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학습목표
1. 조공책봉관계의 개념
사료를 통해 알 수 있는 조공책봉관계
교재개발 본문
학습활동
조사자료
한반도 삼국의 정세
동아시아 국제정세
1. 조공책봉관계의 개념
사료를 통해 알 수 있는 조공책봉관계
교재개발 본문
학습활동
조사자료
한반도 삼국의 정세
동아시아 국제정세
본문내용
1. 조공책봉관계의 개념
동아시아 세계를 구성하는 여러 국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섭과 충돌은 구체적으로 외교와 전쟁이란 형태로 전개되었다. 특히 중국과 주변 국가 사이에 맺어진 외교관계는 책봉(冊封)과 조공(朝貢)이라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조공책봉관계는 원래 고대 중국의 주(周)에서 시작되었다. 주왕은 가까운 신하와 왕족을 각 지역을 다스리는 제후로 임명하였고, 이에 대해 제후는 사절을 보내 왕에게 예물을 바쳤다. 이를 각각 책봉과 조공이라고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 시기의 조공책봉관계는 오직 주나라 내부에서만 이루어진 상하관계였다. 그 뒤 통일왕조인 진(秦) · 한(漢)이 등장하면서 중국과 그 주변 국가들 사이의 국제관계로까지 확대되었다. 다시 말해 이때의 조공은 주변 국가의 수장이 중국의 황제의 신하가 되는 정치적 의례이며, 책봉은 조공에 대응하여 중국의 황제가 주변 국가의 수장에게 특정관직과 물품을 주어 신속시키는 양식이다. 따라서 조공과 책봉은 동질의 제도로 성립하였다.
일반적으로 중국과 정치적으로 긴밀한 관계일 경우에는 책봉과 조공이 동시에 이루어졌고, 그렇지 않으면 교역을 위한 조공만 하기도 했다. 또한 이 관계가 지속적인 것은 아니라서 각국의 대내외적인 필요에 따라 일정기간 중단되기도 하였다.
사료를 통해 알 수 있는 조공책봉관계
요동태수가 위만을 외신으로 삼아 위만으로 하여금 변방 밖의 오랑캐를 막아서 오랑캐가 도둑질하지 못하게 하였다. … 요동태수가 이 일을 천자에게 아뢰니 천자도 이를 허락하였고, 이 때문에 만은 군사의 위엄과 재물을 얻어 주변 소읍을 침략해 항복시켰다. 진번과 임둔도 모두 와서 조선에 복속하여 조선의 영토는 수 천리나 되었다.
* 요동태수 : 요동군을 다스리는 지방장관
* 외신 : 한대에는 황제가 직접 통치하기 힘든, 즉 멀리 있는 나라의 수장을
외신으로 책봉함
교재개발 본문
한이 멸망하고 나서 동아시아 각지의 이주 국가들은 새로운 정세를 자국에 유리하게 만들고자 적극적인 외교 활동을 펼쳤다. 이에 따라 강대국 중심의 외교 형식인 조공·책봉 관계도, 각국이 상호 우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체결하는 현실적이고 다원적인 관계로 성격이 바뀌었다. 고구려는 남북조 혼란기에 화북 지방의 여러 북방 민족 정권과 이를 통일한 북조, 강남의 한족 정권인 남조와 모두 조공·책봉 관계를 유지하였다. 백제는 남조인 송·제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고구려가 북위와 우호 관계에 있는 것을 견제하기 위해서였다. 백제는 남조의 황제로부터 책봉을 받고, 직접 불교와 학문 등 다양한 문물을 수입할 수 있었다. 신라는 6세기에 처음으로 백제의 중개를 받아 남조와 조공·책봉 관계를 맺었다. 그리고 왜는 5세기에 남조와 책봉 관계를 맺고, 신라·백제와도 서로 사절을 주고받았다. 남조와 북조도 서로 사절을 교환하였다.
