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런] 뉴런의 구조와 기능, 뉴런의 활동, 신경전달물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뉴런] 뉴런의 구조와 기능, 뉴런의 활동,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뉴런

I. 뉴런의 구조

II. 뉴런의 활동

III. 신경전달물질

본문내용


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신경전달물질이다. 부패한 통조림을 먹으면 치
명적인 경우가 있다. 이는 보툴리누스 독 때문이다. 또한 남아메리카 인디
언이 화살촉에 묻혀 사용한 독성물질인 큐라레나 코브라의 독과 같은 물
질들도 치명적인 해를 끼치는 물질들이다. 이들 모두 아세틸콜린의 작용
신경전달물질
과 관련이 있다. 보툴리누스 독은 아세틸콜린의 방출을 막아서 신경전달
을 방해하고, 큐라레나 코브라의 독은 아세틸콜린의 수용을 방해함으로써
신경전달을 방해하는 것이다. 자율신경의 마비는 곧바로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모노아민계의 신경전달물질로는 도파민, 노어에피네프린, 에피네프
린, 세로토닌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앞에서 언급한 도파민은 비교적 잘
알려진 신경전달물질로 첫 번째 회로는 시상하부에서 뇌하수체로 축색을
보내는 회로이고, 두 번째 회로는 중뇌흑질에 세포체를 두고 기저핵으로
축색을 보때는 회로이며, 셋째 회로는 중뇌 에서 대뇌피 질과 변연계로 투사
되는 회로이다. 두 번째 회로에서 이상이 파킨슨씨병을 세 번째 회로의 이
상이 정신분열증을 발병시키는 것이다.
세로토닌은 후뇌의 특정영역에 세포체를 두고 전뇌의 여러 부위에 축
색을 보내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세로토닌은 노어 에피네프린과 상호작용하
떤서 각성과 수면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보인다. 세로토닌의 분비량
이 많아지면 각성수준이 떨어져서 서서히 잠에 빠지게 된다. 반면 노어에
피네프린은 각성체계를 활성화시켜서 긴장하게 만든다. 노어 에피네프린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모두에서 발견된다. 특히 말초신경계에서는 노
어에피네프린이 교감신경의 전달물질로서 사용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노어에피네프린이 많이 분비되는데, 그 결과로 신경체계를 활성화시켜서
위협적인 상황에 대처하게 한다.
아미노산 신경전달물질로서 중추신경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은 글루타민산, GABA라고 알려진 감마-아미노뷰티릭산이다. 글루타민
산은 뇌 전역에서 발견되는 흥분성 전달물질이다. 조미료에서 사용되는
MSG는 글루타민산의 나트륨 염이다. 어떤 사람들은 MSG에 민감해서 지
나치게 섭취하면 현기증과 같은 가벼운 신경학적 증상을 경험하기도 한다.
GABA는 중추신경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억제성 전달물질이다.
GABA는 불수의적 운동, 우울, 정신피폐와 같은 치명적인 증세를 보이는
헌팅톤무도병과 관련이 있다. 이 질병은 기저핵에 있는 GABA성 뉴런의 변
성으로 발생한다.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3.16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71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