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을 설명하고, 서식환경에 따른 서식지 조성방법에 대하여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을 설명하고, 서식환경에 따른 서식지 조성방법에 대하여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I. 조류의 서식환경의 특성

1. 흑기러기의 생활사와 필요한 서식지
2. 아메리카흰죽지의 특성과 서식지 조건

II. 수조류의 서식지 조성 사례

1. 서식지 조성 개요
1) A지역 : 섭금류 서식지
2) B지역 : 수금류 서식지
2. 서식지 건설
3. 물의 공급
4. 관찰시설

*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린새들의 은폐소가 되기도 한다. 9월 중순이 되면 북녘의 쇠오리 무리가 번식지에서 돌아오기 시작한다. 지속적으로 물이 채워지기 시작하는 이 시기에는 지속적인 자연먹이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식물집단은 일년생 종자식물이 주종을 이룬다. 주요 조들은 명아주류, 꼬리풀류 등이며, 또한 이 지역에는 희귀종인 부처꽃의 군집도 무성하게 된다. 이러한 관리는 풍요롭고 흥미 있는 식물집단을 조성하며, 영구적인 식물상을 가장자리 주변에 조성하게 된다. 12월 중순가지는 A와 B 두 지역이 하나의 습지로 합쳐진다.
2. 서식지 건설
호수 제방건설과 지상부의 다양한 높낮이는 적지 않은 이점을 가진다. 이 지역의 표토는 풍요로운 취식지와 식물번식지로의 영양가치가 높다. 또한 그곳은 최소한의 준설작업을 실시하면 된다. 물의 공급을 위해 강으로부터 수로를 석호 주변에 설치하며, 강에서 준설한 흙은 호수의 제방용으로 이용한다.
폭넓은 얕은 제방은 풀의 성장을 허용하며, 트랙터가 저수지 주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제방들은 그 나름대로 풍요로운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된다. 제방 내부쪽에 지정된 높이의 다양한 섬들이 건설된다. 퍼올려 건설된 섬들은 지면 바닥에서 높이는 20cm, 석호를 양분하는 제방은 이보다 20cm 더 높게, 최종적으로 영구적인 섬으로 남는 지역은 다시 20cm가 더 높다. 흙은 준설된 흙을 이용하며 자갈섬은 갯벌 위에 직접 만든다. 경사는 모두 침식을 막을 수 있도록 완만하게 만든다.
3. 물의 공급
1) 수로에서 계획된 충분한 물을 공급받는다.
2) 비상시에는 주변의 강으로부터 펌프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3) 수로에서 유래하는 제2의 수로의 예비 물공급 체제는 바람직하다. 이것은 오리 도래습지 지역에 유입될 수 있을 것이다.
4) 여름에는 많은 양의 물이 섬의 수위를 조절하고 있는 L형 파이프를 통하여 집수지로 직접 흘러든다.
5) 하계의 폭우시 위기에 처한 번식종을 보호하기 위한 배출구는 비상관계 파이프를 이용한다.
4. 관찰시설
제방에 스크린과 관찰사를 마련하여, 눈높이로 관찰할 수 있도록 시설한다.
* 참고문헌
조류 도심유입 위한 서식환경 개선방안 - 송인주 저, 서울연구원, 2015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 박종길 저, 자연과 생태, 2014
야생동물 생태관리학 - 이우신, 박찬열 외 6명 저, 라이프사이언스, 2010
일반조류학 - P. GAYRAL 저, 김미경 역, 아카데미서적, 2000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3.24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81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