시
▶ 시상 전개 : ① 점층적 전개 ② 각 연이 서경에서 서정으로 표현됨.(선경 → 후정)
▶ 구성 :
① 극한상황 속의 새 생명(독립) 탄생을 위한 노력(제1연)
- \'동방\' : 삶의 터전인 한반도
② 새 생명 탄생을 위한 인고(제2연)
- 제비떼 : \'광복\'의 미래 소망
- \'저버리지 못한 약속 : 조국의 밝은 미래를 찾기 위한 자신의 희생 다짐
③ 새 생명 탄생의 환희(제3연)
- \'꽃 성\' : 광복의 날
- \'나비\' : 광복의 환희를 누리는 우리 민족
▶ 제재 : 꽃
▶ 주제 : 참된 삶(조국 광복)에 대한 신념과 기다림)
▶ 감상의 초점
이 시는 일제말 국권 상실의 시기에 독립을 위해 몸바친 시인의 강렬한 의지가 표출된 작품이다.『절정』이 한계점을 인식하고 비극적 초월을 노래한 것이라면, 이 시는 불모의 땅에서 끈질긴 목숨을 유지하며 \'개화(開花)\'를 통해 삶의 의지를 실현하여 삶의 비약적 상승(上昇)과 희망을 노래한 것으로 미래지향적이다. 이 같이 미래지향적이라는 점에서 작품 <광야>와 유사하다.
이 시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먼저 화자가 처한 위치부터 생각해 보아야 한다. 화자는 하늘도 끝난 곳, 비 한 방울도 내리지 않는 곳, 추운 북쪽 툰드라의 척박한 땅에 있다. 이런 극한 상황에 처해 있으면서도 \'저버리지 못할 약속\'처럼 다가올 봄날을 위해 그는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하루하루를 보내며 그 날을 불러보고 있다.
결합되고 이것이 다시 미래 지향의 역사 의식으로 고양됨으로써 시적 초극과 정신적 상승을
실천적으로 보여주는 시인 것이다. <참고서적 : 한국 문학의 현장을 찾아서>
― 꽃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나리쟎는 그 때에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날이여.
북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은
눈 속 깊이 꽃 맹아리가 옴자거려
제비 떼 까맣게 날아오길 기다리나니
마침내 저바리지 못할 약속이여.
한 바다 복판 용솟음치는 곳
바람결 따라 타오르는 꽃 성에는
나비처럼 취하는 회상의 무리들아
오늘 내 여기서 너를 불러 보노라.
▶ 성격 : 관조적, 영탄적, 의지적, 상징적, 저항적
▶ 경향 : 현실 참여적
▶ 심상 : 시각적 심상, 역동적 심상
▶ 운율 : 3음보의 변형
▶ 어조 : 강인하고 의지적인 남성적 어조
▶ 표현 : 상징에 의한 암시적 표현
▶ 특징 : 희망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시
▶ 시상 전개 : ① 점층적 전개 ② 각 연이 서경에서 서정으로 표현됨.(선경 → 후정)
▶ 구성 :
① 극한상황 속의 새 생명(독립) 탄생을 위한 노력(제1연)
- \'동방\' : 삶의 터전인 한반도
② 새 생명 탄생을 위한 인고(제2연)
- 제비떼 : \'광복\'의 미래 소망
- \'저버리지 못한 약속 : 조국의 밝은 미래를 찾기 위한 자신의 희생 다짐
③ 새 생명 탄생의 환희(제3연)
- \'꽃 성\' : 광복의 날
- \'나비\' : 광복의 환희를 누리는 우리 민족
▶ 제재 : 꽃
▶ 주제 : 참된 삶(조국 광복)에 대한 신념과 기다림)
▶ 감상의 초점
이 시는 일제말 국권 상실의 시기에 독립을 위해 몸바친 시인의 강렬한 의지가 표출된 작품이다.『절정』이 한계점을 인식하고 비극적 초월을 노래한 것이라면, 이 시는 불모의 땅에서 끈질긴 목숨을 유지하며 \'개화(開花)\'를 통해 삶의 의지를 실현하여 삶의 비약적 상승(上昇)과 희망을 노래한 것으로 미래지향적이다. 이 같이 미래지향적이라는 점에서 작품 <광야>와 유사하다.
이 시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먼저 화자가 처한 위치부터 생각해 보아야 한다. 화자는 하늘도 끝난 곳, 비 한 방울도 내리지 않는 곳, 추운 북쪽 툰드라의 척박한 땅에 있다. 이런 극한 상황에 처해 있으면서도 \'저버리지 못할 약속\'처럼 다가올 봄날을 위해 그는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하루하루를 보내며 그 날을 불러보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괴테의 생애와 작품세계
셰익스피어의 생애및 4대비극작품외 몇 작품
임형수의 생애와 작품세계 연구
[인상주의]인상주의(인상주의미술)의 개념, 인상주의(인상주의미술)의 색채구성, 인상주의화...
윤동주의 생애와 윤동주의 시 세계, 윤동주의 시 분석 및 윤동주의 가치관에 관한 고찰(윤동...
생애 작품 사상
고흐(빈센트 반 고흐)의 생애, 고흐(빈센트 반 고흐)의 약력 연도별정리, 고흐(빈센트 반 고...
르네상스 회화의 특성, 르네상스 회화의 변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생애와 작품특징, 레오나...
[혜원 신윤복][혜원 신윤복 예술기법][혜원 신윤복 대표작품][단원 김홍도]혜원 신윤복의 생...
[살바도르 달리][예술관][프로이드][피카소][달리작품의 감상내용]살바도르 달리의 생애, 살...
[노계 박인로][노계집][작품 누항사 전문]노계 박인로의 개요, 노계 박인로의 생애, 노계 박...
양귀자 생애와 여성상, 양귀자 소설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작품분석, 양귀자 소설 ...
[채만식][문학세계][풍자소설][치숙][명일]채만식의 생애, 채만식의 평가, 채만식의 문학세계...
[이상(시인, 소설가), 언어세계, 텍스트, 날개, 거울]이상(시인, 소설가)의 생애, 이상(시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