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목차
(Part 1)
들어가며..
세계조선산업의 흐름
한.EU 조선협상의 직접적 배경
한.EU 조선협상의 주요 경과(WTO제소이전)
한.EU 조선협상의 주요 경과(WTO제소이후)
(Part 2)
The Board
The Players
The Stakes
The Moves
Outcomes & Effects
들어가며..
세계조선산업의 흐름
한.EU 조선협상의 직접적 배경
한.EU 조선협상의 주요 경과(WTO제소이전)
한.EU 조선협상의 주요 경과(WTO제소이후)
(Part 2)
The Board
The Players
The Stakes
The Moves
Outcomes & Effects
본문내용
한 EU 조선협상 (한 EU 조선협상 주요 경과, 한 EU 조선협상 직접적 배경, 세계조선산업 흐름, 한 EU 조선협상 wto제소이전, 한 EU 조선협상 wto제소이후, 한 EU 조선 협상 주요 경과, 한 EU 조선 협상직접적배경)
세계조선산업의 흐름
60’s~70’s 중반까지 -> 세계조선수요의 급신장에 맞추어 일본을 중심으로 조선설비능력을 확충.
73~74년 -> 세계 조선시장에서 일본은 설비 확장을 통하여 공급능력을 키웠고, 한국도 설비건설에 착수하게 됨.
설비 확충 → 공급과잉 문제에 직면.(80년대 중반까지)
OECD 국가들의 경우 건조능력의 50%를 감축하는 등 과잉설비 및 인력감축을 통한 구조조정에 노력.
# But. 수주량 감소 & 선가하락(87년까지)
1990년대 중반 이후, 세계조선업계의 급변.
=> 외환위기로 인한 원화가치 하락으로 가격 경쟁력이 생김.
-> 한국 조선소의 수주량 급증. 반면 EU와 일본의 수주량 정체 혹은 급감. EU측 조선소 사이에 위기의식이 확산, 한국에 대한 압력 강화.
세계조선산업의 흐름
60’s~70’s 중반까지 -> 세계조선수요의 급신장에 맞추어 일본을 중심으로 조선설비능력을 확충.
73~74년 -> 세계 조선시장에서 일본은 설비 확장을 통하여 공급능력을 키웠고, 한국도 설비건설에 착수하게 됨.
설비 확충 → 공급과잉 문제에 직면.(80년대 중반까지)
OECD 국가들의 경우 건조능력의 50%를 감축하는 등 과잉설비 및 인력감축을 통한 구조조정에 노력.
# But. 수주량 감소 & 선가하락(87년까지)
1990년대 중반 이후, 세계조선업계의 급변.
=> 외환위기로 인한 원화가치 하락으로 가격 경쟁력이 생김.
-> 한국 조선소의 수주량 급증. 반면 EU와 일본의 수주량 정체 혹은 급감. EU측 조선소 사이에 위기의식이 확산, 한국에 대한 압력 강화.
키워드
추천자료
한-칠레, 한-중-일 FTA완벽 분석
주요 EU국가의 전력산업
EU의 탄생과 발전, 그리고 우리나라와의 관계를 조명하시오
EU 신규회원국 확대와 EMU
유럽통합의 배경과 전망
유럽연합의 형성 배경과 과정 및 영향도 분석 자료
[유럽문화]유럽연합(EU) 대하여..
경제블럭화와 동북아 경제협력
한 중 FTA 현황과 방향
[EU][유럽연합]유럽통합(EU, 유럽연합)의 역사적 기원과 배경, 유럽통합(EU, 유럽연합)의 과...
한·터키 FTA- FTA사례, FTA성과와대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
한일 FTA(Free Trade Agreement)의 경제적 효과와 한국의 대처방안 (한-일 FTA의 배경과 목적...
[생활속의 경제 과제물] 영국은 국민투표결과 유럽연합으로부터 탈퇴. 1. 유럽연합의 형성과...
[유럽현대사] 유럽연합(EU)의 배경과 현재, 과연 연합은 가능한 모델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