동아시아 세계를 구성하는 여러 국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섭과 충돌은 구체적으로 외교와 전쟁이란 형태로 전개되었다. 특히 중국과 주변 국가 사이에 맺어진 외교관계는 책봉(冊封)과 조공(朝貢)이라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조공책봉관계는 원래 고대 중국의 주(周)에서 시작되었다. 주왕은 가까운 신하와 왕족을 각 지역을 다스리는 제후로 임명하였고, 이에 대해 제후는 사절을 보내 왕에게 예물을 바쳤다. 이를 각각 책봉과 조공이라고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 시기의 조공책봉관계는 오직 주나라 내부에서만 이루어진 상하관계였다. 그 뒤 통일왕조인 진(秦) · 한(漢)이 등장하면서 중국과 그 주변 국가들 사이의 국제관계로까지 확대되었다. 다시 말해 이때의 조공은 주변 국가의 수장이 중국의 황제의 신하가 되는 정치적 의례이며, 책봉은 조공에 대응하여 중국의 황제가 주변 국가의 수장에게 특정관직과 물품을 주어 신속시키는 양식이다. 따라서 조공과 책봉은 동질의 제도로 성립하였다.
일반적으로 중국과 정치적으로 긴밀한 관계일 경우에는 책봉과 조공이 동시에 이루어졌고, 그렇지 않으면 교역을 위한 조공만 하기도 했다. 또한 이 관계가 지속적인 것은 아니라서 각국의 대내외적인 필요에 따라 일정기간 중단되기도 하였다.
사료를 통해 알 수 있는 조공책봉관계
요동태수가 위만을 외신으로 삼아 위만으로 하여금 변방 밖의 오랑캐를 막아서 오랑캐가 도둑질하지 못하게 하였다. … 요동태수가 이 일을 천자에게 아뢰니 천자도 이를 허락하였고, 이 때문에 만은 군사의 위엄과 재물을 얻어 주변 소읍을 침략해 항복시켰다. 진번과 임둔도 모두 와서 조선에 복속하여 조선의 영토는 수 천리나 되었다.
* 요동태수 : 요동군을 다스리는 지방장관
* 외신 : 한대에는 황제가 직접 통치하기 힘든, 즉 멀리 있는 나라의 수장을
외신으로 책봉함
교재개발 본문
한이 멸망하고 나서 동아시아 각지의 이주 국가들은 새로운 정세를 자국에 유리하게 만들고자 적극적인 외교 활동을 펼쳤다. 이에 따라 강대국 중심의 외교 형식인 조공·책봉 관계도, 각국이 상호 우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체결하는 현실적이고 다원적인 관계로 성격이 바뀌었다. 고구려는 남북조 혼란기에 화북 지방의 여러 북방 민족 정권과 이를 통일한 북조, 강남의 한족 정권인 남조와 모두 조공·책봉 관계를 유지하였다. 백제는 남조인 송·제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고구려가 북위와 우호 관계에 있는 것을 견제하기 위해서였다. 백제는 남조의 황제로부터 책봉을 받고, 직접 불교와 학문 등 다양한 문물을 수입할 수 있었다. 신라는 6세기에 처음으로 백제의 중개를 받아 남조와 조공·책봉 관계를 맺었다. 그리고 왜는 5세기에 남조와 책봉 관계를 맺고, 신라·백제와도 서로 사절을 주고받았다. 남조와 북조도 서로 사절을 교환하였다.
추천자료
<국제 관계 개념(정의), 이론&#8228;방법, Actors의 특성. 성질 및 국제 관계의 역사(시...
ASEAN의 운영 : 도전과 전망, 의의 도전요인, 회원국의 입장, 변화 전망
동북아 3국 (韓國,中國,日本)의 영토분쟁
성매매의 정의와 발생원인,실태,성매매금지법 및 대책방안연구
차(茶)문화 A+ 완벽정리(차의 역사와 종류, 원산지와 재배조건, 효능과 성분 및 마시는 법)
[위성방송][위성방송정책][스카이라이프]위성방송(스카이라이프)의 역사, 정책목표, 위상과 ...
[헌법][헌법관][대한민국헌법][법][법률][헌법 제정][법 개정]헌법의 개념, 헌법의 특성, 헌...
[스포츠심리학][스포츠][심리학][심리][스포츠심리]스포츠심리학의 정의, 스포츠심리학의 분...
법전문직의 성격과 역사 및 법학교육과 법률가 양성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복지법 - 사회복지법의 체계 및 사회복지법과 타법과의 관계
영유아 독서 치료 프로그램 (이론적 배경, 독서치료의 기원과 역사 및 원리, 그림책 이용한 ...
다음 사례 1에서 등장인물의 법률행위에 관한 문제의 답을 교재와 TV강의의 제1부(가정생활과...
학습장애 개념,특성및 학습장애 교육법분석및 학습장애 사례연구와 느낀점
한국의현대문화_한국의 언어가 한국의 문화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으며 세계 속의 한국어에 대...
소개글