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 자아발달] 아동기 자기평가(자아존중감, 자아개념), 아동기 자기조절(자기통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기 자아발달] 아동기 자기평가(자아존중감, 자아개념), 아동기 자기조절(자기통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아동기 자아발달

I. 자기에 대한 지식

II. 자기평가
1. 자아존중감
2. 자기지각 프로파일
3. 자아존중감의 안정성
4. 학업과 관련된 자아개념
5. 사회적 비교
6. 부모의 양육방식

III. 자기조절
1. 언어의 역할
1) 비고츠키 모델
2) 루리아 모델
2. 유혹에 대한 저항
3. 만족의 지연

본문내용

다. 결과는 연령에 따라 언어규제의 효과가 변화한다는 것이다. 후기 아동기는 내용이
일치할 때 커다란 목소리가 행동을 통제하는 데 더 효과적이었다. 자기규제는 외적 통제
로 작용하며 점차 이것이 내재화된다.
(2) 유혹에 대한 저항
아동은 하지 말아야 할 어떤 것을 하고 싶은 유혹을 이겨내야만 한다. 초기에는 부모
의 금지나 벌에 의해 이러한 욕구가 통제되지만, 나중엔 아무도 보지 않아도 금지된 행
동을 억제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어떻게 이런 자기통제 행동이 생기게 되는가?
이것을 알아보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이 금지된 장난감 기법(forbidden-toy technique)
이다. 아동을 방에 혼자 두고 그 옆에 아주 좋은 장난감을 함께 둔다. 아동에게 그 장난
감을 만지지도, 놀지도 말라고 말한다. 밖에서 관찰자는 아동의 행동을 일방 거울로 관
찰한다. 이때 "아동이 규칙을 어기는 데 얼마나 걸리는가?“ 그리고 "아동이 금지된 장난
감을 가지고 얼마 동안 노는가?'를 집중적으로 관찰한다. 이런 경우 아동의 자기 지시적
인 말(self-instructional statement)이 유혹에 저항하는 능력에 영향을 주는가? 집단 1에
게는 "돌아보면 안돼"를 큰소리로 계속 암송(관계있는 진술)하도록 하고, 집단 2에게는
"똑딱똑딱"(관계없는 진술)을 중얼거리게 했으며, 집단 3에게는 아무 말 없이 침묵을 지
키도록 했다. 그 결과 아동초기에는 언어적인 자기지시가 침묵하고 있는 것보다 유혹에
저항하는 데 훨씬 큰 역할을 했다. 그러나 지시의 의미와는 아무 상관없이 같은 결과를
보였다. 아동후기에는 자기지시의 내용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냈는데, 활동과 관계있
는 진술이 자기규제를 하는 데 더 효과적이었다,
(3) 만족의 지연
아동의 자기통제에 대한 연구로 많이 쓰이는 방법이 만족지연 기법(dealy-of-
gratication technique)이다. 전형적으로 아동에게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구하
는데, 즉각적인 선택에는 작은 보상이 따르고 나중 것을 선택하면 더 큰 보상을 받게 된
다. 이를 통해 만족을 지연하는 아동의 통제능력을 측정하고자 했다.
만족을 위해 기다리는 동안 루리아의 모델을 적용해서 기다리는 내용과 관계있는 진
술("나는 맛있는 사탕을 기다렸다 먹을 거야")이나 관계없는 진술("하나, 둘, 셋"), 또는
아무 말도 하지 않도록 했다. 아동 초기에는 자기진술(둘 중 하나)이 기다리는 시간을 늘
렸으며, 후기 아동은 관계있는 연어적 진술이 더 효과적이었다(Kamoid & Miller, 1981).
이는 유혹에 대한 저항을 알아보는 실험결과와 일치한다. 만족을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
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도 연관이 있다. 충동적으로 반응하는 아동은 사회적 관계에서
종종 문제를 겪게 된다. 이것은 결정을 하기 전에 그 상황에 대한 모든 필요한 정보를 습
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Moore, Hughes液 Robinson, 1992). 아동이 만족을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을수록 어떤 문제의 원인을 알기 위한 얘기를 많이 들었다(Gronau &
Waas, 1997)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족을 지연하는 아동의 능력은 매우 안정적인 성격특징으로 보인다. 유아기에 만족
의 지연에 관한 연구에 참가했던 청소년에게 10년 후 인지기술, 사회적 유능성, 스트레
스 대처능력 등에 대해서 다시 연구를 했다. 그 결과, 유아기에 만족의 지연을 더 잘했던
유아가 이러한 분야에서 각각 더 좋은 부모의 평가를 받았다. 이전 실험절차 증 가장 잘
기다렸던 아동이 가장 학업성취도 좋고 또래관계도 가장 좋으며 문제해결 능력도 좋고
자기신뢰와 확신이 가장 높았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03.16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7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